세계의 절반 구하기 (The white man's burden) - 계획가 vs 탐색가

2013. 10. 29. 20:14 자료공유/국제개발협력



                                         William Easterly 지음 / 황규득 옮김




Ch. 11  서구원조의 미래 





        ▣ 공적원조

 

   ▷ 만약 유토피아적 목표가 원조기관들이 실제적인 결과에 책임을 지지 않게 한다면,

- 첫 번째 방법은 유토피아적 목표를 포기

- 관찰가능성에 대한 인센티브 편향 (Incentive bias toward observability)

- 내가 다른 나라 사람들의 문제를 더 잘 해결 할 수 있다는 후견인적인 자신감을 버려라

정부나 사회를 고치려고 하지 마라

다른 나라를 침범하지 말고, 내전을 치르고 있는 나라에 무기를 보내지 마라

조건부융자를 멈춰라

- 목표는 정부나 사회를 변혁시키는 것이 아니라 개인을 더 잘 살게 하는 것

 

     ▷ 서구가 정부보다 개인들에게 도움을 주려고 할 때, 대외원조를 혼란스럽게 했던 문제들이     풀리게 됨. (서구는 군벌들과 약탈형 독재자들을 받아주는 IMF, 세계은행, 다른 원조기     관의 우수꽝스러운 광경 종식가능)

 

     ▷ 원조는 빈곤의 문제를 끝낼 수 없음 --> 자유시장안에서 개인과 기업의 역동성에 기초한 자     생적 발전만이 빈고의 문제를 성취 가능케 함

 

        ▷ 원래의 초점으로 돌아가라.

    - 예방접종, 항생제, 식품보충제, 개량된 종자, 비료, 도로, 시추공, 수도관, 교과서, 간호 인력       과 같이 분명한 물품을 공급하라; 최빈층에게 보건, 영양, 교육 및 다른 부분에서의 투입을       통해 더 나은 삶을 살려는 그들이 노력에 더 큰 보상을 해주는 것임.


- 은행체계와 주식 시장의 운영에 실용적인 지식을 뽑아내기.

- 거시 경제적 경영에 조언

- 사업상 규제를 단순화

- 성과중심의 행정 업무를 장려할 수 있는 점진적 개혁

 

해결책들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

- 원조를 실행하기 위한 관심부족

- 유토피아적 계획 설정

- 개입을 위한 실제적인 책임을 지려 하지 않기 때문

      1) 지역상황을 잘 알고 있고, 2) 개입으로부터 경험적 결과를 가지고 있으며, 3) 빈민들의 의견을            얻을 수 있는 탐색가 --> 효과적인 원조운영에 대한 모든 변수와 복잡한 해답을 발견 가능.

 

탐색가를 위한 조언

- 여러 다중 목표에 대해 집단적인 책임을 지는 인센티브 제도를 재정비하라.

- 개별적인 목표에 대해 개별적 책임을 지우도록 하라.

- 원조기관들이 자신들 스스로 가장 잘 모울 수 있는 부문과 국가를 전담하도록 하라

- 원조기관들은 자신들의 노력에 대한 확실한 독립평가로, 자신들의 결과에 책임지도록 하라.

독립평가를 위한 예산의 일부분 떼어놓기

원조기구의 노력에 대한 표본들 무작위 평가 (무작위 대조시험 포함)

- 적은 수의 업무들을 전문화하고 독립평가에 따른 두려움과 보상제도 정비

성취여부에 대한 평가에 대한 전문화와 간소한 업무는 계획가에서 전문가로 힘을 이동

- 가장 중요한 것은 운용가능성을 통한 빈민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것.

 

  ▷ 관찰가능성에 대한 편향 조정

- 실용주의(pragmatism) 필요함.

- 국제원조기관들이 주도하여 관찰가능한 일들을 실행하도록 하라 .

- 국제원조기관들이 결과를 창출하도록 책임을 지우라.

 

  ▷ 개혁을 실행하는데 어려움

- 결과들을 관리하기 --> 원조 산업이 하향식 계획과 집단책임의 결정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

- 우유에서 크림 떠내기 --> 결과를 보여주기 위해 가장 유망한 프로젝트 선정하는 것.

 

   ▣ 프로그레사 만들기

      프로그레사 (교육, 건강식량 분야의 국가 프로그램) : 어머니의 역할(아이들을 계속 학교 다       니게 하고, 보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하고, 영양제를 받기 위해 보건소에 아이들을 데       려오고 정기 검진은 받게하면) 을 충실히 이행할 결우, 보조금 지원하는 프로그램

      프로그램 적용하는 253개 마을 선정, 비교를 위해 적용받지 않는 253개 마을 --> 국제식량       정책연구소에 프로그램 평가 의뢰 --> 통계학적 수치를 통해 프로그램 효과 입중 --> 새 정       부는 도시 빈민에까지 확대




      자유로운 선택 + 과학적 평가 --> 운영가능한 일들을 빠르게 확산시킬수 있음

 

          ▣ 케냐와 인도의 어린이 교육 돕기

- 교육을 장려하는 사람들은 어린이 교육에 지나치게 개입함

- 탐색가들은 다른 접근 방법을 취함

무상 아침급식 실시 --> 출석률 25 % 높아짐

교과서 지급 --> 학급의 상위 40 %의 학생들은 성적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해서 효과를 입증하면서 실행가능한 방법들을 찾아내라.

 

    ▣ 무엇이 실행 가능한가?

       원조기관들이 과학적 평가, 통계적 분석, 현장 학습을 하도록 유도하는 인센티브를 갖게 할        까? --> 프로젝트 전후에 프로젝트의 혜택을 받지 않는 대조군과 함께, 수혜자의 의견을            조사를 통해서 모든 노력과 결과를 공개적으로 발표하라. 관심을 가지고 있는 관찰자 집단        으로 원조기관이 책임을 지게 하라.


       원조기관에 대한 언론의 자유 및 민주주의 대한 압력을 증대시켜라.

    ▣ Your idears are crazy, but are they crazy enough?

        - ebay가 대외원조를 만나는 식으로서 중앙 계획적 접근방식 대신에 시장을 제안.


      (1) 자신들의 필요충족을 위해 프로젝트를 제안하는 빈민들과 가까운 사회적 기업가들

      (2) 기술 및 실용적 지식을 갖춘 개인과 기관

      (3) 자금을 제공하고 싶어 하는 기증자들




- 프로젝트들은 자금을 얻기 위해 경합

- 기술전문가들은 채용되기 위해 경쟁

- 기증자들은 결과를 얻기 위해 경합





그림 1 상호작용을 통한 네트워크 형성




중앙집중화된 관료제의 족쇄에서 자유롭게 했고, 현장에서 실행가능한 방안 발견

 

       *글로벌 기빙닷컴: 시장과 같이 대워원조와 자선행위를 취급하여, 시장에서 기증자들과 수혜자들이 정보를 공유 가능

 

      ▣ 개발바우처

   특정한 빈민층 집단에 개발 바우처 발행 --> 빈민들이 원조기관으로부터 자신들이 원하는 개    발물자를 얻을 수 있음. (물자를 배달해주는 기관과 필요한 물자 선택권) --> 원조기관들은 적    은 금액으로 많은 물품을 보내기 위한 비용부담을 가질 것임. 혁신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시도     하면서 사회적 기업가와 같이 행도하도록 요구 받게 됨.

    - 글로벌 기빙과 바우처 계획안은 일종의 실험으로 취급

    현지의 엘리트가 모든 바우처 또는 투표권을 사들임으로써 빈민들을 기만할 수 있고

    지도층의 이익을 위해 원조프로젝트 진행 가능

 

빈민들과 피드백

    - 원조가 빈민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었는가에 대한 점검이 필요.

    - 원조를 제공하는 행위자들이 직접 빈민들에게 물어보라.

           - 서구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피드백과 책임의 주요 메커니즘은 민주주의.

    - 원조는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들을 찾는데 필요한 인센티브를 지닌 행위자 집단        으로서 민간 기업들을 더 잘 활용할 수 있음.

 

       ▣ 기본으로 돌아가기

빈민들 돕기 원한다면 다음과 같은 사항 들을 주지하라

1) 원조 관련 행위자들은 빈민들이 스스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개인 실행 가능한 분야에서 책임을 지도록 하라.

2) 원조 관련 행위자들이 과거에 맡았던 분야의 경험에 비추어 실행 가능한 것을 탐색하도록 하라.

3) 탐색결과에 기초하여 실험해보라

4) 수혜자의 과학적 검증 결과로부터 얻은 피드백에 기초하여 평가하라.

5) 성공에는 보상을 하고 실패에는 벌칙을 주어라. 실행 가능한 개입에 대해 더 많은 자금을 지급하고 실행 불가능한 개입에서는 자금을 회수하라.

- 부국의 국민들이 추가로 1달러를 지원했던 것이 세계 최빈층의 절박한 필요에 부응하기 위한 1달러로 쓰였다는 사실을 알면 원조에 대한 지원을 증대시키지 않았을까.

 

당신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 계획가들은 빈민구제에 실패했음

- 12센트짜리 약품이 말라리아로 죽어가는 어린이들에게 공급되지 못함.

- 4달러짜리 침대모기장이 말라리아 예방을 위해 빈민들에게 공급되지 못함.

- 영아 사망률 방지를 위한 3달러가 어머니들에게 전달되지 못함.

이제 탐색가들에게 기회를 줄 차례

탐색가들로 하여금 약품, 모기장, 원조금이 빈민들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자.

- 당신이 원조 관련 운동가라면, 더 많은 원조금을 모금하는 것에서 원조금이 빈민들에게 지급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당신의 쟁점을 바꿀 수 있음.

- 개발학을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원조체제 개선을 위한 방안을 강구할 수 있음.

- 원조 관련 종사자라면, 유토피아적 목표에 대해서는 잊어버리고 빈민구제를 위해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에 의지 하라.

- 시민으로서 빈민들에게 원조물자를 전달하는 것에 대해 당신의 의견을 피력하라.

- 여러분 모두는 계획가들에 대한 여러분의 불만을 나타낼 수 있으며, 더 많은 탐색가을 요구할 수 있음




코멘트 


1. 과연 개발도상국이 원조없이 자생적 발전이 가능한가 묻고싶다. 생산능력이 없는 개도국이 자유시장에서 경쟁한다는 것은 라이트급 선수와 헤비급 선수가 싸우는 것처럼 처음부터 불리한 경쟁이다. 따라서 보호주의를 통해 보조금 정책, 수입금지령, 수출 보조금 지원, 관세리베이트 등으로 국가 경제기반을 이룰 수 있게 도우면서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해야 한다. 


2. 지역 탐색가들을 통해서 지역 개인에게 직접 전달하자고 한다. 여기서 묻고 싶은 건, 

    1) 지금의 규모를 감당할만한 그만큼의 탐색가들이 있는가

    2) 탐색가들의 일의 효율성을 믿을 수 있는가

    3) 탐색가들의 자금운영의 투명성을 믿을 수 있는가


3. 개도국 학생들에게 무상급식이나 학교정책에 대한 지원을 해주는 것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옳은 것인가. 이러한 방법들은 단기간 내에 어느정도 성과를 낼 순 있는 반면, 무상 지원을 받는 수원자들에게 거지근성을 키워줄 가능성이 있다. 또한 그들이 지원받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게 되면, 그 지원이 끊겼을 때 역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저자는 국제원조를 바라보는 사람들은 크게 계획가와 탐색가로 나눈다. 계획가를 대표하는 사람은 MDGs를 만들어낸 제프리 삭스이고,  탐색가를 대표하는 사람은 저자 윌리엄 이스터리 이다. 탐색가의 입장에서 책을 저술해서 그런지, 책 곳곳에서 너무 편파적인 견해와 입장을 견지할 때가 많은 듯 하다. 그리고 책 초반에는 계획가들의 빅푸시나 많은 원조 사업들을 비판하지만, 책 막바지에 이르러서는 이스터리도 결국 원조를 많이 하자는 것으로 결론내리는 것 같아 전체적인 흐름이 맞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기도 했다. 



   한번 읽어보시길. 판단은 독자에게 맡긴다.

.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빈곤의 경제학(The Bottom Billion) 9장 법률과 헌장 요약

2013. 10. 9. 22:56 자료공유/국제개발협력



폴 콜리어 지음 / 류현 옮김



 저자 폴 콜리어는 경제적 빈곤에 허덕이며 성장하지 못하고 있는 50개국의 나라들에서 사는,즉 밑바닥 10억의 인구들(the bottom billion)의 문제는 무엇이며, 그들이 어떻게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에 대해 새로운 관점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경제학자답게, 다양한 통계자료와 경제학적 분석수단을 가지고 밑바닥 인구들에게 구체적인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아래의 슬라이드는 수업 발표를 위해 9장 법률과 헌장을을 요약한 것이다. 9장을 요약하면서 밑바닥 국가들의 예산집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리와 부패 사례를 보고, 깜짝 놀랐다. 차드의 경우를 들자면, 어떤 사업예산이 '100'으로 책정되면 실제 예산이 사용되는 곳에서는 단지 예산의 1%만이 사용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99%는 어디로 갔단 말인가. 이건 하나의 단적인 예이다. 책에서 밑바닥 국가들의 심각한 부패와 비리에 대한 다양한 사례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책을 통해 밑바닥 국가들의 문제점과 상황, 그리고 이러한 상황들을 어떻게 타개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과 고민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water treatment of contaminated groundwater; Arsenic

2013. 7. 1. 22:40 자료공유/물, 인간의 최소한의 권리

 

 

 

Major groundwater contaminant

 

 

2.1 Arsenic

Arsenic is a chemical element that comes in deeper levels of groundwater and naturally occurs in the rocks of earth’s crust and mountain. Arsenic is regarded as cancer causing material and a poison. Unfortunately it can be only found by conducting water tasting because it has no taste or taste.  

 

 

 

Fig. 1 Arsenic occurrence in groundwater

 

2.1.1 Bangladesh

  There are lots of locks containing high arsenic levels in Himalayas. As the locks were eroded by Ganges River and Brahmaputra River, the element arsenic of those locks has been dissolved into two rivers. The rivers flowed downstream and formed clay layer of flood plain and delta in which most people in Bangladesh lived. The people have used the river containing life-threatening arsenic for drinking. About 10 out of 1,000 people who drunk contaminated water have experienced waterborne disease, skin disease and cancer.

 

 

 

2.1.2 Vietnam

   There are few sources for drinking water in Vietnam. Groundwater is mainly used for drinking.

However, due to indiscriminate excavation of boreholes and well groundwater levels fell fast, which

leads to the depletion of groundwater water supply. Thus, they didn’t have enough water for daily life,

especially for drinking. So they had no choice but to drink groundwater that exceeds 0.05 mg / l arsenic

which is minimum acceptable concentration for drinking. Researcher who conducted water tasting

presumed that about 1200, half of whole wells, contain high arsenic concentration.

 

 

 

3.Removal of arsenic in groundwater

The general methods for removing arsenic from drinking water are divided into four process. The table below show technologies depending on each process [7].

 

 

Process

Technologies

Precipitation

coagulation/filtration, direct filtration, coagulation assisted microfiltration,

enhanced coagulation, lime softening, enhanced lime softening

Absorption

adsorption onto activated alumina, activated carbon and

iron/manganese oxide based or coated filter media

Ion-exchange

Anion exchange

Membrane

Nano-filtration, Reverse Osmosis, Electrodialysis.

 

 

 

3.1 Precipitation processes

Adsorption co-precipitation with hydrolysing metals such as Al3+ and Fe3+ is the most common treatment technique for removing arsenic from water. Sedimentation followed by rapid sand filtration or direct 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is used to remove precipitate. Coagulation with iron and aluminium salts and lime softening i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process. To improve efficiency of this method, a priory oxidation of As(III) to As(V) is advisable. Hypochlorite and permanganate are commonly used for the oxidation. Atmospheric oxygen can also be used, but the reaction is very slow [7].

 

 

3.2 Adsorptive processes

Adsorptive processes involve the passage of water through a contact bed where arsenic is removed by surface chemical reactions. Activated alumina, activated carbon, iron oxide coated or based filter media are used for these processes [7].

 

 

3.3 Ion exchange processes

In these processes, ions held electrostatically on the surface of a solid phase are exchanged for ions of similar charge dissolved in water. Usually, a synthetic anion exchange resin is used as a solid. Ion exchange removes only negatively charged As(V) species. If As(III) is present, it is necessary oxidise it [7].

 

 

 3.4 Membrane processes

 Microfiltration (MF), utrafiltration (UF), nano-filtration (NF), reverse osmosis (RO) and electrodialysis reversal (EDR) can remove arsenic through filtration, electric repulsion, and adsorption of arsenic-bearing compounds. The use of MF and UF membranes is dependent on the size distribution of arsenic bearing particles in water. To increase removal efficiency with a low percentage of particulate arsenic content, MF can be combined with coagulation processes. Nano-filtration membranes are capable of removing significant portions of the dissolved arsenic compounds in natural waters. Reverse Osmosis (RO) is very effective in removing dissolved arsenic. Electrodialysis reversal (EDR) can also be used for removal of arsenic. A water recovery of 85% is achievable. Reported arsenic removal varies from 28% to 86% In general, membrane filtration is more effective for removal As(V) than for As(III) [7].

 

 

3.5 DPHE-Danida Fill and Draw Units

It is a community type treatment unit designed and installed under DPHE-Danida Arsenic Mitigation Pilot Project. It is 600L capacity (effective) tank with slightly tapered bottom for collection and withdraw of settled sludge. The tank is fitted with a manually operated mixer with flat-blade impellers. The tank is filled with arsenic contaminated water and required quantity of oxidant and coagulant are added to the water. The water is then mixed for 30 seconds by rotating the mixing device at the rate of 60 rpm and left overnight for sedimentation. The water takes some times to become completely still which helps flocculation. The floc formation is caused by the hydraulic gradient of the rotating water in the tank. The settled water is then drawn through a pipe fitted at a level few inches above the bottom of the tank and passed through a sand bed and finally collected through a tap for drinking purpose as shown in Fig. 7. The mixing and flocculation processes in this unit are better controlled to effect higher removal of arsenic. The experimental units installed by DPHE-Danida project are serving the clusters of famil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Fig. 2 DPHE-Danida Fill and Draw Arsenic Removal Unit Attached to Tubewell

 

 

3.6 Arsenic removal methods used for household

Household level arsenic removal systems use adsorptive filtration or coagulation, ion exchange treatment or combination of coagulation and adsorption. Oxidation is sometimes used to improve As(III) removal efficiency. A comprehensive survey of POU arsenic removal systems based on a short-term performance test in terms of flow rate, storage capacity, breakthrough time, bacteriological performance, chemical use, costs, and user acceptability has been made by WaterAid.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presented in two reports (WaterAid, 2001a,b). UNESCO-IHE has developed a POU filter for arsenic removal with iron oxide coated sand (IOCS) as an adsorbent. The filter is simple, easy-to-use and does not require any chemicals. Alcan, Sidko (a granular ferric hydroxide filer system), READ-F and Sono are four commercial methods recently approved by the Government of Bangladesh for sale.. Good back-up and accepted methods for sludge disposal are essential for the operation of the POU systems (Arsenic project, 2007). Alcan and Sono filters are shown in figure below [7].

 

 

내용을 입력하세요

내용을 입력하세요

Fig. 3 household

 

 

3.7 Emerging methods

 

3.7.1 Water pyramid

The water pyramid, developed for rural tropical areas, employs solar energy to produce potable water from saline, brackish or polluted water. The technology also removes fluoride. A water pyramid with a total area of 600 m2, placed under favourable tropical 82 Perspectives in Water Pollution conditions, can produce about 1250 litres of fresh water a day. The rate of production is however dependent on local atmospheric conditions such as climate, temperature, cloud-cover and wind activity. Solar energy drives the desalination while energy required for pressuring the WaterPyramid® is obtained using solar cells combined with a battery backup system. A small generator may be required to cater for intermittent peak demands in electricity [2].

 

 

 

Fig. 4 The WaterPyramid®

 

3.7.2 The Solar Dew Collector system

 The Solar Dew Collector system developed by Solar Dew is same as the WaterPyramid . This is a porous membrane that purifies water using solar energy. In this techniques water sweats through a membrane and evaporates on the membrane surface. This increases humidity in the evaporation chamber. As a result of temperature difference pure water condenses on the cooler surface of the system.

Larsen and Pearce, 2002, proposed a defluoridation method in which fluoride containing water is boiled with brushite ( CaHPO4.2H2O) and calcite ( CaCO3 ). Good results were obtained on laboratory scale. Larsen and Pearce concluded that boiling brushite and calcite in fluoritic water yields fluoroapatite which results in defluoridation [2].

 

                                              

                                                                                 Fig. 5 The Solar Dew Collector system

 

3.7.3 Memstill® technology

This technology advances ecology and economy of the existing technologies in brackish and sea water desalination. The technology also removes other anions such as fluoride and arsenic. In the Memstill® technology cold feed water takes up heat in the condenser channel through condensation of water vapour, then a small amount of (waste) heat is added, and flows counter currently back via the membrane channel. This small added heat evaporate water through the membrane. The water is discharged as cold condensate. The cooled brine is disposed, or extra concentrated in a next module. The Memstill® technology can produce potable water at a cost well below that of existing technologies like reverse osmosis and distill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Memstill® technology will also be developed for small scale applications using solar heat [2].

 

 

 

Fig. 6 Memstill® technology

 

 

 

References

1. Groundwater Quality: Tanzania, WaterAid, 2001

2. Perspectives in Water Pollution; Chapter 4 Ground Water Contamination with Fluoride and Potential Fluoride Removal Technologies for East and

Southern Africa, InTech, 2013

3. US EPA. Water Treatment Technology Feasibility Support Document for Chemical contaminants. EPA-815-R-03-004, EPA 2003.

 

4. Dysart A. Investigation of Defluoridation Options for Rural and Remote Communities. Research Report No 41, The Cooperative Research Centre for Water Quality and Treatment, Salisbury SA 5108, AUSTRALIA 2008.

 

5. Zakia A, Bernard B, Nabil M, Mohamed T, Stephan N, Azzedine E. Fluoride removal from brackish water by electrodialysis. Desalination 2001; 133, 215 - 233.

 

6. http://www.bibliotecapleyades.net/salud/salud_fluor23.htm

 

7. http://www.un-igrac.org/dynamics/modules/SFIL0100/view.php?fil_Id=130

 

 

 

 

 

 

 

 

If this article is helpful to your research, click the button 'like'.

 

By doing this, I can share the article with more people.
 

 

 

 

 

반응형

Water treatment of contaminated groundwater(오염된 지하수처리) - Fluoride(불소)

2013. 6. 18. 22:41 자료공유/물, 인간의 최소한의 권리

Water treatment of contaminated groundwater

 

 

 

 

1. Introduction

Groundwater is the main source of water supply worldwide. Especially local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have increasingly used groundwater for daily life as well as for agriculture. Unfortunately, however, groundwater is not considered desirable for drinking because groundwater is sometimes contaminated with naturally occurring contaminates through several ways. Many who drunk the contaminated groundwater have experienced waterborne diseases, skin problem and even cancer. Therefore, this report focused on searching for status of groundwater contaminated by fluoride and arsenic and studied water treatment of contaminated groundwater to lower contamination levels of groundwater.      

 

 

2. Major groundwater contaminants

 

  2.1 Fluoride

 Fluoride is a chemical that naturally occurs in a variety of locks and soils or deposition of atmospheric volcanic particles. Also fluoride can come from infiltration and runoff of chemical fertilizers in agricultural areas and liquids waste from industrial sources.

 

2.1.1 India

In India, ground mostly consisted of granites containing fluoride. When it rains, the element of fluoride with rainwater flows down to aquifer and then is dissolved into groundwater. According to report, about 6,000 people who used it for living life have experienced skin diseases and another symptom that could scarcely breath. Medical officer considered groundwater containing high fluoride levels as a reason of those diseases.

 

2.1.2 Africa

Groundwater is main resource for drinking in Africa. As we mentioned earlier, unfortunately, groundwater has been contaminated by fluoride, one of naturally occurring materials, which is contained in many kind of locks. In some areas of Africa amount of fluoride go beyond upper limit of 1.5 mg/l recommended by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The Fig. 2 shows fluoride levels of groundwater in Africa.

 

 

 

 

 

In Tanzania, fluoride is the most severe of the known water quality problems. The problem occurs in both the Rift zones in northen and south-western Tanzania, and in the crystalline basement complex of the central plateau. High concentration of fluoride have been found in soda lakes and some rivers, concentration of which is 60-690 mg /l and 12-26mg / l respectively.[1] According to the report, more than 30% of groundwater for drinking exceeds 1.5 mg/l fluoride. [2]

 

3. Water treatment of contaminated groundwater.

 

3.1 Removal of fluoride in groundwater

The general methods used for removal of fluoride from drinking water are mainly divided into three basic types depending upon process. The table below shows methods applied to removal of fluoride [6].

 

Process

Technologies

Chemical reaction with fluoride

Nalgonda technique, Lime

Absorption

Bone charcoal, processed bone, tricalcium phosphate, activated carbons, activated magnesia, tamarind gel, serpentine, activated alumina, plant materials, burnt clay

Ion-exchange

Anion/Cation exchange resins

Membrane

Reverse Osmosis, Electrodialysis

 

3.1.2 Nalgonda Technique

The Nalogonda technique employs flocculation principle 1. Nalgonda technique is a combination of several unit operations and the process invloves rapid mixing, chemical interaction, flocculation, sedimentation, filtration, disinfection and sludge concentration to recover waters and aluminium salts. Alum (hydrated aluminium salts) - a coagulant commonly used for water treatment is used to flocculate fluoride ions in the water. Since the process is best carried out under alkaline conditions, lime is added. For the disinfection purpose bleaching powder is added. After thorough stirring, the chemical elements coagulate into flocs and settle down in the bottom [6].

 

 

3.1.3 Precipitation

   Method involving the addition in sequence, of an alkali, chlorine and aluminium sulphate or aluminium chloride or both was developed. It is cheap and is used extensively in India. Though lime softening accomplishes fluoride removal, its high initial cost, large dosage and alkaline pH of the treated water renders it unsuitable for field application. Large dosage and alkaline pH of the treated water renders it unsuitable for field application [6].

 

 

3.1.4 Bone Char

The uptake of fluoride onto the surface of bone was one of the early methods suggested for defluoridation of water supplies. The process was reportedly one of the ion exchange in which carbonate radical of the apatite comprising bone, Ca(PO4)6.CaCO3, was replaced by fluoride to form an insoluble fluorapatite. Bone char produced by carbonizing bone at temperature of 1100-1600ºC had superior qualities than those of unprocessed bone and hence replaced bone as defluoridating agent [6].

 

 

3.1.5. Contact Precipitation

It is a technique by which fluoride is removed from the water through the addition of calcium and phosphate compounds and then bringing the water in contact with an already saturated bone charcoal medium [6].

 

 

내용을 입력하세요

내용을 입력하세요

 

3.1.6. Degreased and alkali treated bones

Degreased and alkali treated bones are effective in the removal of fluoride from initial fluoride concentration ranging from 3.5 mg fluoride/L to 10 mg fluoride/L to less than 0.2 mg fluoride/L Bone contain calcium phosphate and has a great affinity for fluoride. The bone is degreased, dried and powdered. The powder can be used as a contact bed for removal of fluoride in water. The exhausted bed is regenerated with sodium hydroxide solution [6].

 

 

3.1.7 Serpentine

Serpentine is a mineral name, which applies to the material containing one or both of the minerals, chrysotile and antigorite1. The composition of the mineral closely corresponds to the formula Mg6Si4O10 (OH). The material is green or yellow and is available in Andhra Pradesh. To test the capacity of serpentine to remove fluorides from waters, the green and yellow varieties were studied for their defluoridation capacity. Extensive laboratory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with a view to popularize the mineral, if found suitable as a defluoridating medium. [6].

 

 

3.1.8 Activated Carbon

Most of the carbons prepared from different carbonaceous sources showed fluoride removal capacity after alum impregnation. High Fluoride removal capacities of various types of activated carbons had been reported. Alkali digested alum impregnated paddy husk carbon was an efficient defluoridating agent. Investigations have shown that carbonized saw dust when quenched in 2% alum solution forms an excellent defluoridating carbon. The defluoridating process is stoichiometric and equilibrium is established between carbon & fluoride. On exhaustion (after continued use) the carbon can be regenerated by passing 0.2 to 0.5% alum solutions. Activated carbon prepared by other workers from cotton waste, coffee waste, coconut waste etc., was tried for defluoridation but all these materials proved to be of academic interest only [6].

 

 

3.1.9 Membrane filtration

Of advanced water treatment technologies, Membrane filtration processes are the most advanced of the reported technologies that have been applied to in treatment of pure and ultra pure water. Reverse osmosis(RO), one of the best defluoridation technologies, is recommended by US EPA in 2003[3]. RO and nano-filtration (NF) are the well known membrane technologies that can remove a large spectrum of pollutants from water such as turbidity, salinity, pathogens, heavy metals, natural and synthetic organics, and hardness[4]. These processes are reported to be effective in in water defluoridation and produce high quality water during water treatment. NF membranes runs at lower pressure and have lower capacity as compared to RO membranes. electrodialysis is another membrane technology that is applied to big scale plant water treatment of high fluoride brackish water for drinking water supply[5]. Electrodialysis is same as RO, except that it uses an applied direct current potential instead of pressure, to separate ionic contaminants from water. Water does not physically go through the membrane in the electrodialysis process as such a particulate matter is not eliminated. Thus, the ED membranes are not technically regarded as filters. Comparing to RO, the water quality from electrodialysis treatment may require post-treatment stabilization. The process tends to be most economical for source water with TDS levels in excess of 4,000 mg/L. It is established that RO and electrodialysis have very high defluoridation capacities (85 – 95 %) and function effectively in any pH range. However the water loss is high (20 - 30 % for electrodialysis, 40 – 60 % for RO), have high capital cost and are energy intensive [5]. For membrane technologies, It often require special instrument, electrical energy and specialized training for operators as such the capital and operation costs are high. Low applicability is therefore envisaged for rural sectors of the developing countries where energy and trained human resource are often deficient [6].

 

 

 

 

 

References

1. Groundwater Quality: Tanzania, WaterAid, 2001

2. Perspectives in Water Pollution; Chapter 4 Ground Water Contamination with Fluoride and Potential Fluoride Removal Technologies for East and

Southern Africa, InTech, 2013

3. US EPA. Water Treatment Technology Feasibility Support Document for Chemical contaminants. EPA-815-R-03-004, EPA 2003.

 

4. Dysart A. Investigation of Defluoridation Options for Rural and Remote Communities. Research Report No 41, The Cooperative Research Centre for Water Quality and Treatment, Salisbury SA 5108, AUSTRALIA 2008.

 

5. Zakia A, Bernard B, Nabil M, Mohamed T, Stephan N, Azzedine E. Fluoride removal from brackish water by electrodialysis. Desalination 2001; 133, 215 - 233.

 

6. http://www.bibliotecapleyades.net/salud/salud_fluor23.htm


 

 

 

 

 

 

 

If this information is helpful for you, click the 'Like' button.

By clicking the button, I can share the information with more people

 

 

 

 

 

반응형

[도시 및 지역분석] Netminer 4 (넷마이어)-통근통학패턴 분석을 통한 도시공간구조 해석

2013. 6. 8. 11:23 자료공유/도시 지역 분석

 

 

통근통학패턴 분석을 통한 도시공간구조 해석

 

 

 

 

 

1. 분석개요

 

분석 지역: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 지역

분석 년도: 2000, 2005, 2010

분석 자료: 현거주지/통근통학지별 통근통학자수(국가통계포털)

분석 방법: 넷마이어 프로그램 사용

 

 

 

 

 

2. 분석 목적

 

도시 간 상호작용을 잘 나타내주는 현거주지/통근통학자수 데이터를 통해 패턴을 분석하여 대구와 주변 경북지연에 연결체계가 어떠한 형식으로 되어있는지 확인해본다.

 

 

 

 

3. 분석 결과

1) 대구-경북 간 통학통근자 증감 추이

 

구분

2000

2005

2010

      통학/통근지

 

현거주지

대구 광역시

경상북도

대구 광역시

경상 북도

대구 광역시

경상 북도

대구광역시

1,065,445

116,334

1,050,236

129,627

1,219,808

142,436

경상북도

39,697

1,373,497

36,931

1,314,699

41,675

1,466,228

 

  •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최근 10년 동안 대구와 경북 간 통학통근자수는 꾸준히 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대구 주변 교외지역들의 점진적인 성장과 교통망의 발달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20129, 대구지하철은 경산 영남대까지 연장공사를 마쳤다. 역세권을 중심으로 한 주거 및 상업지역들이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2) 통학통근 패턴 파악

 

                                                         2000년

 

2005년

 

2010년

 

3) Link Threshold 제한을 통한 흡수/발생 통근통행량 패턴 파악

 

개요: Link Threshold1000을 초고하면 링크수가 현저하게 줄어들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2000년부터 2010년까지 5001000일때의 대구시를 중심으로 한 지역간 흡입/발생 통근통학량을 확인해보도록 한다.

 

 

 

Link Threshold: 500

 

                                                    2000년

 

                                                        2005년

 

                                                          2010년

 

 

Link Threshold: 1000

 

 

2010년

 

4) 흡수/발생 통학통근량에 따른 도시 순위 비교

 

비교 방법 : 넷마이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링크수를 중심으로 한 흡수/발생 통학통근자수에 따른 도시순위를 비교해본다. 그리고 1mode network에 나타난 흡수/발생 통학통근자수에 따른 도시순위를 비교해본다. 최종적으로 링크수와 실제 통학통근자수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해본다.  

 

 

링크수를 기반으로 한 통근통학자수에 따른 도시순위

 

<2> In-Degree Centrality

지역순위

2000(링크수)

2005(링크수)

2010(링크수)

1

안동시 (19)

대구광역시 (18)

대구광역시 (19)

2

대구광역시 (17)

경산시 (17)

경산시 (19)

3

경산시 (14)

안동시 (16)

안동시 (17)

4

의성군

구미시

구미시

5

상주시

경주시

칠곡군

6

칠곡군

칠곡군

경주시

7

구미시

포항시

상주시

8

영주시

의성군

포항시

9

예천군

영천시

김천시

10

영덕군

군위군

성주군

 

최근 10년 동안 상위 10위내에서 연결중심성의 순위변화를 살펴보면 <3>과 같다. 연결중심성 순위가 점진적으로 상승한 지역은 구미시를 비롯한 경산시와 대구광역시이고, 하락한 지역은 안동시, 상주시, 경주시 등이다.

 

대구광역시의 점진적인 순위상승과 링크수 증가는 기반산업이나 중추적인 중심산업이 잘 형성되어 통근통학이 서울 및 주변 지역으로부터 활발히 진행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3> Out-Degree Centrality

지역순위

2000

2005

2010

1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2

경산시

안동시

안동시

3

구미시

경산시

경산시

4

안동시

칠곡군

구미시

5

포항시

구미시

포항시

6

칠곡군

영천시

영주시

7

김천시

영주시

김천시

8

경주시

의성군

문경시

9

영천시

상주시

영천시

10

상주시

김천시

칠곡군

 

 

 

1mode network에 나타난 대구지역 흡수/발생 통근통학자수 비교 및 분석

 

<4> 흡수 통근통학자수에 따른 도시순위

지역순위

2000

2005

2010

1

대구광역시

경산시

경산시

2

구미시

구미시

대구광역시

3

포항시

대구광역시

구미시

4

경산시

칠곡군

칠곡군

5

경주시

경주시

경주시

 

<5> 발생 통근통학자수에 따른 도시순위

지역순위

2000

2005

2010

1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2

경산시

경산시

경산시

3

칠곡군

칠곡군

칠곡군

4

경주시

경주시

경주시

5

포항시

포항시

포항시

 

 

 

결과비교 및 고찰

 

- 링크수를 기준으로 한 In/Out-Degree Centrality와 실제 통근통학자수에 따른 도시순위는 많은 지역에서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특정지역에서는 다소 큰 차이점을 보였다. 링크수와 흡수/발생 통근통학자수와 연관성이 있으나, 비례적으로 증가한다거나 감소하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진 않았다.

 

- 대구광역시, 경산시는 흡수(in) 및 발생(out)을 나타내는 링크수가 많았다. 또한 통학통근자수도 다른 지역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에서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계속 대구광역시와 경산시가 1, 2위로 나타났다.

 

- 안동은 In-Degree Centrality <2>의 링크수에 따른 도시순위에서 2000, 2005, 2010년에 각각 1, 3, 3위였으나, 통근통학자수에 따른 도시순위에서 2000, 2005, 2010년에 각각 11, 10, 8위로 나타났다. Out-Degree Centrality <3>에서 안동은 2000, 2005, 2010년에 각각 4, 2, 2위로 나타났으나, 발생 통근통학자수에 따른 도시순위에는 상위에 속하지 못했다.

 

- 경산지역은 흡수와 발생 통근통행자수가 다른 지역들보다 확연히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경산시에 영남대를 비롯한 여러 대학들이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최근 경산 영남대까지 지하철이 개통되었기 때문에 대구와 경산 간 유입/유출인구는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구미시는 발생 통근통행자수가 경산시를 이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구미지역에 대규모 공장들이 많이 입지되어 있기 때문에, 공장으로 출·퇴근 하는 인원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4. 결론

 

 대구광역시에 집중된 인구 및 서비스 산업으로 인해 주변 신도시 지역 개발이 되었고 교통망도 광범위하게 발달했다. 이로 인해 주변 경북지역으로 유·출입되는 인구가 늘어나게 되었다. 또한 개발 초기단계의 지역은 대구보다 집값이 싸기 때문에 외곽지역에 집을 얻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매일 직장까지 먼 거리를 다녀야 하는 부담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주불일치 현상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빗물과 당신 - 4장 지하수에 섞여 있는 것들; 비소, 방사능, 불소

2013. 6. 1. 10:42 자료공유/물, 인간의 최소한의 권리

 

 

 

 

1. 비소

   1) 방글라데시 전역

       ① 유입경로

           - 히말라야 산맥의 바위 속에 비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음.

           - 갠지스 강이나 브라마푸트라 강과 같은 큰 강물에 의해 산맥의 바위가 침식되면서 류로 전달.

          - 하류로 전달된 비소는 범람원과 삼각주의 두터운 진흙층에 퇴적되는데, 그 삼각가 방글라데시 국토의 대부분을 이룸

 

 

 

 

     ② 오염 현황 및 피해정도

         - 수천만 인구가 마시는 우물에 생명의 위협할 정도의 비소가 함유되어 있음.

         - 비소가 함유된 식수로 인해 1천명의 방글라데시 인들 중에 10명은 피부질환,

              , 그 밖의 다른 증세가 나타나고 있음.

 

 

  2) 베트남 하노이 인근 쿠케 마을

     ① 현황

         - 마을주민은 마실 물이 없어서 비소가 허용기준치인 0.05ppm보다 더 함유된 지하수를 마시고 있음

         - 전체 관정의 절반 정도인 1200개에 비소가 포함된 것으로 추정됨.

 

 

 

2. 불소화합물

    1) 인도 델리

  - 인도지반을 구성하는 화강암 속에 함유된 불소화합물이 지하수에 녹아 들어감. 불소화합물이 함유된 지하수를 마신 약 6000명의 사람들은 숨도 제대로 못 쉬는 증상을 나타냄.

  - 인도의사들은 빈혈, 관절 강직, 신부전, 근력 약화 암 같은 질환의 원인이 식수에포함된 불소화합물 때문이라고 생각함.

 

 

 

3. 방사능 오염물질

     1) 한국

- 환경부는 1999년부터 전국지하수 방사능 오염정도를 조사했는데, 미국지하수 기준치를 넘는 지역이 전국에 180인 것으로 드러남. 그 중 심한 곳은 식수로 사용 가능한 기준치의 54배가 넘는 곳도 있음.

- 20085,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 조사에 따르면 지하수에서 폐암을 유발 할 수 있는 정도의 우라늄(U238)라돈(Rn222)이 검출된 것으로 보고됨.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프리카 지하수 오염 실태(불소, fluoride) - 동, 서 아프리카

2013. 6. 1. 01:12 자료공유/물, 인간의 최소한의 권리

 

 

 

 

 아프리카 지하수 오염 실태

 

 

 

 

 

 

1. 아프리카 지하수 오염

 

1) 두 가지 주요 유입경로

 

   ➀ 대수층

   ➁ 지하수 개발 할 때, 잘못된 설계로 인해 지반이 약화된 토질

 

 

2)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인자

 

   ➀ 가축의 분뇨

   ➁ 묘지근처 시체의 독성이나 악영향을 끼치는 액체

   ➂ 무분별한 쓰레기 처리로 인해 토질 및 지반 오염

 

 

 

 

2. 서 아프리카 지하수 오염 현황

 

1) 서 아프리카 지하수는 아프리카 시골 대부분의 물을 공급해주는 자원이었음.

2)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로 현재는 화학적 물질로 오염된 곳이 많음.

3) 서 아프리카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대표적인 화학물질은 불소임. 세계보건기구가 1.5mg/L 불소수치를 상회하는 지역도 여러 곳 있음.

4) 높은 불소 검출 지역과 수치

 

                                             <출처: Perspectives in Water Pollution>

 

 

  ➀ 동아프리카: 요르단 계곡으로부터 수단, 에디오피아, 케냐 그리고 탄자니아를 포함하

      는 Rift 계곡지역

    

      □ 케냐: 불소 수치가 5mg/L보다 크게 검출되는 지역과 8mg/L 이상 검출되는 지역으로 나뉨

      □ 탄자나아

         ▻음용수로 사용되는 물의 30%에 불소 함유량이 1.5mg/L을 초과.

         ▻탄지니아 곳곳에 버려지는 막대한 쓰레기로 인한 지하수 오염이 심각함.

 

 

                            

<그림 1> 지하수 오염을 유발하는 탄자니아 쓰레기 배출량

 

서 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공화국, 말라위: 지하수의 불소 함유량이 1.5mg/L을 초과함.

 

 

 

 

 

 

 

 

참고 문헌

1. Groundwater Contamination in Tanzania

2.  Perspectives in Water Pollution:

    Chapter 4  Ground Water Contamination with Fluoride and Potential Fluoride

    Removal Technologies for East and Southern Africa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라우리 모델(Lowry Model)을 이용한 인구 추정 (대구광역시 수성구)

2013. 6. 1. 00:40 자료공유/도시 지역 분석

 

 

 

Lowry Model

 

 

 

 

 

1. Lowry Model의 특성과 작동원리

 

 

▣ 특성

 

- 토지이용의 직접적인 설명변수로서 접근성(accessibility)의 개념에 입각하여 개발한 토지 이용의 수리적 모형의 대표적인 것이 라우리(Lowry)모형이다.

 

- 라우리(Lowry)는 모형은 도시 활동을 기반부분(basic sector), 서비스부분(service sector), 주거부분(Residential sector)로 구분한다.

 

- 기반부분은 제조업 및 수출업무를 담당하는 분야로 그 입지 및 고용이 도시 내 여건보다는 외부지역의 시장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 서비스부분은 주로 도시내에 거주하는 인구를 대상으로 상업, 업무, 서비스, 행정 기타 활동부분으로 입지의 결정은 도시주민의 접근성에 의해 결정되고 고용수준은 도시규모에 의해 결정된다.

 

- 주거부분은 기반부분과 서비스부분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그 가족들로 구성되어 있으며서비스부분에 종사하는 고용수준은 주거인구의 구매력에 의해 결정되고, 주거인구은 기반 부분과 서비스부분에 종사하는 고용수준에 의해 결정된다.

 

 

 

▣ 작동원리

 

 

 

 

 

 

 

2. 2010년 인구예측

 

분석개요

분석년도: 2000

분석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23개동)

분석자료: 해당도시의 동 자료(인구, 서비스업, 총 종사자수, 기반산업 종사자수), 거리측정의 기준점  

 

 

동 분류

중심지로부터 거리

인구수

고용자수

범어1

0.00

16,207

11,452

범어2

1.15

12,709

15,360

범어3

1.22

11,630

10,470

범어4

1.01

21,841

7,998

만촌1

2.77

15,512

5,438

만촌2

2.29

14,859

4,696

만촌3

2.13

20,903

6,840

수성1가동

1.47

20,425

4,592

수성2_3가동

0.88

13,659

13,440

수성4가동

1.40

17,253

5,642

황금1

1.73

20,708

3,886

황금2

1.03

14,878

11,382

중동

1.69

16,483

7,826

상동

2.66

19,055

6,512

파동

4.68

16,820

5,110

두산동

2.84

11,011

9,738

지산1

2.79

30,412

11,982

지산2

3.96

27,599

6,780

범물1

5.71

19,816

5,548

범물2

5.06

21,898

3,842

고산1

8.05

31,302

9,660

고산2

4.84

26,327

5,382

고산3

7.88

27,186

7,682

합계 

448,493

181,258

 

*참고: 구청이 있는 범어 1동을 중심지로 간주함

 

 

 

 

1) 거리에 따른 인구 및 종사자 수 분석

 

 

 

 

 

 

2) 기반산업 선정 및 종사자수

 

▣2000년

 

산 업 분 류

지역고용자수

국가고용자수

LQ

농업

203

23,963

0.17

임업

14

843

0.34

어업

0

31,302

0

광업

153

21,406

0.15

제조업

164,819

3,333,018

1.01

전기, 가스 및 수도사업

2,209

56,629

0.80

건설업

24,601

640,755

0.79

도매 및 소매업

133,919

2,493,217

1.10

숙박 및 음식점업

75,890

1,555,985

0.99

운수업

40,405

765,300

1.08

통신업

6,683

130,831

1.05

금융 및 보험업

26,803

613,580

0.89

부동산업 및 임대업

16,885

329,886

1.05

사업서비스업

20,696

619,007

0.68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25,089

520,932

0.99

교육 서비스업

45,191

921,158

1.00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26,777

487,902

1.12

오락, 문화 및 운동관련 사업

16,373

318,409

1.05

기타공공,수리및개인서비스

38,150

740,151

1.05

합 계

664,860

13,604,274

 

 

LQ값이 1이 넘을 것을 기반산업으로 간주하고 종사자수를 산정하였음. 따라서 기반산업은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통신업, 부동산 및 임대업 등임.

 

 

3) 라우리 모델분석을 통한 예측인구

 

동 분류  

기반산업 종사자수

분산 인구 1

서비스 산업 유발인구수

분산 인구 2

예측인구수

범어1

2,556

2,979

1,177

3,366

10,737

범어2

4,132

2,827

1,107

3,108

10,103

범어3

2,543

2,697

1,068

3,088

9,761

범어4

3,002

2,841

1,121

3,246

10,276

만촌1

1,429

2,043

819

2,602

7,657

만촌2

1,620

2,319

926

2,894

8,632

만촌3

2,656

2,509

992

2,997

9,204

수성1가동

1,582

2,610

1,039

3,033

9,491

수성2_3가동

3,962

2,963

1,171

3,326

10,658

수성4가동

1,701

2,587

1,031

3,028

9,430

황금1

1,335

2,551

1,018

3,084

9,397

황금2

3,090

2,862

1,130

3,226

10,308

중동

2,522

2,607

1,033

2,972

9,422

상동

2,157

2,382

946

2,747

8,641

파동

1,966

1,957

777

2,268

7,109

두산동

2,375

2,475

981

2,838

8,962

지산1

3,335

2,571

1,012

2,906

9,269

지산2

2,327

2,281

905

2,647

8,291

범물1

2,072

1,949

773

2,346

7,169

범물2

1,039

1,915

772

2,421

7,160

고산1

3,595

2,125

812

2,282

7,541

고산2

1,819

1,958

776

2,657

7,502

고산3

3,193

1,998

6,548

6,037

10,981

합계

56,008

56,008

27,934

69,188

207,701

 

 

한계점

 

기반산업 종사자와 입지확률행렬을 곱하여 얻는 분산인구수의 총합은 기반산업 종사자 총합과 같았다. 각 동마다 값은 다르지만 전체 총합이 값이 똑같이 나왔다. 따라서 개별적인 변화는 예측할 수 있으나 전체적인 변화는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다.

 

 

 

4) 예측 인구수와 2005년 인구수 비교

 

동 분류  

예측인구수

2005년 실제인구수

인구수 차이

범어1

10,737

14,956

8,611

범어2

10,103

10,471

4,536

범어3

9,761

6,772

987

범어4

10,276

19,723

13,636

만촌1

7,657

27,447

22,802

만촌2

8,632

14,446

9,233

만촌3

9,204

19,073

13,567

수성1가동

9,491

20,098

14,455

수성2_3가동

10,658

10,008

3,719

수성4가동

9,430

15,788

10,173

황금1

9,397

12,302

6,667

황금2

10,308

14,444

8,356

중동

9,422

15,240

9,661

상동

8,641

18,429

13,300

파동

7,109

16,813

12,589

두산동

8,962

9,898

4,585

지산1

9,269

28,579

23,101

지산2

8,291

25,706

20,778

범물1

7,169

17,119

12,824

범물2

7,160

20,200

15,864

고산1

7,541

31,823

27,416

고산2

7,502

26,280

21,665

고산3

10,981

29,683

21,648

합계

207,701

425,298

- 

 

 

예측인구수와 실제인구수와 차이가 나는 이유

 

- 라우리 모델로 예측한 인구수와 실제인구수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는 기반산업만을 바탕으로 인구가 추정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떤 지역이 인구수는 많지만 기반산업이 발달되지 않은 곳이라면 기반산업 종사자가 적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인구를 예측하면 당연히 실측치보다 적은 값을 가지게 될 것이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지붕 재질에 따른 빗물 수질 실험(Experiment on quality of rainwater according to roofing material)

2013. 5. 15. 01:24 자료공유/물, 인간의 최소한의 권리

지붕 재질에 따른 빗물 수질 실험

Experiment on quality of rainwater according to roofing material

 

 

 

 

1. 실험

 

   - 지붕은 빗물이용시설에서 주로 집수면으로 사용됨.

   - 지붕 재질에 따른 빗물 수질을 비교함으로써 지붕재질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 개발도상국에 사용되는 지붕재질을 포함하여 적정기술로써 빗물이용시설을 적합성검토. 

 

 

 

 

2. 전체 시스템 구상도

 

 

 

 

3. 실험에 사용될 지붕 재질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시 및 지역분석] 도시공간구조 - 중력모델

2013. 5. 15. 00:06 자료공유/도시 지역 분석

 

 

도시 공간구조

- 중력모델실습-

 

 

 

1. 분석 목적

 시청이 있는 곳을 도심지로 가정하여, 도심지로부터 거리에 따른 인구밀도와 종사자 밀도를 그래프로 작성해본다. 이를 통해 대구광역시의 인구와 종사자의 분포가 접근성이 좋은 중심지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해본다.

 

 

 

2. 분석자료

 

▹ 분석 지역:  대구광역시

2000, 2010년 대구광역시 동 별 인구 수 (국가통계포털)

2000, 2010년 대구광역시 동 별 종사자 수 (국가통계포털)

동별 면적(대구광역시 각 구청) 

 

3. 분석결과

<1> 도심지로부터 거리에 따른 인구/고용자 밀도

 

동이름

도심지로부터 거리

인구

면적

인구밀도

2000

2010

2000

2010

동인1-4가동

0.0000

6,834

5,765

0.65

10513.85

8869.23

동인3가동

0.4005

4,974

4,693

0.65

7652.31

7220.00

삼덕동

0.5122

5,309

4,813

0.64

8295.31

7520.31

신천1-2

0.9034

18,012

11,943

0.47

38323.40

25410.64

신암2

1.0440

12,370

10,451

0.38

32552.63

27502.63

수성4가동

1.1570

17253

17384

0.84

20539.29

20695.24

대봉2

1.4823

5,620

4,102

0.25

22480.00

16408.00

신천3

1.4836

12,890

12,316

0.70

18414.29

17594.29

범어3

1.6014

11630

10,986

0.57

20403.51

19273.68

신암3

1.7486

12,603

9,738

0.61

20660.66

15963.93

수성2_3가동

1.8727

13659

11037

0.65

21013.85

16980.00

이천동

2.0249

15030

15657

1.09

13788.99

14364.22

남산3

2.1207

7,744

5,226

0.4

19360.00

13065.00

신천4

2.1422

12,856

9,101

0.78

16482.05

11667.95

범어2

2.5450

12709

12,084

1.13

11246.90

10693.81

중동

2.7917

16483

12790

1.20

13735.83

10658.33

황금2

3.0738

14878

13309

1.52

9788.16

8755.92

만촌1

3.8643

15512

24957

2.87

5404.88

8695.82

상동

4.0484

19055

15891

1.73

11014.45

9185.55

만촌2

4.0834

14859

13306

1.62

9172.22

8213.58

황금1

4.2695

20708

25253

3.50

5916.57

7215.14

봉덕3

4.3190

19422

18571

2.69

7220.07

6903.72

지저동

4.6671

13,511

11,538

1.94

6964.43

5947.42

두산동

4.7183

11011

12399

2.58

4267.83

4805.81

봉덕2

5.0730

14756

11985

3.07

4806.51

3903.91

동촌동

5.2960

15,125

13,634

5.34

2832.40

2553.18

파동

6.2750

16820

13222

7.61

2210.25

1737.45

불로_봉무동

6.5302

16,345

13,498

7.98

2048.25

1691.48

고산2

7.2633

26327

29733

31.92

824.78

931.48

도평동

9.8487

7,753

5,707

19.23

403.17

296.78

공산동

13.3521

15,857

16,364

83.70

189.45

195.51

 

 

 

도심지로부터 거리에 따른 인구 밀도 그래프

 

 

도심지로부터 거리에 따른 인구밀도를 그래프로 그려본 결과, 그래프가 일정한 추이를 나타내지 못했음. 따라서 일정추이를 나타내기 위해 범위를 벗어나는 데이터는 제외시킴.

 

2000년에 비해 2010년 인구수는 전체적으로 줄어들었음. 하지만 지역별 분포도는 2000년보다 균등해졌음.

 

 

 

도심지로부터 거리에 따른 고용자 밀도 그래프

 

 

 

도심지로부터 멀어질수록 종사자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일정하진 않음.

 

종사자수는 업종별로 증감의 추세가 다름. 전체적으로 2000년에 비해 2010년 종사자수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음. 도심지에 가까울수록 감소폭이 큰 것으로 보임.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을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들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시 및 지역 분석]중심지 이론; 예제를 통한 인구수와 순위 분석

2013. 5. 4. 22:27 자료공유/도시 지역 분석

 

■ 중심지수에 따른 지역 순위

Reference Number

Settlement

Population

Number of Functions

Centrality

Index

Rank Order

1

Newports

18,702

244

2115.3

1

2

Ryde

17,991

236

1803.9

2

3

Shanklin

7,496

168

1210.6

3

4

Cowes

7,212

165

1186.8

4

5

Ventnor

5,031

122

952

5

6

Sandown

5,110

127

876.5

6

7

Freshwater

4,070

89

648

7

8

E.Cowes

3,986

69

406.3

8

9

Totland

2,950

44

284.6

9

10

Lake

2,896

33

232.9

10

11

Bembridge

3,272

40

201.4

11

12

Seaview

2,225

31

201.2

12

13

Yarmouth

853

24

150.5

13

14

Wootton Bridge

1,423

21

108

14

15

Carisbrook

1,872

20

98.1

15

16

Brading

1,323

20

92.8

16

17

St. Helens

1,201

14

86.7

17

18

Godshill

1,067

16

72.9

18

19

Parkhurst

611

9

48.1

19

20

Niton

1,742

12

44.9

20

21

Brighstone

810

9

35.1

21

22

Arreton

609

8

34.1

22

23

Binstead

1,305

9

33.9

23

24

Northwood

1,512

10

25.5

24

25

Nettlestone

809

7

20.1

25

26

Wroxhall

1,189

7

18.9

26

27

Havenstreet

445

5

18.2

27

28

Chale

235

5

16.6

28

29

Newchurch

534

5

16.2

29

30

Blackgang

134

3

15.9

30

31

Calbourne

489

5

14.7

31

32

Shalfleet

551

4

13.1

32

33

Whitwell

581

5

12.1

33

34

Wellow

225

4

11.8

34

35

Shorwell

538

4

9.9

35

36

Porchfield

350

4

9.9

35

 

37

Chale Green

167

4

9.9

35

38

Apse Heath

238

3

9

38

39

Winford

209

2

8.5

39

40

St. Lawrence

279

3

7.2

40

41

Brook

218

2

7.2

41

42

Newbridge

394

3

7

42

43

Whippingham

250

3

7

43

44

Yaverland

180

2

6.6

44

45

Gurnard

268

2

4.6

45

46

Rookley

150

2

4.6

46

47

Chillerton

103

2

4.6

47

48

Whitey Bank

153

2

4.4

48

49

Ningwood

78

1

2.4

49

50

Mottistone

80

1

2.2

50

51

Thorley Street

75

0

0

51

52

Blackwater

69

0

0

52

53

Gatcombe

68

0

0

53

54

Moortown

62

0

0

54

55

Newtown

60

0

0

55

 

 

 

 

1. 지역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semi-logarithmic 그래프를 그려라.

 

 

 

2. Rank-size 그래프는 지역의 계층성(hierarchy)을 잘 뒷받침 해주고 있는가.

 

 

Answer) 중심지수(centrality Index)를 바탕으로 정해진 순위와 인구수 간의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추세선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인구수와 순위간의 일정 상관관계

가 있다. 만약 인구가 늘어나서 사람들이 사는 지역 분포도가 커지면, 어떤 한 기업이나 상점

에서 공급할 수 있는 범위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같은 상품을 제공하는 공급처가 입지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래프에서 인구 순위가 30 안팎의 지역에서는 점들은 추세선을 기준으로 멀리 분

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hristaller이론에 의하면 모든 공급자는 최소한의 적은 수의

중심지로 재화를 공급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그 결과 중심지들은 분산하여 분포된다고 하였

. 그러나 그래프에서 인구수 30위 지역은 하위 랭크된 지역보다 인구수가 적지만 중심지 수

가 높다. 이는 공급자들이 효율적인 입지선점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 1s1e of Wight의 지

역에서는 적은 수의 중심지에서 보다 넓은 지역에 재화와 서비스를 공급한다는 가설과는 다른

결과를 보인 것이다. christaller의 중심지 계층성에 따른 공간분포는 1s1e of Wight의 지역에서

는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

 

 

 

3. 인구수와 여러 기능의 상점의 관계를 나타낸 Log-Log 그래프에서 기울기 중가율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Answer)

그래프에 나타나는 증가율은 어떤 지역의 인구수가 증가할수록 그 주변의 다양한 업종의 가계들도 함께 증가함을 알려주는 것이다. 인구가 증가하면 일반적인 수요가 늘어날 것이다. 표의 수치를 바탕으로 작성된 아래 그래프를 참조하면, 일상생활에 필요한 여러 물건을 파는 잡화점(general store), 공공주택, 가전제품들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종주 도시에는 기본적인 삶을 충족시켜주는 상점이나 주택 외에 문화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영화관, 여행사, 사진관 등이 생겨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인구수가 종주도시에 비해 현저하게 적은 곳에서는 이러한 종류의 가계들을 거의 없음을 표 1.6을 통해 알 수 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시 및 지역 분석] 중심지 이론; 우리나라 도시 인구수와 순위 관계분석

2013. 5. 4. 22:04 자료공유/도시 지역 분석

 

우리나라 도시 인구수와 순위 관계분석

 

 

 

※개요

 

1990, 2000, 2005, 2010년의 도시 인구수에 따른 순위를 비교함으로써 종주도시가 어떻게 변해왔는지 확인해본다. 또한 다른 지역들의 인구수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각 지역의 인구수를 분석한다.  

 

 

 

1. Double-log paper 2개년도 그리기

 

 

 

 

 

 

1990년에서 2000년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전체적으로 인구수가 많이 증가했음. 1990년과

  2000년대의 인구수 낮은 지역에서의 편차는 크나, 인구수가 증가할수록 편차는 줄어듦.

 

1990년대부터 2010년까지 종주도시는 서울특별시임.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서울시 인구는 1990년대 1,060만 명에서 2000년대에 들어가면서 980만 명으로 줄어들었고, 2010년까지 960만 명으로 계속 줄어듦. 인구수 2위 도시인 부산도 마찬가로 줄어듦. 아래의 Primacy 경향을 보면, 2010년이 2.84로 가장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음. 이는 2010년에 접어들면서 서울특별시에서 줄어든 인구수보다 부산특별시에서 줄어든 인구가 더 많았다는 것을 알려줌.

 

 

 

 

이에 반하여, 인구수 1위인 서울특별시 주변 경기도 지역은 인구수가 계속 증가했음.

 

지역

1990

2000

2005

2010

인천광역시

1,817,919

2,475,139

2,531,280

2,632,035

수원시

644,805

946,704

1,044,113

1,054,053

성남시

540,754

914,590

934,984

936,267

 

인천광역시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고, 수원, 성남 순으로 증가율이 높다. 이는 서울시에 인구가 집중됨에 따라 교통정체가 심화되고 집값이 상승하게 됐음. 이에 따라 서울시에 살던 사람들은 경기도 지역으로 이동해서 좀 더 싼 가격으로 주택을 구매 및 분양 받아 거주하게 됨.

 

서울특벽시는 종주도시이긴 하지만 계속 인구는 증가하지 않을 것임. 최근 5년만 보더라도 인구는 감소했음. 하지만 우리나라의 주요 산업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분야의 산업과 서비스는 몰려들 것으로 예상. 현재의 추세에 따라 경기도 지방 인구는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임.

 

 

 

 

추세선을 이용하여 계수 q 구하기

 

 

 

1990

2000

2005

2010

q

1.128

1.077

1.08

1.101

 

q값을 통해 종주도시규모가 커졌을 때와 약해졌을 때는 확인할 수 있음. 1990년대는 종주도시의 인구수가 크게 확장된 반면에 2000, 2005년 종주도시규모가 약화되었음. 그러다 2010년 되어 다시 종주도시 규모가 확장되었음.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도시 및 지역 분석] 투입산출모형분석 - 산업간 의존관계 파악

2013. 5. 4. 21:42 자료공유/도시 지역 분석

 

 

투입산출 모형 분석

 

 

 

 

 

※개요

 특정지역의 관찰된 경제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투입산출표(input-output table)를 이용하여 지역의 경제를 분석한다

 

▣투입산출표란?

 일정 기간 동안 경제 내에서 생산된 제품에 대해 생산단계에서부터 최종 소비 단계까지 모든 과정에서 발생한 거래를 기록한 종합적인 통계표이다.

 

 

 

분석산업: 전기

 

 

 

1. 분석자료

 

sector

중간수요

최종수요

총수요

수입(공제)

총산출

기계

전기

금속

철강

기타

소비

투자

수출

중간

기계

550

400

300

400

250

650

950

630

4130

130

4000

전기

200

600

100

270

420

740

760

470

3560

70

3490

금속

250

350

700

210

180

870

920

840

4320

210

4110

투입

철강

350

100

650

900

330

940

1000

340

4610

150

4460

기타

150

140

260

330

460

2000

1650

920

5910

470

5440

부가가치

노동

1500

1100

1150

1250

2100

 

 

 

 

 

 

자본

1000

800

950

1100

1700

 

 

 

 

 

 

투입계

4000

3490

4110

4460

5440

 

 

 

 

 

 

 

Technical coefficient matrix(A)

sector

기계

전기

금속

철강

기타

기계

0.138

0.115

0.073

0.090

0.046

전기

0.050

0.172

0.024

0.061

0.077

금속

0.063

0.100

0.170

0.047

0.033

철강

0.088

0.029

0.158

0.202

0.061

기타

0.038

0.040

0.063

0.074

0.085

 

0.250

0.229

0.231

0.247

0.313

 

Technical coefficient matrix의 각 기술계수 구하는 방법: 각 산업을 투입계 총합으로 나눈값.

                                                         예) 기계 550/4000 = 0.138

 

 

위의 표에서 전기 제품 1단위를 생산하기 위해 기계제품을 0.115단위, 전기제품은 0.17

단위, 금속제품은 0.100 단위, 철강제품은 0.029단위, 그리고 기타산업의 제품은 0.040

단위가 각각 투입되었음을 가리킨다.

 

위의 표는 한 산업이 총생산이 증가하였을 경우, 한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다른 산업의 양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산업 총생산이 3490에서 5000으로 증가했다면 전기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철강사업의 양은 145단위(5000*0.029)가 되는 것이다.

 

투입산출 계수는 특정산업의 수요변화가 타 산업이 미치는 영향을 전적으로 나타내지는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2. 유형에 따른 승수값 변화

 

▣ Open Types

effect

분야

initial

firstround

(direct)

Total

(direct+indirect)

output

income

output

income

기계

0

0.115

0.029

0.196

0.049

전기

1

0.172

0.039

1.240

0.284

금속

0

0.100

0.023

0.174

0.040

철강

0

0.029

0.007

0.107

0.027

기타

0

0.040

0.013

0.083

0.026

합계

 

0.456

0.111

1.800

0.426

 

Multiplier

Output

1.800

income

1.702

 

가계부분의 소득과 소비를 외생부문으로 취급할 때 개방 투입산출 모형이라고 한다. (Open input-output model)

 

생산 승수는 어떤 산업에 대한 1단위 최종수요 변화가 전체 경제에 미치는 생산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기 산업의 생산 승수의 경우, 전기 산업 제품 1단위의 외부수요 증가는 “N”국 전체 1.800단위 생산을 증가시킨다. 이를 각 산업별로 살펴보면, 기계 산업 0.196 단위, 전기 산업 1.240단위, 금속 산업 0.174단위, 철강 산업 0.107단위, 그리고 기타 산업 0.083단위이다.

 

소득 승수는 최종 수요 변화가 가계 부문의 소득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전기 산업의 소득 승수의 경우, 외부 수요 1단위 증가는 국가 전체적으로 0.426단위 만큼 가계 부분 소득을 증가시켰다.

 

 

 

▣Close types

 

Effect

분야

initial

firstround

(direct)

Total

(direct+indirect)

output

income

output

income

기계

0

0.112

0.041

0.480

0.175

전기

1

0.169

0.052

1.527

0.472

금속

0

0.098

0.026

0.490

0.130

철강

0

0.028

0.008

0.493

0.134

기타

0

0.039

0.014

0.627

0.223

합계

 

0.447

0.141

3.617

1.133

 

Multiplier

Output

3.617

income

3.120

 

가계부문이 산업부문으로 내생화될 때 이를 가계부문에 대해 닫힌 폐쇄 투입산출 모형이라고 한다. (Closed input-output model)

 

전기 산업에서 생산승수의 경우, 전기 산업 제품 1단위의 외부수요 증가는 “N”국 전체 3.617단위 생산을 증가시킨다. 이를 각 산업별로 살펴보면, 기계 산업 0.480 단위, 전기 산업 1.527단위, 금속 산업 0.490단위, 철강 산업 0.493단위, 그리고 기타 산업 0.627단위이다.

 

전기 산업에서 소득승수의 경우, 외부 수요 1단위 증가는 국가 전체적으로 1.133 단위 만큼 가계 부분 소득을 증가시켰다.

 

 

 

 

 

 

 

 도움이 되셨다,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변이할당법(shift share method)을 이용한 지역 분석

2013. 4. 28. 23:33 자료공유/도시 지역 분석

변이할당법(shift share method)을 이용한 지역 분석

 

분석 지역: 대구광역시

분석 년도: 2000, 2005, 2010

분석 자료: 국가통계포털

 

 

2000~2005년

 

 

 

 

1차 산업인 농업, 어업, 광업의 고용자수는 점차 감소했음. 1차 산업의 고용자수의 감소는 농촌 및 어촌 거주민들의 고령화와 FTA로 인한 작물의 경쟁력 약화, 어족감소 등으로 인한 것으로 보임. 지역적으로 보면, 증가인원은 적지만 큰 비율로 증가했음.

 

국가변화측면에서 보면, 임업은 아주 큰 폭으로 증가했음. 지역적으로 보면, 증가 인원은 적지만 2000년 대비 큰 비율로 증가했음. 산림 조성 및 목재생산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그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인력이 보충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 됨. 또한 고부가 작물인 버섯류 재배업자들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됨.

 

 

 

 

2005년 ~ 2010년

 

 

 

 

산업별 지역변화는 국가 변화의 추세와 비슷함. 1,2차 산업은 점차 감소했으며, 3차 서비스와 오락관련 사업들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음.

 

국가변화와 지역변화에서 차이점은 농업과 임업에서 두드러짐. 국가적으로 농업고용자수는 줄어들고 있는 반면, 대구 지역은 농업고용자수가 늘어나고 있음. 이와는 달리, 임업은 국가적으로는 증가했지만 지역적으로는 감소했음.

 

 

 

 

변이 할당(shift-share) 기법의 한계

 

- 지역 경쟁 요인에 대한 근거가 전혀 없음. . 지역의 어떠한 생산 환경이 지역의 경쟁요인을 구성하는 가에 따른 이론적 배경이 없음.

 

- 지역의 경쟁요인은 시간에 대해 일정하다는 가정은 현재 급속히 변하는 기술과 지역 간 보급을 고려했을 때 적절치 않음.

 

- 지역 내 산업간 연관관계가 전혀 고려되지 않았음.

 

 

변이 할당(shift-share) 기법의 장·단점

 

-변이 할당법에 의한 지역경제의 예측은 수출산업 중심이 아닌, 지역 내 모든 산업의 변화를 각 요인별로 구분하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이 가능함.

 

- 두 기간동의 성장과정을 토대로 예측하기 때문에 두 기간사이의 산업특징이 반염됨.

 

- 변이 할당모형의 일정할당과 일정변의 가정은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 측정의 한계를 가짐.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을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수출기반모형 _ 입지상(Location Quotient, LQ) 계수

2013. 4. 18. 21:07 자료공유/도시 지역 분석

 

 

수출기반 모형

 

▶분석개요

 

분석지역: 대구광역시

분석년도: 2000,2005,2010

분석자료: 국가통계포털

 

 

 

1. 산업별 입지상(Location Quotient)계수

▣ 2000년

산 업 분 류

지역고용자수

국가고용자수

LQ

수출부문여부

수출부문

수입부문

농업

203

23,963

0.17

X

0

203

임업

14

843

0.34

X

0

14

어업

0

31,302

0

X

0

0

광업

153

21,406

0.15

X

0

153

제조업

164,819

3,333,018

1.01

O

1930

162,889

전기, 가스 및 수도사업

2,209

56,629

0.80

X

0

2,209

건설업

24,601

640,755

0.79

X

0

24,601

도매 및 소매업

133,919

2,493,217

1.10

O

12072

121,847

숙박 치 음식점업

75,890

1,555,985

0.99

X

0

75,890

운수업

40,405

765,300

1.08

O

3004

37,401

통신업

6,683

130,831

1.05

O

289

6,394

금융 및 보험업

26,803

613,580

0.89

X

0

26,803

부동산업 및 임대업

16,885

329,886

1.05

O

763

16,122

사업서비스업

20,696

619,007

0.68

X

0

20,696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25,089

520,932

0.99

X

0

25,089

교육 서비스업

45,191

921,158

1.00

O

173

45,018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26,777

487,902

1.12

O

2933

23,844

오락, 문화 및 운동관련 사업

16,373

318,409

1.05

O

812

15,561

기타공공,수리및개인서비스

38,150

740,151

1.05

O

1978

36,172

합 계

664,860

13,604,274

 

 

23,952

640,908 

 

대구지역은 전반적으로 전국에 비해 산업구조 기반이 약함. 경제성장를 보이는 산업이 없음.

 

2000년에 LQ값이 1보다 큰 산업은 제조업, 도매 및 숙박업, 운수업, 통신업, 부동산업 및 임대업 등으로 1.0~1.1사이의 값을 가짐. 이는 대구 지역은 전국에 비해 지역적으로 특화된 산업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임.

 

 

▣ 2005년

산업분류

지역고용자수

국가고용자수

LQ

수출부문여부

수출부문

수입부문

농업

266

22,812

0.25

X

0

266

임업

40

3,196

0.27

X

0

40

어업

-

6,286

0

X

0

0

광업

131

19,372

0.14

X

0

131

제조업

155,484

3,450,893

0.95

X

0

155,484

전기, 가스 및 수도사업

2,419

66,370

0.77

X

0

2,419

건설업

30,666

779,864

0.83

X

0

30,666

도매 및 소매업

131,073

2,440,701

1.14

O

15913

115,160

숙박 및 음식점업

81,161

1,696,133

1.01

O

1132

80,029

운수업

40,463

881,104

0.97

X

0

40,463

통신업

5,786

138,577

0.88

X

0

5,786

금융 및 보험업

29,293

591,969

1.05

O

1362

27,931

부동산업 및 임대업

18,699

404,290

0.98

X

0

18,699

사업서비스업

38,036

1,066,107

0.76

X

0

38,036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23,333

539,085

0.92

X

0

23,333

교육 서비스업

61,523

1,193,363

1.09

O

5217

56,306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35,220

647,746

1.15

O

4657

30,563

오락, 문화 및 운동관련 사업

19,298

396,290

1.03

O

600

18,698

기타공공,수리및개인서비스

41,812

803,313

1.10

O

3909

37,903

합 계

714,703

15,147,471

 

 

32,791

681,912

 

 

▣ 2010년

산업분류

지역고용자수

국가고용자수

LQ

수출부문여부

수출부문

수입부문

농업

316

21,044

0.33

X

0

316

임업

28

3,964

0.16

X

0

28

어업

0

5,410

0

X

0

0

광업

24

16,377

0.03

X

0

24

제조업

155,490

3417,698

1.01

O

1330

154,160

전기, 가스 및 수도사업

2,265

66,267

0.76

X

0

2,265

건설업

42,563

1180,659

0.80

X

0

42,563

도매 및 소매업

131,477

2617,891

1.11

O

13393

118,084

숙박 및 음식점업

78,269

1766,290

0.98

X

0

78,269

운수업

45,171

992,546

1.01

O

401

44,770

통신업

3,821

105,146

0.81

X

0

3,821

금융 및 보험업

35,188

706,859

1.10

O

3304

31,884

부동산업 및 임대업

17,544

440,556

0.88

X

0

17,544

사업서비스업

51,949

1,539,,067

0.75

X

0

51,949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32,319

663,673

1.08

O

2383

29,936

교육 서비스업

70,276

1,420,892

1.10

O

6185

64,091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54,934

1,084,758

1.12

O

6004

48,930

오락, 문화 및 운동관련 사업

13,818

322,881

0.95

X

0

13,818

기타공공,수리및개인서비스

41,030

842,479

1.08

O

3029

38,001

합 계

776,482

17,214,457

 

 

36,029

740,453

 

2005년과 2010년 사이 산업별 LQ값은 큰 변동이 없음. LQ값이 1보다 큰 산업들은 1.0~1.12범의 값을 가짐. 2000~2010년까지 전국 대비 지역적으로 특화된 산업이 없음을 알려줌.

 

 

 

LQ지수가 가지는 한계점

 

- 지역 산업의 수출 부문의 여부를 제시하여 주지만 그 산업의 수출 규모에 대해서는 제시하지 않음.

- 가정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함.

 

 

LQ지수의 문제점

 

- 가정의 비현실성 때문이 신뢰성이 떨어짐.

 

- 동일한 노동 생산성이라고 가정하는데, 노동생산성은 지역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지역 간 다르게 나타남. 동일한 노동 생산성이라는 가정과 함께 지역의 수출 규모를 계산했을 경우, 실제 수출규모보다 과소 또는 과대평가 될 가능성이 큼.

 

- 동일한 소비수준의 가정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함. 현재 소득의 불평등은 더욱 심화됨에 따라 빈부격차가 더욱 커지고 있음.

 

- LQ는 국가 간 무역을 배제시켰음. , 국가는 외부로부터 폐쇄된 경제라고 가정함. 그러나 실제에서는 존재할 수 없는 모형임. 수출의존도가 높은 산업이나 제품은 실제규모와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날 수 있음.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L'Étranger by kangsy85

Search

Category

First scene (1252)
프로필 (20)
일상의 관심사 (56)
삶을 살아내다 (396)
책과 글, 그리고 시 (259)
산업단지 (13)
도시재생 (4)
토목직 7급 수리수문학 (8)
토목직 7급 토질역학 (8)
자료공유 (88)
편집 프로그램 (9)
신앙 (286)
초대장 배포 (55)

Statistics

  • Total :
  • Today :
  • Yesterday :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Trackbacks

Copyright © Nothing, Everything _ Soli Deo Gloria All Rights Reserved | JB All In One Version 0.1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