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3. 28. 07:59 자료공유/도시 지역 분석
외삽법에 의한 인구 증가 추이 분석
1. 지역 선정 및 조사
1) 선정 지역: 대구광역시
2) 선정 배경
대구광역시에서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대학교 졸업할 때까지 약 20년을 살았다. 하지만 대구가 어떠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지, 다른 도시들과 다른 특성들은 무엇인지 젼혀 모르고 있다. 대구를 선정하여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대구에 대한 정보를 많이 습득하여 대구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함이다.
3) 대구광역시의 특성
➀ 위치
대한민국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다. 동쪽으로 경상북도 경산시,영천시, 서쪽으로 고령군, 성주군, 북쪽으로 군위군, 칠곡군, 남쪽으로 청도군, 경상남도 창녕군이 인접한다.
<그림-1> 대구 위치
➁ 지형 및 기후
- 대구는 북동부와 남부는 산지로 둘러싸여 있고, 서부가 상대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분
지형 지형이며, 겨울에는 춥고 여름은 무더운 내륙분지형 기후의 특성을 가짐.
- 2008년 연평균 기온은 15.0℃로, 월평균기온은 8월이 27.6℃로 가장 높고, 1월이
3.3℃로서 가장 낮음.
- 대구지역의 지난 30년 간((1973년~2002년) 강수량은 1,035.8㎜로 우리나라의 대표
적인 과우지역임. 1년 중 6~9월에 비가 가장 많이 내리며, 2008년 총 강수량은 973.9
㎜이며, 월강수량은 가장 많은 달은 8월로 198㎜이다. 반면에 1월 강수량은 30㎜에 지
나지 않음.
➂도시 발전 특성
- 1769년 서문시장을 비롯한 물물교환기구가 1,604개처로서 활발한 물물교환으로 약
령시와 더불어 상업의 중심지를 형성함.
- 1941년 제1공업단지 면적 862,000㎡를 조성하여 방직공장을 건설함으로서 전국 제
1의 섬유공업도시로 발전되어 우리나라 근대공업의 선도적 역할을 담당함.
- 1981년 대구직할시로 승격되고, 1995년에 대구광역시로 확장됨
2. 인구 증가 추이 분석
1) 참조연도 기간 : 1950~2000
2) 인구 증가율 분석
<표1> 예상인구 추정
년도 |
인구수 (명) |
인구증가율 |
예상인구 |
1950 |
296,406 |
- |
227,243 |
1960 |
675,644 |
127.9 |
690,710 |
1970 |
1,063,513 |
57.4 |
1,154,177 |
1980 |
1,604,934 |
50.9 |
1,617,645 |
1990 |
2,227,979 |
38.8 |
2,081,112 |
2000 |
2,473,990 |
11.0 |
2,544,579 |
|
|
|
3,008,046 |
|
|
|
3,471,513 |
|
|
|
3,934,980 |
1960년대에 급격히 인구가 증가하지만 그 후로 인구증가율은 차츰 떨어져서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11%라는 낮은 수치를 보여줌. 이는 대구 주력산업이 섬유와 패션이 불황을 겪으면서 대구로 유입되는 산업인구의 감소와 IMF로 인한 생계위축으로 저출산이 확산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됨.
3) 인구 추정식의 선택
<표2> CRV, ME, MAPE 비교
추정식 종류 |
CRV |
ME |
MAPE |
Linear |
33.1 |
0.0 |
6.11% |
Geometric |
67.2 |
-27890.1 |
20.35% |
Parabolic |
587.8 |
0.0 |
5.45% |
Mod Exp* |
43.8 |
0.0 |
3.58% |
Mod Exp UL |
43.8 |
11000.9 |
39.24% |
Gompertz* |
43.0 |
2727.4 |
4.75% |
Gomp UL |
43.0 |
-13833.5 |
7.37% |
Logistic* |
45.3 |
7048.7 |
4.94% |
Log UL |
43.0 |
10622.6 |
5.75% |
|
|
|
|
|
|
|
|
■ CRV, ME, MAPE 비교의 의한 선택
- 먼저, ME가 값이 가장 0인 것을 기준으로 MAPE에서 낮은 값을 가지는 추정식를 가려냄. 낮은 값을 가지는 추정식은 Linear, Parabolic, Mod Exp*이 각각 6.11%, 5.45%, 3.58%임. Parabolic은 CRV값이 상대적으로 너무 크기 때문에 제외하도록 함.
- 추정식의 특성상, Mod Exp*(수정된 지수 곡선식)은 시간대별로 변화된 인구의 비가 일정한 곳에 적절함. 그러나 대구지역의 인구증가율은 1960년대에 급격히 증가했다가 10년 단위로 큰 폭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Mod Exp*은 부적합하다고 생각함. 따라서 Linear식을 가장 적합한 추정식으로 결정함.
3. 국가통계청 인구수와 외삽법추정 인구수의 비교
년도 |
외삽법 인구 추정 |
대구기본도시계획 |
인구차이수 |
2000 |
2,544,579 |
2,538,000 |
6,579 |
2010 |
3,008,046 |
2,575,000 |
433,046 |
2020 |
3,471,513 |
2,600,000 |
871,513 |
※대구기본도시계획은 2000년 기준으로 향후 2020년까지 인구수를 추정하였으므로 2020년까지만 비교하도록 함.
- Linear식에 의해 추정된 인구수와 대구기본도시게획에 추정인구수 차이는 년도가 커질수록 더 커짐. 따라서 외삽법에 의해 추정식을 선택하는 기준에 문제가 있었음을 알려줌.
- 국가통계포털에서 1985년 전에 대구광역시 인구통계는 나와 있지 않아서 다른 사이트를 통해 인구통계를 얻었다. 그래서 1950~80년의 출처와 1990~2000의 출처가 다르다. 다른 출처에서 나온 인구통계치를 합쳤기 때문에 미래인구를 예측하는데 오차범위가 더 커진 것으로 생각된다.
- <표3>으로부터 대구도시기본계획에서 추정된 인구수는 Mod Exp UL과 가장 근접함을 알수 있음. 대구기본도시계획의 예상인구수는 2000년을 기준으로 조성법으로 추정됨. Mod Exp UL은 CRV,ME, MAPE를 비교할 때, ME값이 상당히 커서 처음부터 제외된 추정식이다. 이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은 ME값이 추정식의 정확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Mod Exp UL의 MAPE의 값이 가장 높다는 것을 감안하면, 외상법에 의한 추정식의 정확성을 이론적으로 MAPE, CRV, ME 값의 판단 가능한가에 대한 의구심이 듬.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 습니다.
변이할당법(shift share method)을 이용한 지역 분석 (0) | 2013.04.28 |
---|---|
수출기반모형 _ 입지상(Location Quotient, LQ) 계수 (0) | 2013.04.18 |
로렌츠 곡선을 통한 지역분석 (0) | 2013.04.11 |
조성법 _ 인구 이동률을 고려한 인구추정 (0) | 2013.04.04 |
조성법(Cohort-Component Method)을 이용한 인구 추정 (0) | 2013.03.29 |
2013. 3. 14. 00:19 자료공유/물, 인간의 최소한의 권리
"2013년 세계 물의 날"을 기념하여 <"빗물은 자원이다"-국회의 역할은?>란 주제로 국회 정책 토론회를 가집니다.
표1
<표 1>을 보면 한국은 연평균 수자원 총량 1,240억㎥중 42%에 해당되는 517억 ㎥가 증발, 침투 등에 의하여 손실되며, 나머지 58% 697㎥는 하천을 통하여 유출됩니다. 하천유출량 697억㎥중 522억㎥는 홍수시 바다로 유출되고, 201억㎥ 평상시에 유출됩니다. 실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물의 양은 337억㎥으로 총의 27%에 불과합니다.
우리나라의 수자원 중 많은 부분이 손실되거나 바다로 유실되게 하는 물 관리에 문제가 있다. 그에 반해 물이용량은 1965년 51억㎥에서 2003년 337억㎥으로 약 30년 동안 6배 이상 증가(인구는 2,870만 명에서 4,780만 명으로 1.7배 증가)하였다. 증가하는 물 수요에 대한 수자원의 확충이 필요합니다. 그 대안이 빗물입니다. 빗물은 흘려보내지 말고 잘 모아서 관리한다면 현재 염려하는 미래의 물부족현상에 대처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 정부측에서는 빗물을 수자원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으며, 국가 정책 및 제도면에서 문제점이 많습니다. 따라서 이번 국회 정책토론회를 통해 그 문제점을 짚고, 새로운 물 정책 대안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국회 정책 토록회에 관심이 있으시거나 참여하시길 원하시는 분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전화는 연구실 전화번호로 해주시고, 문자는 개인번호를 통해 보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메일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많은 시민들의 참여는 빗물 관리 정책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데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 생각만으로 변화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행동하고 참여할 때, 비로소 변화는 시작됩니다. 변화를 일으키는데 동참하시고자 하는 많은 분들의 연락 기다리겠습니다.
연락처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상수도 시스템 연구실: 02-880-7375
첨부파일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수돗물 소독약(염소) 냄새,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대처방안은 없는가? (0) | 2013.04.18 |
---|---|
일인당 하루 물사용량(Liter Per Capital Day, lpcd) (2) | 2013.04.05 |
'빗물은 자원이다'- 빗물이용 확산을 위한 국회정책토론회 (0) | 2013.03.28 |
조류의 종류와 특성 (0) | 2013.03.07 |
빗물을 이용한 생활용수 시스템 (0) | 2012.11.26 |
2013. 3. 7. 15:40 자료공유/물, 인간의 최소한의 권리
1. 조류의 정의
1) 조류(藻類, algae) 정의
(1) 식물플랑크톤으로 알려져 있고, 수중에서 햇빛이 있는 상태에서 이산화탄소나 질소, 인과 같은 영양염류를 섭취하여 자라며, 물벼룩이나 물고기의 먹이원이 되는 생물이다.
(2) 대부분 100~1000배로 확대해야 보이는 현미경적 크기의 생물로 세균보다 크고, 원생동물보다 적은 크기를 가진다
(3) 엽록소(클로로필)를 가지고 있어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생산하므로 식물처럼 간주되기도 하며, 조류의 다수를 측정하기 위해 엽록소를 측정하기도 하기도 한다.
2. 조류(藻類)의 종류
1) 조류의 분류는 학자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사람에서부터 13개 그룹으로 분류하는 사람까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에 따라서 분류한다.
•조류의 형태적 특징
•조류가 가지고 있는 색소(pigments)의 성질과 특성
•세포내의 저장물질의 특징
•편모(flagella)의 형태, 수, 부착 위치
•세포벽의 화학적 구성과 물리적 특징
•증식방법
2) 일반적으로 남조류, 규조류, 황색편모조류, 갈색편모조류, 녹조류, 와편모조류, 유글레나조류, 홍조류, 갈조류 등으로 구분한다.
① 남조류
가. 남조류는 단세포로서 세균처럼 핵막이 없고, 엽록소와 남조소를 가지고 있어 광합성을 하며 이분법으로 번식한다. 단세포인 남조류는 대부분 여러 세포들이 모여 실모양으로 군체를 이루고 있어 다세포 생물처럼 보인다.
나. 대부분의 남조류는 플랑크톤의 범주에 들어가며 어류의 먹이가 된다. 토양, 바위, 나무 위, 바다, 연못, 수영장, 또는 물이 새는 수도꼭지 등과 같은 수중 환경에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점액질의 껍질을 가지고 있어 건조한 환경에도 잘 견딘다.
다. 유기물을 많이 포함한 물이 호수나 강물에 유입되면 유기물 속의 인산이나 질산 등이 비료 역할을 하여 남조류가 폭발적으로 번식한다. 이는 강물이 녹색으로 변하는 녹조 현상의 원인이 된다.
②녹조류
가. 색소체(色素體)가 다량의 엽록소(葉綠素)를 가지고 있어 녹색을 띠는 조류(藻類)이며, 클로로필 a 및 b를 고등식물과 거의 같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고 그 밖에 고등식물과 같은 카로티노이드 색소를 가진다. 색소체는 흔히 녹말형성체 피레노이드를 가지고 광합성(光合成)에 의해 녹말을 만든다.
다. 무성생식(無性生殖)은 배우자를 닮은 유주자(遊走子)로 보통 행해지며, 그 밖에 부동포자(不動胞子)·휴면포자(休眼胞子) 등도 만든다.
라. 그 종류는 많은데, 클로렐라와 같이 단세포로서 섬모도 없고 운동력도 없지만, 무수히 번식하여 물을 녹색으로 만드는 것, 파래와 같이 사상(絲狀) 또는 지상(紙狀)으로 퍼져 나가는 다세포를 가진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 클로렐라
01 |
02 |
03 | ||
▲Cryptomonas sp. |
▲Eudorina sp. |
▲Pediastrum sp. |
마. 하천이나 도수로(導水路), 여과지 등에 번식하여 수로를 방해하고, 착색, 발취(發 臭), 막힘 등의 원인을 이룬다. 염소나 황산동 등의 살균제에 강한 종류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낙동강
③ 홍조류
가. 대부분이 바다에 살며 적색 또는 적자색을 띠고, 엽록소 a와 d(일부) 외에 피코빌린계 색소로서 피코시아닌과 피코에리트린을 가진다. 대부분이 다세포체이고, 현 미경적인 크기를 가지는 것부터 1~2m에 이르는 큰 개체도 있다.
나. 홍조류는 무성생식으로 사분포자 · 단포자 · 이분포자 등을 형성하는데, 이들은 복상인 포자체에서 감수분열로 형성되며, 특히 사분포자는 종류에 따라서 환형(環形) · 십자형(十字形) 또는 삼각추형(三角錐形)으로 갈라진다.
라. 유성생식은 단상인 배우체가 정자와 조과기(造果器)를 각각 형성하고 이들의 수정 결과 만들어지는 과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수정으로부터 과포자를 형성하는 과정은 홍조류의 분류군에 따라서 다른 독특한 형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것을 분류 군의 주요한 식별형질의 하나로 삼는다.
마.홍조류는 크게 나누어 김 · 보라털 등이 속하는 원생홍조아강(Bangiophycidae ;
Protoflorideophycidae)과 우뭇가사리 · 꼬시래기 등이 속하는 진정홍조아강
(Florideophycidae)으로 갈리며, 전자에는 마디털목(Goniotrichales) · 보라털목
(Bangiales) 등이, 후자에는 국수나물목(Nemaliales) · 우뭇가사리목(Gelidiales) · 지
누 아리목(Cryptonemiales) · 돌가사리목 (Gigartinales) · 로디메니(Rhodymeniales) ·
비단풀목(Ceramiales) 등이 있다.
▲외흐늘풀
바. 우리 나라에서 나는 해조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동 · 서 · 남해안과 제주도에 골고루 분포하고 있는데, 담수조류에 속하는 종류도 있다.
④ 규조류
가. 현생종은 6,000∼1만 종으로 알려져 있다. 흔히 돌말이라고 부르는 종류이며 황조식물(黃藻植物)의 1강으로 분류하기도 하고, 규조식물문으로 독립시키기도 한다. 민물과 바닷물에 널리 분포하는 플랑크톤이며 수중생태계의 생산자로서 어패류의 먹이로도 중요하다.
나. 모두 단세포이고 규산질로 된 단단한 껍질이 있다. 껍질은 위껍질과 아래껍질로 구별되며 위껍질이 아래껍질을 반쯤 덮고 있어서 마치 벼루상자의 뚜껑과 몸집처럼 서로 가까이 붙어 있다. 따라서 위에서 본 모양과 옆에서 본 모양이 다르다. 껍질에는 기하학적인 여러 가지 무늬와 돌기가 있어서 아름다운 무늬를 나타낸다.
다. 몸 속에는 많은 세포액이 있으며, 색소체로는 엽록소와 규조소(diatomin)가 있고, 동화산물은 녹말이 아니고 지방과 볼루틴(volutin)이라는 다당류이다.
라. 생식은 무성생식으로서 2분법(二分法)으로 번식하는데 그 방법이 특이하다. 처음 원형질이 둘로 나뉘어 위껍질과 아래껍질로 들어가고 난 뒤 위·아래의 껍질이 떨어져 나가며, 각각 새로운 껍질이 본래 껍질의 안쪽에 생긴다. 껍질은 자라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분열을 계속하면 크기가 점점 작은 개체들이 나온다.
마. 작아진 개체들은 때로 세포 안의 원형질이 껍질을 벗어나 밖으로 나와 자란 뒤, 껍질을 다시 만들어 원래의 크기대로 회복된다. 이런 경우 새로운 껍질을 쓰기 전에 탈출한 원형질은 보통의 형태와는 다른데, 이것을 증대포자(增大胞子)라고 한다. 이와 같이 규조류는 2분법으로 번식하다가 크기가 작아지면 증대포자를 이루어 원래대로 회복한다.
01 |
02 |
03 | ||
▲Stephanodiscus sp |
▲Cyclotella sp |
▲Aulacoseira sp |
⑤ 황색편모조류(黃色鞭毛藻類)
규조류 ·황록조류(부등모조류)의 대부분과 편모조류의 일부를 포함한다. 함유색소가 엽록소에서는 a와 c가 있고 b가 없으며, 다시 카로티노이드류를 다량으로 함유하고, 체색은 황록색 또는 황갈색을 띤다. 또 동화산물과 저장물질은 유지(油脂) 또는 고급알코올류이다.
⑥와편모조류
가. 엽록소 a 와 c, β-카로틴, 크산토필계 페리디닌(peridinin) 색소를 갖는 조류로 두 개의 편모를 가진다.
나. 서로 다른 운동을 하는 두 개의 편모를 세포의 정단부 또는 복부에 가지고 독립영양, 혼합영양, 섭식영양, 기생, 공생 등의 다양한 영양 상태를 보이는 단세포 편모류. 독립영양체는 광합성 색소를 가지고 식물플랑크톤으로 출현하고 때로 적조를 일으키기도 한다. Noctiluca(야광충)는 광합성 색소 없이 다른 원생생물을 포식하는 동물플랑크톤으로 출현하고, 일부 종은 다른 원생동물에 기생하여 숙주를 사멸시키며, 또 다른 일부 종은 황록공생조류(Zooxanthellase)로 출현하여 유공충, 산호충 등의 내부에 공생한다.
⑦ 유글레나 조류
녹색을 띠는 단세포 편모조류로 엽록소 a와 b 및 카로틴과 크산토필계 색소를 가지고, 원형질막 안쪽에 pellicle이라는 단백질성 막을 가짐. 색소가 없는 동물성의 유글레나도 있다.
▲Lepocinclis fusiformis
참고 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http://ihe.busan.go.kr/05result/02_10_04.jsp
http://psf.co.kr/sub/sub4-3.htm
http://blog.naver.com/PostList.nhn?blogId=solus43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수돗물 소독약(염소) 냄새,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대처방안은 없는가? (0) | 2013.04.18 |
---|---|
일인당 하루 물사용량(Liter Per Capital Day, lpcd) (2) | 2013.04.05 |
'빗물은 자원이다'- 빗물이용 확산을 위한 국회정책토론회 (0) | 2013.03.28 |
[초청] "2013 세계 물의 날" 기념 국회 정책토론회: <빗물은 자원이다-국회의 역할은?> (0) | 2013.03.14 |
빗물을 이용한 생활용수 시스템 (0) | 2012.11.26 |
2013. 2. 24. 19:14 자료공유/대학원 진학
1. 서울대학교 대학원, 가다.
http://kangsy85.tistory.com/49
2. 서울대학교 대학원, 면접가다.
http://kangsy85.tistory.com/65
3. 서울대학교 대학원 결과, 발표나다.
http://kangsy85.tistory.com/66
4. 대학원 진학 및 연구실 컨택시 유의할 점 2(교수 스타일, 인건비 지급)
http://kangsy85.tistory.com/786
5. 대학원 진학 및 연구실 컨택시 유의할 점 3
Soli Deo Gloria
대학원 진학에 대한 몇 가지 팁들을 글로 써보고자 합니다. 글은 필자의 경험을 토대로 대부분 작성되며, 일부는 주위 사람들에게 얻은 정보를 참고했음을 알립니다. 유의해야 할 점은 필자는 서울대학교 대학원 한 곳에만 지원해봤기 때문에, 타 대학교 대학원 또는 타 과의 지원 절차와 진행 과정은 알지 못합니다. 따라서 그 지원자들에게 필자의 정보가 유익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필자는 타 대학교 대학원 진학에 유용한 정보들을 공유하길 원하는 분들을 찾고 있습니다. 혹시 아무런 대가 없이 대학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은 사람은 댓글 달아주시길 바랍니다. 필자가 대학원 준비할 때 궁금한 점 위주로 작성한 질문을 보내 드릴것입니다.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답 메일을 바탕으로 내용을 재구성하여 메일 보내주신 분에게 검토 받은 다음, 포스팅 할 예정입니다. 그러면 본론으로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대학원생은 크게 두 가지 경우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경우는 연구실에 출퇴근하면서 연구와 수업을 병행하면서 연구실 관련 일들도 처리하는 것이고, 두번째 경우는 대학원 수업만 듣고 남는 시간에 대해서는 자율적으로 사용 가능한 경우입니다. 전자는 연구나 실험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단과대학원(공과대학, 농과대학, 자연과학대학 등)이며, 후자는 대학원생을 적게는 십단위에서 많게는 백단위로(명) 뽑는 경영대학원, 행정대학원, 교육대학원 등이 있습니다.
지원하는 대학원에 따라 컨택의 방향과 목적, 그리고 중요성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전자(연구실 생활과 수업병행하는 대학원)의 경우, 컨택 목적은 교수님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면접 전에 한 번 찾아뵙는 것입니다. 교수님과 컨택을 시도했다가 실패했을 경우, 해당 연구실 학생들에게 어떻게 교수님께 컨택해야 하는지 조언을 구해야 할 것입니다. 여기서 주의 할 점은, 친절하게 도와줄 것 같은 연구원을 고르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연구실 홈페이지에는 연구생들의 사진과 메일주소가 첨부되어 있으니, 잘 살펴보고 정중히 컨택을 시도하시길 바랍니다. 연구생 컨택을 위해 메일을 쓸 때, 먼저 자신의 소속을 정확히 밝힌다음, 자신이 처한 상황을 공감할 수 있게 어필해야 함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무턱대고 도와달라는 감정 호소식 메일에는 답장이 오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후자(수업만 듣는 대학원)의 경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컨택의 중요성이 그리 크지 않다고 봅니다. 컨택을 안하는 것보다 하는 것이 낫겠지만, 면접 전 당락의 기준이 서류전형과 지필고사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컨택을 하기위해 힘을 소비하지 말고 지필고사 준비에 더욱 전념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필고사 기출문제는 해당 연구실 사람들에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지원하고자 하는 전 학기에 입학한 연구생들이라면 충분히 지필고사에 무엇이 나왔는지 기억하고 있을것입니다. 전자의 경우와 같이 메일을 통해 정중히 컨택을 시도해 보시길 바랍니다. 대학원 준비를 같이 했던 분은 해당 연구실 사람을 컨택해서 지필고사 기출문제에 대한 귀중한 정보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원 특성에 따라 컨택 목적과 준비 과정을 달리 해야 할 것입니다. 서울 상위 대학원이더라도, 경험상 대학원 합격의 문턱은 생각보다 그리 높지 않다고 봅니다. 따라서 지원 대학원 전형과 특성을 잘 파악한 다음, 계획적으로 준비해서 좋은 성과를 거두시길 바랍니다.
1. 서울대학교 대학원, 가다.
http://kangsy85.tistory.com/49
2. 서울대학교 대학원, 면접가다.
http://kangsy85.tistory.com/65
3. 서울대학교 대학원 결과, 발표나다.
http://kangsy85.tistory.com/66
4. 대학원 진학 및 연구실 컨택시 유의할 점 2(교수 스타일, 인건비 지급)
http://kangsy85.tistory.com/786
5. 대학원 진학 및 연구실 컨택시 유의할 점 3
Soli Deo Gloria
도움이 되셨다면, 좌측 아래의 하트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들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대학원 진학(지원) 및 연구실 컨택시 유의할 점 2 (교수스타일, 인건비지급) (0) | 2017.01.18 |
---|---|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숙사 918동 방 구조 (A) (2) | 2014.03.08 |
서울대학교 대학원 결과, 발표나다. (22) | 2012.12.05 |
서울대학교 대학원, 면접가다. (14) | 2012.12.03 |
서울대학교 대학원, 가다 #1(대학원 지원서 포함) (4) | 2012.10.27 |
2012. 12. 7. 12:27 자료공유/신재생 에너지
신 재생에저지는 재생에너지와 신에너지로 분류된다. 재생에너지는 8개로 태양열, 태양광, 바이오, 풍력, 수력, 해양, 지열, 폐기물 에너지이다. 신 에너지는 3개로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이다. 재생에너지 중 몇 개는 신 재생에너지 카테고리에 포스팅 되어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신 에너지 중 연료전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연료전지의 최종생성물은 물이다. 가장 무공해적 재생에너지라 할 수 있다.
1. 기본원리
연료전의 기본원리는 수소와 산소가 가지고 있는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반을 통하여 직접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고효율 무공해 발전장치다. 연료전지는 연료극과 공기극으로 나뉘어진다. 나중에 그림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연료극(anode)에 수소, 공기극(cathode)에 산소가 공급되고 물의 전기분해 역반응을 통해 산소이온과 수소이온이 결합하여 전기, 물, 빛을 생성한다.
연료전지 반응과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면,
1. 연료극에 공급된 수소가 수소이온과 전자로 분리된다. 연료전지는 산화반응을 통해 전자를 내어놓고, 환원반응을 통해 전자를 받아들이는 전기화학적 기초를 바탕으로 진행된다.
2. 수소이온은 전해질을 통해 공기극으로 이동하고, 전자는 외부회로를 통해 공기극으로 이동한다.
3. 공기극에서 수소이온과 산소이온이 만나 최종산물인 전기, 물, 빛을 생성한다.
참고로, 전류는 (+)에서 (-)으로 흐르고, 전자는 그 반대로 흐른다.
2.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은 개질기, 연료 단위전지, 전력변환기(Inverter) 등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면, 개질기는 천연가스, 메탄올 등을 수소가 많은 연료로 변화시킨다. 연료 단위전지는 전해질을 포함한 판, 연료극, 공기등으로 구성되면 통상 0.6~0.8V의 낮은 전압이 발생된다. 전력변환기 연료전지에서 나오는 DC전류를 가정에서는 사용하는 AC전류로 변화시키는 장치이다.
*아래는 연료전지의 종류와 특성에 대한 표이니 참고하기 바란다.
현재 연료전지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대체하는 수송용 동력원을 비롯하여 이동 및 비상용 전원, 군사용 전원등으로 활발히 개발중이다. 하지만 연료전지는 재료의 물리적 한계와 동작에 따른 고열발생 등으로 인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구성재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소재기술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참고 사이트
1. energynatura.org
2. howeng.co.kr
3. amenews.kr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태양전지에 대한 논의, 기본원리 (0) | 2012.11.30 |
---|---|
해양에너지 (0) | 2012.11.27 |
바이오 에너지. (3) | 2012.11.14 |
소수력 발전 (0) | 2012.11.14 |
풍력 에너지 (0) | 2012.10.29 |
2012. 12. 5. 14:17 자료공유/대학원 진학
Soli Deo Gloria
1. 서울대학교 대학원, 가다 #1
http://kangsy85.tistory.com/49
2. 서울대학교 대학원, 면접가다.
http://kangsy85.tistory.com/65
3. 대학원 진학을 위한 사전 컨택시 유의할 점 1
http://kangsy85.tistory.com/85
4. 대학원 진학 및 연구실 컨택시 유의할 점 2(교수 스타일, 인건비 지급)
http://kangsy85.tistory.com/786
5. 대학원 진학 및 연구실 컨택시 유의할 점 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원 합격 지원서 다운로드(유료):
합격자 발표 예정일은 2012년 11월 30일(금) 19:00 이후였다. 그 주 월요일부터 합격자 발표가 기다려지기 시작했다. 하루 하루가 더디게 흘러갔다. 다행인것은, 전공 프로젝트 과제가 만만치 않아, 며칠 밤을 꼬박 프로젝트만 붙잡고 있느라 생각보다 시간은 빨리 흘러갔다.
11월 30일 아침, 함께 지원한 분으로 부터, 카카오 톡 메시지가 왔다.
"합격 하셨나요?"
발표시간이 아직 안 되었기에 되 물었다. "발표 오늘 저녁 아닌가요?"
그 분 왈
"벌써 뜬 것 같아요!"
듣고 있던 인터넷 강의를 일시정지 해놓고 빛의 속도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합격자 발표홈페이지로 이동했다. 주민등록번호를 통해 합격여부를 확인가능했다. 13자리의 숫자만 입력하면, 고대하던 대학원 합격여부를 알 수 있다. 시험을 준비할 때는 많이 떨리고 걱정되지만, 막상 시험지를 받아 시험을 칠 때면 무덤덤해지는 그런 기분이랄까. 어차피 결과는 서울대에서 결정했으니, 떨어졌다 한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다. 결과에 수긍하는 것 밖엔. 침착하게 주민등록번호 13자리를 입력했다. '조회' 버튼을 조심스럽게 클릭했다.
결과는 '합격'
처음엔 무덤덤 했으나, 계속 보고 있으니 합격했다는 실감이 나길 시작했다. 그래 붙었구나. 그간 대학원 진학을 위해 준비한 과정들이 하나씩 떠올랐다. 만만치 않았던 텝스, 601점을 넘지 못하면 지원조차 못할거라는 두려움이 텝스 준비기간동안 늘 나를 괴롭혔다. 또한 처음 써 본 자기소개서를 읽고 또 읽으며 몇 십번 수정해나갔던 번거로움, 중간고사와 면접을 같이 준비해야 했던 부담감, 그간 어려움들이 추억으로 넘어가고 있었다.
그런데 여기서 대학원 진학에 대해 한 번 살펴볼 것은, 나와 같은 랩에 지원한 사람은 나를 포함 두명이었다. 그 중 한 분은 불합격했다. 나는 지원자가 두명이니, 당연히 두명 다 합격시킬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결과는 달랐다. 그 분은 교수님과 사전에 접촉 하지 않았다. 한번 지원에 대해 문의메일을 보냈으나, 교수님이 답장이 없어서 그 다음에 다시 보내지 않았다 이야기 했다. 사전 컨택이 어느정도 합격에 비중을 차지 할지 모르나, 분명 합격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법이다.
그리하여 난, 이렇게 말하고 싶다.
대학원 지원자에게 꼭 필요한 것은,
대학원 지원전에 교수님과 컨택하는 것이라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수님 컨택시 메일 작성요령(유료):
아무튼, 대학원 지원에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인사 올려드린다.
Soli Deo Gloria
1. 서울대학교 대학원, 가다 #1
http://kangsy85.tistory.com/49
2. 서울대학교 대학원, 면접가다.
http://kangsy85.tistory.com/65
3. 대학원 진학을 위한 사전 컨택시 유의할 점 1
http://kangsy85.tistory.com/85
4. 대학원 진학 및 연구실 컨택시 유의할 점 2(교수 스타일, 인건비 지급)
http://kangsy85.tistory.com/786
5. 대학원 진학 및 연구실 컨택시 유의할 점 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원 합격 지원서 다운로드(유료):
도움이 되셨다면, 좌측 아래의 하트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숙사 918동 방 구조 (A) (2) | 2014.03.08 |
---|---|
대학원 진학을 위한 사전 컨택 시 유의할 점 1 (4) | 2013.02.24 |
서울대학교 대학원, 면접가다. (14) | 2012.12.03 |
서울대학교 대학원, 가다 #1(대학원 지원서 포함) (4) | 2012.10.27 |
[대학원 진학] 만만치 않았던 TEPS, 601점의 문턱을 넘다. (11) | 2012.09.11 |
2012. 12. 3. 13:56 자료공유/대학원 진학
대학원 진학 관련 글
1. 서울대학교 대학원, 가다 #1
http://kangsy85.tistory.com/49
2. 서울대학교 대학원 결과, 발표나다.
http://kangsy85.tistory.com/66
3. 대학원 진학을 위한 사전 컨택시 유의할 점
http://kangsy85.tistory.com/85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원 합격 지원서 다운로드(유료):
Soli Deo Gloria
면접날짜가 중간고사 시험기간이랑 겹쳐버렸다. 면접일에 전공과목 시험이 있었다. 교수님께 찾아가 상의한 결과, 기말시험을 100%으로 환산해 주시기로 했다. 다행이다. '면접가는건 니 사정이고!'라고 교수님께서 말했으면, 아마 심히 따졌으리라. 편의를 봐주셔서 감사하다.
면접시간은 오후 3시였다. KTX 시간만 고려한다면, 오후 12시나 1시에 올라가도 된다. 하지만 서울지리에 익숙하지 않을 뿐더러, 가는 길에 예측못한 일이 발생할 수 도 있을 거란 생각에 11시 서울행 KTX 표를 끊었다. KTX가격은 무려 39,500원이다. 왕복하면 대략 80,000 원인데, 출혈이 커도 너무 크다.
싼 가격에 서울에 갈 수 있는 길을 검색하다, 'KTX 동반석 카페'을 발견했다. 온라인에서 출발날짜, 시간, 장소가 같은 사람들 4명이 모여 동반석 1set을 끊으면, 한 명은 25,000만 내면 된다. KTX원 가격을 생각하면, 아주 괜찮은 방법이다.
서두른 까닭에, 면접장소인 서울대 공대 건물에 20분정도 일찍 도착했다. 면접 대기실에 들어가니 서울대학교 재학생으로 보이는 학생들이 여럿이 앉아 있었다. 의외로 서울대 학부 재학생들이 대학원에 많이 지원했다. 정확히 수를 헤아리지 못했으나 어림잡아 15명은 넘었다.
그렇다면, 경쟁률은 얼마인가.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대학원 TO 27명에 지원자가 67명이라고 했으니, 경쟁률은 2.5:1 정도다. 지원자 수를 행정실 직원으로 부터 들었다. 실제 집계된 지원자 수는 다를 수도 있다.
잠깐, 면접 복장에 대해서 이야기하면,
나는 대학생으로 깔끔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좋을 거란 생각에 청색 니트티에 짙은 베이지색 면바지를 입고 갔었다. 그런데 이게 웬일! 면접 대기실에 앉아 있는 지원자중 90%가 정장을 입고 있었다. 허걱! 그렇구나. 공식적인 면접에는 정장을 입는 것이구나.
#면접대기실
면접대기실 화이트보드에 면접순서표가 붙어 있었다. 3장으로 분류되어 있었는데, 전공을 크게 세 분야 나누어 놓은 것 같았다. 지원순서는 박사 지원자가 면접 순서가 빨랐고, 그 다음 석박사 통합 지원자, 마지막으로 석사 지원자 였다.
3시가 되자 행정실 직원이 와서, 지원자 출석여부를 확인했다. 그리고서 수험표를 배부해줬다. 실제 수험표를 받으니, 조금 떨리기 시작했다.
잠깐의 대기 시간이 있었다. 전공을 3개로 분류 해 놓았듯이, 면접장소도 세 군데 였다. 각 면접실에는 3분의 교수님이 계신다고 했다. 내가 지원한 교수님의 전공은 상하수도이나, 현재 빗물관리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하고 계신다.
#면접
실제 면접이 시작된 후 40분 정도 흐른 뒤, 내 이름과 다른 지원자 이름이 함께 호명됐다. 그 지원자와 나는 면접실 앞 대기의자에 앉아서 기다렸다. 먼저 그 지원자가 면접실로 들어갔고, 면접시간은 약 10분 정도 걸렸다. 교수님들이 앞 지원자의 면접결과를 정리하신다 하여 잠깐 기다렸고, 약 5분 후 안으로 들어오라는 면접도우미의 안내를 따라 면접실로 들어갔다.
두둥!
이제 진짜구나!
면접실 내 지원자 의자와 세 분에 교수님과의 거리는 약 4m 되는 것 같았다. 자리에 앉으니, 교수님이 자기 소개를 하라 했다. 간략한 신상소개를 하고, 바로 지원동기를 이야기 했다. 내가 왜 지원했으며, 어떤 것을 공부하고 싶은지.
그리고서 두 가지 질문을 더 하셨다.
1. 휴학을 2년 했는데, 그 때 무엇을 했는가?
2. 만약 지원한 과에서 떨어지면, 희망하는 분야는 어디인가?
두개 다 별 의미 없다고 생각되지만, 면접관들의 의도는 알 수 없는 법. 1번 질문에 대한 대답은 별 의미가 없을 것 같고, 2번을 질문 하셨을 때, 난 단호하게 말했다.
"전 '빗물'밖에 모릅니다"
세 분의 교수님은 나의 근거없는 단호함에 기가 차신 듯, 허허 웃으셨다.
그리고서, 끝났다고 나가도 좋다고 하셨다. 면접실 분위기를 화기애애 했으며, 면접시간은 5분 남짓 걸렸던 것 같다.
결론적으로 면접실 분위기는 생각했던 것과는 많이 달랐다. 다른 지원자들은 어떻게 면접을 치뤘는지 잘 모르겠으나, 나는 편안히 즐겼다 하겠다. 그리고 면접을 치르고 나서, '면접은 의례적인 하나의 과정인가.' 라고 계속 되물었다.
Soli Deo Gloria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원 합격 지원서 다운로드(유료):
대학원 진학 관련 글
1. 서울대학교 대학원, 가다 #1
http://kangsy85.tistory.com/49
2. 서울대학교 대학원 결과, 발표나다.
http://kangsy85.tistory.com/66
3. 대학원 진학을 위한 사전 컨택시 유의할 점
http://kangsy85.tistory.com/85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숙사 918동 방 구조 (A) (2) | 2014.03.08 |
---|---|
대학원 진학을 위한 사전 컨택 시 유의할 점 1 (4) | 2013.02.24 |
서울대학교 대학원 결과, 발표나다. (22) | 2012.12.05 |
서울대학교 대학원, 가다 #1(대학원 지원서 포함) (4) | 2012.10.27 |
[대학원 진학] 만만치 않았던 TEPS, 601점의 문턱을 넘다. (11) | 2012.09.11 |
2012. 11. 30. 13:49 자료공유/신재생 에너지
태양전지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반도체 소자다. 한국은 반도체 강국으로써, 충분히 발전된 반도체산업을 기반으로 태양전지 사업을 확장시켜 나갈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태양전지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곳은 현대중공업 뿐이다. 반도체 산업의 대표주자라 할 수 있는 삼성과 LG는 태양전지 사업에 뛰어들지 않고 있다. 왜냐면 사업이라는 것이 일단 경제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투입되는 시간과 돈만큼의 수익이 창출되어야 한다. 삼성과 LG는 태양전지를 개발하지 않더라도 현재 개발한 반도체분야만으로도 막대한 수익을 거둘수 있으며, 거두고 있다. 굳이 태양전지 사업에 뛰어들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태양전지는 정부가 추진 중인 4대 신성장 동력 에너지의 하나기 때문에 태양전지발전 산업에 대한 투자는 계속 증가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면 태양전지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태양전지는 크게 실리콘 태양전지와 화합물 태양전지로 나누어진다. 현재 상용화되어 널리 쓰이고 있는 것은 실리콘 태양전지다. 아래의 산업별 태양전지 분류표다. 목록중에 CIGS계 화합물 박막형 태양전지는 광흡수계수가 가장 높아 얇은 층으로도 고효율의 성능을 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요즘 각광받고 있다. 참고하기 바란다.
실리콘 태양전지는 태양에너지를 전자에너지로 변화시키는 반도체로써 P층과 N층으로 나누어진다. P-N 결합에서 P층은 정공, 즉 전자가 빠져간 빈자리에 전공이 생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N층은 전자를 많이 가지고 있다. 여기서 하나 알아둘 것은, 전자가 흐르기 위해서는 두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자유전자가 많아야 한다. 두번째, 정공이 존재해야 한다. 전자가 들어갈 자리가 있어야 전자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실리콘(Si)에 자유전자를 많이 가진 5족 원소 인, 비소, 안티몬 등을 N층에 첨가시키고, 전공을 보유한 3족 원소 붕소, 칼륨등을 P층에 첨가시킨다. 참고로, 전자의 이동은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루어지지만 전류는 그 반대 방향으로 흘러간다. 태양에너지를 의해 P층에 전자가 발생되고, 발생된 전자는 빈자리를 채우면서 전자-정공 쌍을 만들어 N층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때, 전류가 발생된다.
태양전지 제조 기술은 신뢰성 및 에너지변환 효율 향상, 저가화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비비의 40%를 태양전지가 차지하고 있어, 태양전지의 저가화는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연료전지 (0) | 2012.12.07 |
---|---|
해양에너지 (0) | 2012.11.27 |
바이오 에너지. (3) | 2012.11.14 |
소수력 발전 (0) | 2012.11.14 |
풍력 에너지 (0) | 2012.10.29 |
2012. 11. 27. 21:59 자료공유/신재생 에너지
해양 에너지 자료 다운로드 (유료):
해양 에너지
1.해양 에너지
1)정의
해양에너지는 해양의 조수·파도·해류·온도차 등을 변환시켜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기술로써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은 조력·파력·조류·온도차 발전 등이 있다.
2) 분류
(1) 에너지원별 분류 : 조력발전, 조류발전, 파력발전, 해양 온도차발전, 해수 염도차발전 등
- 종류별 입지조건
구 분 |
입지조건 |
조력발전 |
평균조차 : 3m이상 폐쇄된 만의 형태, 해저의 지반이 견고, 에너지 수요처와 근거리 |
파력발전 |
자원량이 풍부한 연안육지에서 거리 30㎞미만 수심 300m미만의 해상항해, 항만 기능에 방해되지 않을 것 |
조류발전 |
조류의 흐름이 2m/s 이상인 곳 조류흐름의 특징이 분명한 곳 |
온도차발전 |
연중 표·심층수와 온도차가 17℃ 이상인 기간이 많을 것 어업 및 선박 항행에 방해되지 않을 것 |
(2) 기술적 분류
가) 후보지 해양특성 평가 및 예측 기술
나) 에너지 직접, 추출, 변환 기술
다) 발전 시스템 기술
라) 해양 구조물 설계 및 시공기술
마) 발전기 및 전력 변환 기술
사) 환경영향분석 및 피해저감기술
3) 해양 에너지 SWOT 분석
강점(Strength) |
약점(Weakness) |
ㅇ 지리적 우수성 ㅇ 고급 연구인력 보유 ㅇ 산업체 시공경험 풍부 ㅇ 발전기, 전력변환장치, 증속기등 연구 인력풍부 |
ㅇ외국 설계/시공사례 小, 단기간에 선두그룹 진입가능 ㅇ 국내 시장 활성화시, 해외 시장 선점 가능 ㅇ 국제 표준화 활동을 선도함으로써, 시장 주도권 확보 가능 ㅇ 해양발전 잠재량 우수 |
기회(Opportunity) |
위협(Threat) |
ㅇ기술개발 적용사례 미미, 경험 無 ㅇ 발전 터빈에 대한 국내 기술수준 낙후 ㅇ B/C비율이 유동적, 초기투자비 高, 단기간 회수 불가능 ㅇ 대용량 전력변환기술 연구 부족 |
ㅇ 자체기술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분위기
ㅇ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투자 여력 낮음 ㅇ 현재 수준으로는, 시공기술개발과 활용에 많은재원이 소요됨에 반해 에너지 생산량 小 ㅇ 상용 운전 발전소 모델 미흡 ㅇ 해양E 개발에 대한, 국내의 불리한 규제, 표준 |
※국내의 지리적 우수성
- 서․남해안은 조력․조류발전의 우수한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총 해양에너지 부존량은 1,400
만kW 이상
구분 |
조력 |
조류 |
파력 |
계 |
부존량 |
650 |
100 |
650 |
1400 |
2. 해양 에너지 종류별 특성
1) 조력 발전
(1)발전 방식
조석이 발생하는 하구나 만을 방조제로 막아 해수를 가두고, 수차발전기를 설치하여 외해와 조지내의 수위차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이다
(2) 장‧단점
①장 점
- 조력발전은 발전을 하는 지점이 결정되면 그 지점에 있어서 조위(潮位)의 변화를 예측 할 수 있다.
- 청정에너지이다.
②단 점
- 얻어지는 유효낙차가 적고, 또한 조위의 변화가 연간을 통하여 균일하지 않으며, 조위가 일정한 시간대에서는 발전할 수 없다는 문제점들이 있다.
- 간만의 차가 심해야 하므로 지역적으로 한정된 장소에만 적용할 수 있다
(3)국내 현황
① 시화호 조력 발전소 개요
-발전시설 용량: 254MW(수차 발전기 10기, 세계최대 규모)
-발전 방식: 단류식 창조 발전(밀물 때 낙차이용)
-연간발전량: 552GWh (하루평균 8.8시간 발전시, 소양감댐의 1,56배, 국내 연간 전력 소비량
의 0.09%)
-연간 이산화 탄소 저감 효과 31만 5000t
(4)국외 현황
- 프랑스 : 랑스 조력발전소
▹ 발전용량 : 240MW (1MW급 x 24기, 벌브형)
▹ 연간발전량 : 약 540GWh(‘68년부터 상용 가동중 )
▹ 평균조차 : 8.5m
▹ 전체방조제 길이 : 750m
프랑스 랑스 조력발전소 전경
2) 조류 발전
(1) 방식
조력 발전 원리
(2) 특징
- 조류발전은 풍력발전과 같이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하게 되는데 바람대신 해수의 흐름을 이용한다.
- 유체흐름에 의한 에너지는 유속에 지수함수로 증
가하기 때문에 유속이 큰 곳이 조류발전에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 조류발전 터빈은 터빈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수평축터빈과 수직축터빈으로 분류되며, 수평축인 경우 일방향 흐름, 하천과 같이 일정한 흐름을 유지하는 경우에 적용이 유리하고, 수직축인 경우는 조류와 같이 흐름의 방향이 변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 다만 수평형은 대부분 발전기가 물 속에 위치해 유지보수가 어렵고 프로펠러에 이물질이 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수직형은 수면 위에 발전기가 있어 대형 구조물이 필요하고 선박운행에 방해가 될수 있다.
(3) 장‧단점
- 발전에 필요한 수차발전기만을 설치하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 적지를 선정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발전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조력발전에 비해 자연적인 흐름의 세기에 따라 발전량이 좌우 된다는 단점이 있다.
(4)국내 현황
- 울돌목 조류 발전소
3) 파력 발전
(1) 발전 방식
바닷가에 가면 파도가 쉴사이 없이 육지쪽으로 밀려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파도 때문에 수면은 주기적으로 상하 운동을 하며, 물입자는 전후로 움직인다. 이 운동을 에너지 변환장치를 통하여 기계적인 회전운동 또는 축방향 운동으로 변환시킨 후,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것을 파력발전이라 한다.
(2) 발전 분류
파랑의 운동에너지를 1차 변환하는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나, 중요한 것으로는 수면에 떠있는 부체가 파랑의 운동에 의하여 상하 또는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여 발전기를 회전시키는 가동물체형 방식과, 파랑의 작용에 의하여 공기실 내의 수위가 변동함에 따라 공기실 내의 공기가 압축, 팽창될 때 노즐을 통하여 발생하는 공기흐름으로 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진동수주방식이 있다.
(3) 국내현황 -제주도 파력 발전소
(4) 해외현황
- 포르투갈과 영국이 합작하여 ‘펠라미스’를 만들었다. 포르투갈 정부는 펠라미스를 조만간 상용화해 35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프랑스 국립과학개발연구원(CNRS)도 ‘파력발전개발연구팀’이라는 독립 연구소를 만들어 펠라미스와 비슷한 실험을 하고 있다. 2010년에 프랑스 인근 바다에서 직접 실험한 뒤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바다 표면에 거대한 부표를 띄워 파도의 힘을 바다 속 터빈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은 공기보다 밀도가 1000배나 높기 때문에 바다 속 터빈은 풍력발전보다 훨씬 더 많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4) 해수온도차
해양 표층과 심층간의 섭씨 20도 전후의 수온차를 이용하는 발전 방법으로서, 표층의 온수로 암모니아, 프레온 등의 끊는 점이 낮은 매체를 증발시킨 후 심층의 냉각수로 응축시켜 그 압력차로 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방식이다.
(2)국외 현황
- 온도차 발전은 열대지방에서 일부 상용화가 진행된 상태다. 상아 해안으로 유명한 서아프리카 아비잔에서는 30℃ 가량의 표층수를 -25기압으로 감압해 증기를 발생시킨 뒤 여기서 7MW의 전력과 1만4000톤의 담수를 얻고 있다. 이 발전소는 프랑스 민관합작 회사인 해양에너지 개발공단에 의해 건설됐다.
- 프랑스가 남태평양 타히티 섬에 5MW급 온도차 발전소를 건설할 예정이며 영국이 10MW급 해상 발전소 건설사업을 추진하는 등 온도차 발전의 상용화는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3)국내
우리나라는 동해안에서 심층수가 본격 개발되고 있고 온대성 쿠로시오 난류가 이 일대와 남해안을 지나 비교적 적합한 조건을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절적 편차가 심해 개발착수까지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5) 해수 염도차
해수와 담수가 만날 때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다. 해수와 담수 사이에 멤브레인 필터를 넣으면 삼투압 현상으로 담수가 해수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의 압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6) 해류 발전
육상에서 바람을 이용하여 거대한 풍차를 돌리는 것처럼 바다 속에 큰 프로펠러식 터빈을 설치, 해류를 이용하여 이를 돌려 전기를 일으키게 하는 것이다.
3. 해양에너지에 대한 고찰
해양에너지는 대규모로 개발이 가능한 무한한 재생에너지자원으로서 오염문제가 없는 무공해에너지 자원이며 미래의 유망 에너지 자원이다. 70년대 두 차례의 오일쇼크 이후 심각한 에너지파동을 겪은 세계 각국은 각종 대체에너지 개발방안을 강구 중에 있고 특히 자연에너지로서 가치가 재인식되고 무한한 에너지 자원인 해양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에너지 최빈국으로 에너지 해외의존도가 약 97%, 380여 억불을 에너지 수입에 소비했고 또한 세계 10위권의 온실가스 배출국이기도 하다. 최근 해외에너지 자원 확보를 위한 노력이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나 그 성과는 아직 미한 정도이고, 수입 원유의 상당부분을 중동지역에 의지하고 있는 형편에서 에너지자원의 확보문제는 우리나라가 당면한 가장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다행히 우리나라의 서․남해역은 조력 ․ 조류에너지 개발여건이 아주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고 자원량도 조력에너지 부존량 약 650만 kW, 조류에너지 부존량은 약 100만 kw 정도로 추산되고 있어 대체에너지로서의 개발 가치가 높다. 앞으로 본격적인 해양에너지 개발시대가 우리 앞에 열리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 사이트
1. 조선일보 http://news.zum.com/articles/292196
2. http://blog.daum.net/_blog/BlogTypeMain.do?blogid=0Z8gQ#ajax_history_home
3.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607875&cloc=
4. http://www.kps.or.kr/storage/webzine_uploadfiles/345_article.pdf
5 한국 해양 과학 기술원 http://www.kiost.ac/kordi_web/main/main.jsp
6.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hmyr&logNo=80053984999
7. http://cont2.edunet4u.net/~lsb9014/haeyangen.htm
8. http://curlyapple.egloos.com/4755093
해양 에너지 자료 다운로드 (유료):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연료전지 (0) | 2012.12.07 |
---|---|
태양전지에 대한 논의, 기본원리 (0) | 2012.11.30 |
바이오 에너지. (3) | 2012.11.14 |
소수력 발전 (0) | 2012.11.14 |
풍력 에너지 (0) | 2012.10.29 |
2012. 11. 26. 16:25 자료공유/물, 인간의 최소한의 권리
학사논문(빗물을 이용한 생활용수 시스템) 다운로드:
논문에서도 언급한 사항이지만, 세계는 기후변화로 인한 각종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물의 공급, 각종 용수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세계 국제기구들은 물 부족의 위기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빗물이용 및 관리에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다. 따라서 먼저 빗물의 수자원으로서 가치 및 수질에 대해 조사한 다음, 빗물을 이용할 수 있는 시설에 대해 구체적으로 조사한다. 마지막으로, 빗물이용시설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목 차 |
Ⅰ. 논문 개요 |
|
|
1. 논문 작성의 배경 및 필요성 |
-------------------- |
1 |
2. 논문의 기대효과 |
-------------------- |
1 |
Ⅱ. 서론 |
|
|
1. 세계 물 부족 현상 |
-------------------- |
1 |
2. 우리나라 수자원 현황 |
-------------------- |
2 |
Ⅲ. 본론 |
|
|
1. 수자원으로서의 빗물 |
-------------------- |
3 |
1.1 빗물의 가치 |
-------------------- |
3 |
1.2 빗물의 수질 |
-------------------- |
3 |
1.3 빗물이용의 효과 |
-------------------- |
3 |
2. 빗물이용시설 |
|
|
2.1 빗물이용시설 정의 |
-------------------- |
4 |
2.2 빗물이용시설의 구성 |
-------------------- |
4 |
2.3 빗물이용시설 적용사례 |
-------------------- |
4 |
2.3.1 서울대학교 |
-------------------- |
6 |
2.3.2 스타시티 |
-------------------- |
6 |
Ⅳ. 결론 |
-------------------- |
7 |
Ⅰ. 논문의 개요
1. 논문작성의 배경 및 필요성
세계 곳곳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홍수, 태풍 등 자연재해가 속출하고 있다. 이로 인해 물의 공급, 각종 용수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국제기구들은 물 부족의 위기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빗물이용 및 관리에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다. 따라서 먼저 빗물의 수자원으로서 가치 및 수질에 대해 조사한 다음, 빗물을 이용할 수 있는 시설에 대해 구체적으로 조사한다. 마지막으로, 빗물이용시설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2. 기대 효과
본 논문을 통해 첫째, 빗물에 대한 오해를 해소시키고 부정적인 인식을 바로 잡는다. 둘째, 빗물이용시설에 대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각 가정에서도 설치 이용할 수 있게 한다.
Ⅱ. 서론
1. 세계 물 부족 현상
지구상에 있는 물은 <그림 1>과 같이 약 13.51억㎦에 달하는 97.47%가 염수이다. 실제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물은 지하수와 호수하천들을 합쳐도 약 0.76% 지나지 않는다.
<그림 1> 세계 물 부존량
세계 인구의 1/3은 생활에 필요한 물을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세계 인구 중 300만 명 이상이 오염된 물로 사망하고 있으며, 그 중에 어린이는 200만 명에 달하는 실정이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경우, 5명중 1명이 안전한 음용수(Safe Drinking Water)부족현상을 겪고 있으며, 3명중 1명이 하수도 시설과정을 거치지 않은 물을 마시고 있다.
전 세계 물 사용현황을 살펴보면, 평균적으로 인간이 사용하는 전체 물의 양 중, 69%는 농업용수로 사용되며, 공업용수 23%, 음용수나 위생을 위해 사용되는 생활용수로 8% 정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세계 평균 수치는 지역별로 큰 편차를 보이는데, 예를 들어 아프리카에서는 농업용수 88%, 생활용수 5%, 공업용수 7%를 사용하고 있는 반면 유럽에서는 공업용수 54%, 농업용수 33%, 생활용수로 13%를 사용하고 있다.
농업에서의 지하수 과다 사용은 지하수 고갈의 주범이다. 세계 주요 곡물 생산지의 대부분은 지속적 사용이 불가능할 정도의 비율로 지하수를 소모하고 있다. 특히 인도, 중국, 미국, 북아프리카 및 아라비안 반도의 연간 물 소비는 나일 강 두 개 정도의 연간 총 유출량에 맞먹는 1,600억㎥ 규모에 달하고 있다.
산업발달과 인구증가는 지구의 물 소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켜, 현재 세계 60 억 인구는 이미 강, 호수, 지하수 등 모든 접근 가능한 담수자원의 약 54%를 사용하고 있으며, 인구 성장률을 감안하면 2025년에는 약 7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여기에 지금과 같은 비율로 물 소비 증가 추세가 지속된다면, 인류는 25년 내에 모든 사용가능한 담수의 90% 이상을 사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체 수자원 마련과 수요관리를 통한 수자원의 절약이 절실하다.
2. 우리나라 수자원 현황
<표 1>을 보면 연평균 수자원 총량 1,240억㎥중 42%에 해당되는 517억 ㎥가 증발, 침투 등에 의하여 손실되며, 나머지 58% 697㎥는 하천을 통하여 유출된다. 하천유출량 697억㎥중 522억㎥는 홍수시 바다로 유출되고, 201억㎥ 평상시에 유출된다. 실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물의 양은 337억㎥으로 총의 27%에 불과하다.
▲<표 1> 수자원이용현황(수자원 장기계획, 2006)
우리나라는 수자원 중 많은 부분이 손실되거나 바다로 유실되게 하는 물 관리에 문제가 있다. 물이용량은 1965년 51억㎥에서 2003년 337억㎥으로 약 30년 동안 6배 이상 증가(인구는 2,870만 명에서 4,780만 명으로 1.7배 증가)하였다. 인구증가 및 경제성장 등 수요의 증가와 함께 댐 및 광역상수도 건설 등 용수공급시설의 확충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90년대 후반 이후 물 수요관리 강화, 인구 및 경제성장 둔화 등의 영향으로 물이용 증가추세가 크게 둔화되고 있다.
물의 사용용도는 2003년을 기준으로 생활용수가 76억㎥(23%), 공업용수가 26억㎥(8%), 농업용수가 160억㎥(47%),하천유지용수가 75억㎥(22%) 이며, 물의 공급은 댐에서 177억㎥(53%), 하천에서 123억㎥(36%), 지하수에서 37억㎥(11%)을 분담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물 공급의 안정성이 취약한 지역이 많아 90년대 이후 62개 시․군이 가뭄으로 인해 2회 이상의 제한급수를 경험하였으며, 도시와 농․어촌간 물 공급의 형평성도 취약하여 특․광역시와 시지역의 상수도보급률은 99% 및 97%이지만 읍과 면지역은 81% 및 33%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기상이변으로 인해 하천설계기준을 초과하는 홍수발생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나, 제방건설 만으로는 치수대책에 한계가 있다.
▲<표 2> 수자원 이용현황 변화
-------------------<중략>----------------------
참고 문헌
1. 한무영 외, ≪빗물과 당신≫, 알마 출판사, 2011
2. 한무영, ≪지구를 살리는 빗물의 비밀≫, 그믈코 출판사, 2009
3. 빗방물연구회(Group Raindrops), ≪빗물을 모아쓰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그믈코 출판사, 2009
4. 국토해양부, <도시 빗물관리시설의 빗물활용 효율성 제고를 위한 연구>, 2008
5. 국토해양부, <빗물관리 및 활용계획 수립과 저변 확대방안 조사연구>, 2008
학사논문(빗물을 이용한 생활용수 시스템) 다운로드: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수돗물 소독약(염소) 냄새,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대처방안은 없는가? (0) | 2013.04.18 |
---|---|
일인당 하루 물사용량(Liter Per Capital Day, lpcd) (2) | 2013.04.05 |
'빗물은 자원이다'- 빗물이용 확산을 위한 국회정책토론회 (0) | 2013.03.28 |
[초청] "2013 세계 물의 날" 기념 국회 정책토론회: <빗물은 자원이다-국회의 역할은?> (0) | 2013.03.14 |
조류의 종류와 특성 (0) | 2013.03.07 |
2012. 11. 14. 21:57 자료공유/신재생 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자료 다운로드(유료):
바이오 에너지
1. 바이오 에너지 정의
▹ 태양광을 이용하여 광합성 되는 유기물(주로 식물체) 및 동 유기물을 소비하여 생성되는 모든 생물 유기체(바이오매스)의 에너지를 바이오에너지라 한다.
▹ 바이오에너지 생산기술이란 동 생물 유기체를 각종 가스, 액체 혹은 고형연료로 변환하거나 이를 연소하여 열, 증기 혹은 전기를 생산하는데 응용되는 화학, 생물, 연소공학 등을 일컫는다.
참고) 바이오매스(Bio-mass)란?
태양에너지를 받은 식물과 미생물의 광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식물체,균체와 이를 먹고 살아가는 동물체를 포함하는 생물 유기체를 일컬는다. 따라서 바이오매스자원은 곡물, 감자류를 포함한 전분질계의 자원과 초본, 임목과 볏짚, 왕겨와 같은 농수산물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의 자원과 사탕수수, 사탕무와 같은 당질계의 자원은 물론 가축의 분뇨, 사체와 미생물의 균체를 포함하는 단백질계의 자원까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성상을 지님 이들 자원에서 파생되는 종이, 음식 찌꺼기 등의 유기성폐기물도 포함한다.
2. 바이오 에너지 종류
1) 바이오 디젤
(1)개요
콩기름 등의 식물성 기름을 원료로 해서 만든 바이오연료로 바이오에탄올과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된다. 보통 메탄올을 이용해 3가의 지방산에 글리세롤이 결합한 트라이글리세리드로부터 글리세롤을 분리한 다음, 지방산에스터를 만들어 내는 에스테르 교환방법을 통하여 만든다. 이때 만든 바이오디젤이 바로 지방산 메틸에스테르(FAME)이다.
(2)생산 공정
① 바이오디젤의 생산과정은 트랜스에스테르화 공정(Transesterification Process)과 바이오디젤 정제공정(Biodiesel Refining Process)으로 구분할 수 있다.② 트랜스에스테르화 단계에서는 원료인 식물성 오일과 메탄올을 촉매와 함께 적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반응을 시키고 이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메틸에스테르와 글리세린은 분리시켜 각각 정제공정을 거쳐 바이오디젤과 글리세린 제품으로 생산된다.
(3) 장 ‧ 단점
1) 장점
① 국내 자급이 가능하고,재생가능한 식물자원(바이오매스)에서 생산되므로 에너지자원의 고갈 문제가 없고,폐식용유 등 폐자원을 유효 활용할 수도 있다.
② 공정의 전 주기(Life cycle)에서 볼 때, 연료 사용에 의해 배출된 CO2는 바이오매스의 생산과정(식물의 광합성)에서 회수되므로 CO2의 순 배출량이 대단히 적다.
③ 산성비의 주범인 SOx를 전혀 배출하지 않고, 함산소연료(산소 10% 이상)이므로발암물질인 입자상물질 등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④ 세탄가가 경유보다 높아 압축착화엔진에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며, 경유와 20%정도 혼합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존 엔진이나 연료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출력이나 연비 변화도 거의 문제시되지 않는다.
⑤ 윤활성이 좋기 때문에, 경유의 저황화에 따른 윤활성 저하 대책으로 사용할 수 있다.(1%첨가에 30%의 윤활성 향상)
⑥ 벤젠 등을 배출하지 않아서 독성이 적고, 생분해도가 높아서(3주 이내에 90% 이상 분해), 유출시 환경오염이 적은 등 여러 장점이 있다.
항목 |
B100 |
B20 |
미연탄화수소(THC) |
-36.7 % |
-7.3 % |
황산화물(SOx) |
-100 % |
-17.6 % |
질소산화물(NOx) |
+8.9 % |
+1.8 % |
일산화탄소(CO) |
-46.2 % |
-9.3 % |
입자상물질(PM) |
-68.1 % |
-13.6 % |
오존발생잠재도(OFP) |
-50 % |
-10 % |
발암성 방향족화합물(PAH) |
-80 % |
-13 % |
질화 발암성방향족화합물(nPAH) |
-90 % |
-50 % |
Life Cycle CO2 저감량 |
-78.45 % |
-15.66 % |
▲ 바이오 디젤의 공해 저감효과 출처 : 미국 NREL |
2) 단점
①경유보다 점성이 높아서 연료분사 인젝터의 막힘이나 실린더 내 카본퇴적이 증가한다.
②한냉 시 유동성 저하에 따른 냉시동성의 악화 등을 유발할 수 있다.
(4)산업 현황 및 전망
① 해외
국가 |
생산량(천톤) |
시장규모(억원) |
독 일 |
1,035 |
8,280 |
미 국 |
581 |
4,648 |
프랑스 |
348 |
2,784 |
이탈리아 |
320 |
2,560 |
▲바이오 디젤 주요 국가별 시장 규모 |
② 국내
가.바이오 보급 실적 및 전망
시장규모 |
중장기 보급계획으로 BD7로 혼합비율이 해마다 0.5%증가, 시장규모는 2020년 2조원으로 확대 |
시장환경 |
향후 오일 피크 이론에 따라 유가 다시 고공행진 가능성 미국 정부의 의지등에 따라 국제적인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가속 전망 |
정유사 |
혼합비율 확대에 따라 바이오 디젤 거부감 감소예상 안정적인 공급능력을 갖춘 대형 BD업체와 전략적 파트너 관계 구축 |
원료수급 |
대두유 원료 퇴조하고 팜오일이 주력 원료로 부상 비식용 원료(예:자트로파)의 시장 진입 선진국 중심으로 해조류/미세조류 바이오 디젤 상업화, 국내 연구 가속화 예상 |
1세대 바이오 디젤 기술 - 지방산 에스테르화 |
⇒ |
2세대 바이오디젤기술 -열분해&합성가스 |
⇒ |
수소에너지 시대 |
|
|
|
|
|
▷농작물의 유지를 원료로 사용 ▷당분 및 목질부분 사용불가 ▷알코올과 촉매 필요 |
|
▷농작물 전체를 원료로 사용 ▷모든 탄화수소 사용 ▷알코올 촉매 등 불필요 |
|
▷합성가스를 연료전지 원료로 사용 ▷2세대 바이오디젤 기술로 수소의 생산 및 활용 가능 |
(5) 문제점
- 자동차 배출가스의 유해물질 저감을 위해서는 바이오디젤의 배합비율이 높아져야 하는데 바이오디젤은 엔진을 부식 시키는 특성이 있어서 엔진의 고장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 오래 저장하는 경우 변질될 위험이 있다.
-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식물자원이 필요한데, 이를 재배하기 위한 토지를 확보하기 어렵고, 기후 변화에 따라 생산량의 변동이 있어 가격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등 사용량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다.
2) 바이오 에탄올
(1) 개요
사탕수수·밀·옥수수·감자·보리 등 주로 녹말작물을 발효시켜 차량 등의 연료 첨가제로 사용하는 바이오연료이다.
(2) 제조 과정
대표적인 원료는 사탕수수·밀·옥수수·감자·보리·고구마 따위의 녹말 작물이다. 바이오매스 안에 있는 탄수화물을 글루코스(포도당)로 전환시킨 뒤, 다시 포도주나 양조 맥주를 발효시키는 것과 비슷한 발효과정을 거쳐 만든다.
(3) 장·단점
장 점 |
단 점 |
▷일반 대중에 잘 알려져 있으며 독성이 적다. ▷유기 배출물의 반응성이 낮다. ▷유독 공해물질 배출량이 적다. ▷엔진 효율이 높다. ▷CO2 배출이 적다. ▷황, 질소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다. ▷재생가능 바이오매스 자원으로부터 생산이 가능하다. |
▷현재 기술로는 가격이 비싸다. ▷원료 공급원의 제한이 있다. ▷식용 알코올로 전용될 소지가 있다. ▷부피당 열량이 가솔린 대비 1/3 정도 작아 연료통이 커진다. ▷ 저온 시동성이 나쁘다.
|
(4) 현황 및 사업전망
① 해외
3) 바이오 가스
(1)개요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유기질 폐기물에서 생성되는 메탄가스. 이것을 이용하여 발전이나 열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바이오가스 생성 시스템으로는, 소규모의 것으로 축산물 쓰레기용 메탄 발효 장치 등이 이용되고 있고, 대규모의 것으로 전력 소비량이 많은 제지·펄프 공장 등에서 이용되고 있다.
(2) 생산 원리
바이오가스 생산 공정으로 투입된 유기물은 공정운전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 분쇄, 혼합하여 혐기성 소화조로 유입하며, 혐기성 소화조 내에서의 메탄생산 단계는 기능적으로 서로 다른 미생물에 의해 세단계로 구분된다.
첫 번째 단계 :복합 고분자 유기물이 가수분해 미생물에 의해 단순 단위화합물로 쪼개지는 가수분해(hydrolysis) 단계이고, 두 번째는 단순 단위화합물이 메탄생성의 원료로 사용되는 각종 휘발성지방산, CO2, H2를 생산하는 산생성(acetogenesis) 단계, 마지막으로 전 단계에서 생산된 산물을 이용하여 CH4를 생산하는 메탄생성(methanogenesis) 단계로 구분한다.
(3) 산업 현황 및 전망
① 국내
가. 바이오 가스 산업 활성을 위한 정책 및 법 제도수립
- 정부는 2009년 3월 신재생에너지사업의 보급 확대와 관련 기술개발 등을 위해 바이오가스 및 석유가스, 나프타부생가스, 합성가스 등을 도시가스에 포함시키는 관련법(도시가스사업법 제2조)을 개정됐다.
-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일환 및 국가비전으로 ‘폐자원에너지화사업’을 제시함과 함께 2009년 7월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대책’을 수립, 2020년까지 폐자원 에너지화 사업에 총 3조4565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 여기엔 바이오매스, 바이오가스, 석탄가스 등도 포함된다.
나. 국내 바이오가스 연료화 추진 현황
- 환경문제의 심화와 석유자원의 고갈위기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 교토의정서 발효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의무 본격화는 바이오가스 개발에 대한 중요성을 증대되고 있다
- 2009년에 바이오메탄서울(주)이 주축이 되어 선진국의 기술·자본 유치를 통해 물재생센터(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정제해 CNG버스 등 CNG차량에 사용하고 있다.
- 2011년 9월 인천환경공단 가좌하수처리사업소가 자체 하수처리장 소화조의 음식물쓰레기와 하수슬러지를 정제하여 발생된 바이오 메탄(CH4)을 이용한 연료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인천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에서도 2011년 6월 자동차연료용 바이오가스 공급에 착수했다. 기존의 CNG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이 가능해 앞으로 시장 활성화는 가속화 될 전망이다.
② 국외
- (주)글로벌인포메이션은 BCC Research가 최근 "바이오가스 업그레이드 : 기술과 세계 시장 (Biogas Upgrading: Technologies and Global Markets)" 보고서를 발행했다고 밝혔다. "바이오가스 업그레이드 : 기술과 세계 시장" 보고서에서는 세계 바이오가스 에너지 변환 시스템 시장 규모가 2011년 1억 2,540만 달러를 기록하고, 이후 연평균 성장률(CAGR) 22%로 성장해, 2016년 3억 3,850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세계의 바이오가스 에너지 변환 시장은 북미, 유럽, 아시아 태평양, 기타 지역의 4개 지역으로 분류되며, 각 지역 시장 규모에 대한 전망은 아래와 같다.
지역 |
2011(5millions) |
2016(5millions) |
CAGR% 2011-2016 |
북미 |
1.5 |
2 |
5.9 |
유럽 |
92.7 |
250.5 |
22 |
아시아 태평양 |
30.1 |
83.9 |
22.8 |
기타지역 |
1.1 |
2.1 |
13.8 |
4)BTL 디젤
3. 바이오 에너지 기술
1) 분류
대 분류 |
중 분류 |
내 용 |
바이오액체연료 생산기술 |
연료용 바이오 에탄올 생산기술 |
당질계, 전분질계, 목질계 |
바이오디젤 생산기술 |
바이오디젤 전환 및 엔진적용기술 | |
바이오매스 액화기술 (열적전환) |
바이오매스 액화, 연소, 엔진이용기술 | |
바이오매스 가스화기술 |
혐기소화에 의한 메탄가스화 기술 |
유기성 폐수의 메탄가스화 기술 및 매립지 가스 이용기술 (LFG) |
바이오매스 가스화기술 (열적전환) |
바이오매스 열분해, 가스화, 가스화발전 기술 | |
바이오 수소 생산기술 |
생물학적 바이오 수소 생산기술 | |
바이오매스생산, 가공기술 |
에너지 작물 기술 |
에너지 작물 재배, 육종, 수집, 운반, 가공 기술 |
생물학적 CO2 고정화 기술 |
바이오매스 재배, 산림녹화, 미세조류 배양기술 | |
바이오 고형연료 생산, 이용기술 |
바이오 고형연료 생산 및 이용기술 (왕겨탄, 칩, RDF(폐기물연료) 등) |
2) 최근 바이오 기술
(1) 지금까지 바이오매스자원을 이용하여 주로 연료(eg. bio-ehyanol, hydrogen etc.)나 화학원료(eg. organic acid, other platform chemical) 생산기술은 석유자원(protrochemical feedstocks)를 이용한 화학적 합성공정에 의존하였으나 이로 인한 환경문제 및 자원고갈등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공해 유발형 및 고에너지 소비형 화학원료 생산공정을 재생가능한 자원(renewable feedstocks)인 바이오매스(biomass)를 이용한 생물공학적 발효공정으로 대체하여 탈공해 및 저공해의 청정생물공학기술(green- biotechnology)을 이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 생물유기체(바이오매스)를 구성하는 탄수화물은 석유를 구성하는 탄화수소와 마찬가지로 이론적으로는 화학, 생물공학기술을 응용하여 우리 일상생활에 쓰이는 거의 모든 화학제품을 만들 수 있다.
예) 미국의 카킬사(Cargill corp.)는 네바라스카 주에 건설된 Biorefinery에서 옥수수를 원료로 Lactic acid(젖산)를 포함한 수개의 화학제품과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Polylactic Acid를 생산하기 시작 이와 같은 바이오 매스를 이용한 범용 화학제품의 생산은 비 연료유용 석유(나프타)의 소비를 절약할 뿐만 아니라 공정자체의 에너지소비를 줄일 수 있어 석유소비를 절감하며, 유화계 플라스틱 등을 대체하여 환경오염을 저감시킨다.
참고) Biorefinery 기술이란?
(목질계 바이오연료/ 및 화학원료 생산기술)
- 식물체 등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BT(Bio-Technology)를 이용하여 바이오 연료류(에탄올,부탄올,아세톤 등)와 화학원료(젖산,숙신산)를 만드는 기술과 이를 실현한 플랜트를 말한다.
4. 국내 바이오 에너지 산업의 발전 방향
1) 바이오 에너지 도입에 따른 사회적 편익에 대한 가치 인식 필요
바이오 에너지를 도입하면서 화석연료 에너지 소비감소라는 직접적인 이익 이외의 사회적 편익에 대한 가치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얻게 되는 사회적 편익은 농가소득증대, 온실가스 저감, 대기오염 감소, 에너지 안보 강화 등을 들 수 있다. 시장가격만을 고려하지 않고 사회적 편익까지 고려한 경제성 판단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인프라 구축과 기술 개발의 고도화
바이오 에너지를 보급하기 위해서는 바이오 연료와 화석연료를 혼합하는 혼합시설과 저장 시설설비를 위한 투자와 준비기간이 필요하다. 결국, 생산과 유통채널까지의 인프라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며 경제성평가부분에서 효익이 발생 할 수 있도록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고도의 기술개발까지 필요하다. 바이오 에너지의 확대는 생산비용 낮추는 것이 관건이다.
3) 시장 메커니즘을 보완할 수 있는 인센티브 제공
상용화가 시작된 바이오 디젤의 경우 제조와 판매가 이원화됨으로써 혼합 및 판매를 담당한 정유업체에 대한 인센티브가 불충분하다. 바이오 디젤의 제조는 3개 중소기업(BDK, 에코에너텍, 3M안전개발)에서, 혼합 및 판매는 4곳 정유회사(SK, SK인천정유,GS 칼텍스, S-Oil)에서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비자와 생산자는 시장가격에 따라 행동하므로 시장에 개입하여 보조금 지급이나 면세혜택을 통해서 사회적 편익에 대한 국가의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
4) 정부의 적극적인 바이오 에너지 활성화 대책 필요
에너지 문제와 환경문제의 해결책으로 대두되고 있는 신재생 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조치가 더욱 더 강화 되어야 한다. 해외자원 개발 및 석유비축 2007년 예산은 1조 1773억원 인데 비해서 신재생 에너지 관련예산은 전력산업기반기금까지 더해서 4300억원 대에 불과하다. 2011년까지 1차 에너지 중에서 재생가능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을 5%로 확대하겠다는 정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재원마련과 공공기관에 재생가능 시설 의무화 제도 등이 필요하다.
참고 사이트
1. 조선 일보, www.chosun.com
2. 중앙일보, joongang.joinsmsn.com
3.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odms0611&logNo=110121354921
4. http://knowhow-textcube.blogspot.kr/
5. http://blog.daum.net/8902ksh/95
6. http://racer.kemco.or.kr/html/main5_1_5.jsp
7. http://blog.naver.com/energyplanet?Redirect=Log&logNo=10138284938
바이오 에너지 자료 다운로드(유료):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태양전지에 대한 논의, 기본원리 (0) | 2012.11.30 |
---|---|
해양에너지 (0) | 2012.11.27 |
소수력 발전 (0) | 2012.11.14 |
풍력 에너지 (0) | 2012.10.29 |
지열 에너지 (0) | 2012.10.29 |
2012. 11. 14. 16:48 자료공유/신재생 에너지
1. 소수력 발전
(1) 정의 및 현황
- 소수력발전은 물의 유동을 이용한 시설용량 10,000㎾이하의 수력발전을 말한다.
(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시행규칙 개정 2003. 1. 3)
주) 시행규칙 개정전에는 시설용량 3,000kW이하('82. 3 소수력개발 기본 방침)
미국 : 시설용량 15,000㎾이하
중국 : 시설용량 25,000㎾이하
- 국내 소수력발전은 '82년 이후 정부 및 에너지관리공단의 지원으로 현재까지 30여개 지역에(용량 약 43,000kW) 설치되었으며, 연간전력생산량은 약 1억 kWh에 달한다.
- 소수력발전은 전력생산 외에 농업용 저수지, 농업용 보, 하수처리장, 정수장, 다목적댐의 용수로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국내의 개발 잠재량은 풍부하며, 또한 청정자원으로서 개발할 가치가 큰 부존자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2)시스템 구성도
1) 소수력 발전 시스템
2) 수차
- 소수력의 가장 중요한 설비이며, 설비별 특징은 아래과 같다.
수차의 종류 |
상세 |
특징 | |
충동수차 |
펠톤(Pelton)수차, 튜고(Turgo)수차, 오스버그(Ossberger)수차 |
수차가 물에 완전히 잠기지 않는다 물은 수차의 일부 방향에서만 공급되며, 운동에너지 만을 전환한다 | |
반동수차 |
프란시스(Francis)수차 |
수차가 물에 완전히 잠긴다 | |
프로펠러수차 |
카플란(Kaplan)수차, 튜브라(Tubular)수차, 벌브(Bulb)수차, 림(Rim)수차 |
수차의 원주방향에서 물이 공급된다. 동압(dynamic pressure) 및 정압(static pressure)이 전환된다. |
- 종류별 특징
① 펠톤 수차
- 펠턴 수차는 물의 양이 적으나 고낙차(200∼2,000m)를 얻을 수 있는 곳에 적합하다. - 작동 원리는 수압관으로 도입된 물의 유량을 제어하여 노즐을 통해 고속으로 분출시키고, 이 분류를 버킷에 부딪히게 하여 날개차를 돌려 동력을 얻는다.
01 |
02 |
03 | ||
▲ 펠톤 기계 1 |
▲ 펠톤 기계 2 |
▲ 펠톤 방식 설명도 |
②타고(Turgo) 수차
- 펠톤 수차와 같은 충동 수차이지만 버킷의 형상이 펠톤 형과 달리 분사 물 반사각도가 작다.
- 낙차가 작고 수량이 적은 경우에 사용가능하다.
③프란시스 수차
- 수차는 50∼530m의 낙차에서 주로 쓰이는 반며, 프로펠러 수차는 3∼90m의 비교적 낙차가 작은 곳에 쓰이는데, 구조는 프란시스 수차와 같으나 날개차의 모양이 프로펠러 형태로 되어 있다.
④프로펠러(카플란) 수차
- 날개 설치 축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날개의 각도가 변화하는 특징이 있다.
- 낙차가 작고 수량이 많은 경우에 사용 가능하다.
01 |
02 |
03 | ||
▲ 카플란 기계 모형 |
▲ 카플란 모식도 |
▲카플란 기계 모형 |
⑤벌브(bulb) 수차
- 수차의 내부에 발전기를 내장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이 수차는 프랑스의 랑스(La Rance) 발전소에서 채택된 이후현재까지 30년 이상 가동되고 있어 그 실용성이 입증되고 있다.
3) 소수력 발전 분류
분류 |
종류 |
특징 |
비고 |
설비 용량 |
Micro hydropower Mini hydropower Small hydropower |
100kW 미만 100∼ 1,000kW 1,000∼ 10,000kW |
국내의 경우 소수력발전은 저낙차, 터널식 및 댐식으로 이용 (예:방우리, 금강 등) |
낙 차 |
저낙차(Low head) 중낙차(Medium head) 고낙차(High head) |
2∼20m 20∼150m 150m 이상 | |
발전 방식 |
수로식(run-of-river type) 댐식(Storage type) 터널식(Tunnel type) |
하천경사가 급한 중ㆍ 상류지역 하천경사가 작고 유량이 큰 지점 하천의 형태가 오메가(Ω)인 지점 |
4) 소수력 발전 장, 단점
(1) 장 점
- 국내 부존자원 활용
- 전력생산 외에 농업용수 공급, 홍수조절에 기여
- 일단 건설 후에는 운영비가 저렴
(2) 단 점
- 대수력이나 양수발전과 같이 첨두부하에 대한 기여도가 적음
- 초기 건설비 소요가 크고, 발전량이 강수량에 따라 변동이 많음
5)소수력 발전 현황
(1)해외
가. 소수력 발전소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운영되고 있다. 아시아권에서는 중국이 58,000개소(13,250MW), 일본이 600개소(538MW)로써 가장 많이 운영되고 있으며, 미국은 1,715개소(3,420MW), 유럽의 경우 독일 5,882개소(341MW), 프랑스1,479개소(1,646MW), 이태리 1,420개소(1,969MW), 스웨덴 1,346개소(8,406MW), 스페인 1,102개소(1,010MW), 노르웨이 227개소(806MW) 등으로 매우 많은 소수력발전소가 건설, 운영되고 있다.
나. 일반적으로 수력발전은 자연낙차가 크고 발전용량이 증가할수록 경제성이 향상되지만, 외국의 경우처럼 소규모용량의 소수력발전이 활성화 된 것은 중ㆍ저 낙차 소 용량이면서 대용량에 비하여 경제성면에서 뒤떨어지지 않는 중ㆍ저 낙차용 수차를 개발, 보급하여 경제성을 향상시켰기 때문이다.
국 명 |
발전소 수 |
용량(MW) |
국 명 |
발전소 수 |
용량(MW) |
중 국 일 본 한 국 미 국 카나다 브라질 |
58,000 600 21 1,715 321 232 |
13,250 538 38 3,420 1,056 483 |
오스트리아 프랑스 독 일 이태리 스페인 스웨덴 |
1,200 1,479 5,882 1,420 1,102 1,346 |
320 1,646 341 1,969 1,010 8,406 |
- 독일의 경우 소수력 발전소 1개소당 평균발전용량은 58kW로써, 이용가능한 소수력 자원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음.
수차제작회사 |
국 명 |
수차형식 |
표준화내용 |
Allis-Chalmer Co |
미국 |
Tube |
D = 750 ∼ 3,000㎜ |
Fuji |
일본 |
TubeBulb |
D = 750 ∼ 3,000㎜ D = 1,250 ∼ 2,000㎜ |
CMEC |
중국 |
Francis |
D = 300 ∼ 1,000㎜ |
Sorumsand-Verksted |
노르웨이 |
Tube |
D = 100 ∼ 2,400㎜ |
Bofors-Nohab |
스웨덴 |
Bulb |
D = 500 ∼ 3,000㎜ |
Neyrpic |
프랑스 |
Bulb |
D = 800 ∼ 1,800㎜ |
(2) 국내
가. 우리나라의 소수력 개발은 1982년 제정된 '소수력 개발 활성화 방안'이 공포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나. 전국에 30개소의 소수력발전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설치장소는 하천(15개소), 기존댐(10개소)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저수지(4개소), 하수처리장(1개소)에도 일부 설치되어 있다.
다. 설치된 발전설비 용량은 총42,820kW로써 이는 의암댐의 발전용량(45,000kW)에 근접하는 용량으로 외국에 비하면 아직은 미미한 형편이다.
발전소 |
용량(kW) |
개발위치 |
비 고 |
발전소 |
용량(kW) |
개발위치 |
비 고 |
동 진 임 기 방우리 소 천 금 강 봉 화 단 양 산 내 광 천 영 월 덕 송 안 흥 괴 산 추 산 합 천2 |
2,000 1,100 2,120 2,400 1,350 2,000 2,100 820 450 2,800 2,000 450 2,600 1,400 1,200 |
전북 정읍 경북 봉화 충남 금산 경북 봉화 충북 옥천 경북 봉화 충북 단양 전북 남원 전남 승주 강원 영월 강원 정선 강원 횡성 충북 괴산 경북 울릉 경남 합천 |
저수지 하 천 하 천 하 천 하 천 하 천 하 천 하 천 기존댐 하 천 하 천 하 천 하 천 하 천 기존댐 |
정 선 봉 정 대 아 경 천 반 변 포 천 보령(I) 부 안 운 문 보령(II) 성 주 횡 성 밀 양 영 천 아 산 |
1,920 1,920 3,000 800 1,060 2,970 145 193 330 556 1,800 1,000 1,300 1,000 36 |
강원 정선 강원 정선 전북 완주 경북 문경 경북 안동 경기 포천 충남 보령 전북 부안 경북 청도 충남 보령 경북 성주 강원 횡성 경남 밀양 경북 영천 충남 아산 |
하 천 하 천 저수지 저수지 기존댐 하 천 기존댐 기존댐 기존댐 기존댐 저수지 기존댐 기존댐 기존댐 하수 처리장 |
▲ 국내 소수력 발전소 건설 및 운영 현황
발전소명 |
설비용량(kw) |
사업자 |
양 양 안 동 용 담 대곡댐 탐진댐 성남정수장 와부정수장 판교가압장 칠보취수장 운 문 사연댐 안계댐 동화댐 장성댐 예 당 담 양 나 주 탑 정 안 양 천 안 청 주 전 주 사 연 |
1,400 1,500 1,800 300 550 1,050 260 650 380 470 300 450 1,000 1,200 700 1,400 1,300 500 400 45 80 90 200 |
한국전력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농업기반공사
지자체(하수처리장) " " " 지자체(정수장) |
합 계 |
16,025 |
|
구분 |
개발 가능 용량 (kw) |
일반 하천 |
1412500 |
하수처리장 |
5300 |
정수장 |
2500 |
농업용 저수지 |
48000 |
농업용 보 |
5000 |
다목적댐의 용수로 |
6744 |
양식장의 순환수, 양수 발전소 하부댐 |
10956 |
합계 |
1491000 |
▲국내 소수력발전 보급 잠재량
라. 국내 보급추이
- 소수력발전의 판매단가는 '82년도 한전 화력(석유)발전소 연료비 단가의 90%, '83년에 연료비 단가의 100%적용키로 하였으며, '84년도의 정부고시 판매단가는 40.29원/㎾h로 경제성이 있었다.
- 유가의 지속적 안정으로 '85년에 38.25원/㎾h, '86년에 38.45원/㎾h로 판매단가가 인하되었고, '87년 이후에는 주변 상황 변화에 비해 매입가격이 현실적이지 못했다.
- 이에 따른 경제성 상실로 소수력발전소의 신규개발이 거의 중단되었으며, 최근에는 기존 농업용 댐 등을 이용하는 사업이 일부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연 도 |
'84 ' 85 ' 86 ' 89 ' 91 ' 95 '96 '97 '98 '99 2000 2001 |
매입단가(원/㎾h) |
40.29 38.25 38.45 38.45 41.67 48.09 48.38 49.94 54.84 60.93 60.23 63.51 |
▲ 한전 소수력 발전 매입 단가의 변화 추이
- 주요 국가의 소수력발전 전력 구매 현황
독 일 : 전력회사 판매가격의 75%
프랑스 : 전력회사의 판매단가
미 국 : 주별로 산정되어 있는 회피원가(Avoided Cost)
일 본 : 소수력발전소의 총괄원가
6) 소수력 발전에 대한 고찰
- 소수력자원 면에서 유럽의 여러 나라에 뒤지지 않는 우리나라에서 소수력 발전소 건설이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는 소수력 발전소 운영에 따른 경제성이 향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수력발전소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소수력 자원 특성에 적합한 중ㆍ저낙차용 수차발전기를 국산화 개발과 이에 따른 수차발전기의 제작비용 및 소수력 발전소 건설비를 절감하고, 또한 수차발전기 운영에 따른 유지비의 절감이 필요한 실정이다.
참고 사이트
1. http://terms.naver.com/ 유역 변경식
2. http://blog.daum.net/techwind/728 펠톤
3. http://blog.daum.net/archee/18138164 터고 수차
4. http://climarx.com.ne.kr/book/cont/co_322.htm 프란시스 수차
5. http://energynatura.org/02_energy/energy_09.asp 소수력 분류
6. http://blog.daum.net/niast0158/8547365 소수력 국내 잠재량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해양에너지 (0) | 2012.11.27 |
---|---|
바이오 에너지. (3) | 2012.11.14 |
풍력 에너지 (0) | 2012.10.29 |
지열 에너지 (0) | 2012.10.29 |
지구가, 화났다. (0) | 2012.10.27 |
2012. 10. 29. 20:13 자료공유/신재생 에너지
풍력에너지 (Wind Energy)
1. 풍력에너지 개요
- 1891년 덴마크에서 전력공급원으로서 풍력에너지 이용이 시작됐다.
- 전 세계적으로 약47,317MW(2004년말)가 보급되어 있다.
- 풍력발전 기술의 성장 및 대형화,단지화를 통해 현재발전단가는 4c€/kWh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 유럽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미국과 아시아시장이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 독일, 스페인의 경우 전체전력의5%, 덴마크의 경우 전체 전력의20%를 풍력발전이 담당한다.
2.다각적 측면에서 바라본 풍력 발전
1)풍력 에너지 잠재성
- 가용성 측면에서 가장 풍부한 신 재생 에너지원이다.
2) 경제적 측면
- 기술의 발달과 시장의 형성으로 발전단가는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 유럽의 경우 시장의 성숙으로 기존 화석연료와 경쟁 가능한 수준이다.
- 신·재생에너지원 중 기존에너지원과 유일하게 가격경쟁력을 가진다.
2) 환경적 측면
- 풍력발전은 기후협약을 위해 필요한 필수 정책 중 한가지로서 CO2 저감에 매우 큰 효과가 있으며, 완성도 및 영향력이 큰 에너지 기술이다
- 유럽의 경우 풍력에너지를 통해 이미 5천만톤 이산화탄소 감소효과를 거둠 ⇒ 2010년까지 1억 9백만 톤 감소효과을 기대한다.
- 온실효과를 야기시키는 유해가스 배출량감소에 가장효과적인 방안으로 대두됨
- 2040년 까지 약900억 톤의 CO2배출량 저감 효과를 기대한다.
3. 풍력 에너지 현황
1) 국외 현황
- 유럽을 중심으로 성장했던 풍력발전시장은 최근 아시아와 북미시장에서 폭발적 성장으로 2005~8년 연평균 32.9% 성장했다.
- 2009년 세계 풍력시장은 금융위기 영향으로 전년대비 12.5% 성장한30.4GW 수준으로 전망되나, 이후 2013년까지 16~17% 고성장이 예상된다.
- 중국을 중심으로 아시아와 북미 시장의 성장이 빠르게 진행될 전망된다.
2) 국내
- 2008년 9월 국내풍력발전규모는 278MW 수준이나 2012년까지 2,250MW규모로 확대될 전망으로 매년 500MW 수준으로 추가 증설될 전망이다.
- 주요 풍력발전단지는 강원도와 동해, 제주도를 중심으로 개발 되었으며, 수도권 및 서해안으로는 난지도와 새만금지대가 있다.
▲풍력 발전기 설치 현황
▲풍력발전기 설치 추진 현황
4. 풍력 발전기 시스템
1) 시스템 구성 : 풍력이 가진 에너지를 흡수, 변환하는 운동량변환장치, 동력전달장치, 동력 변환장치,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1) 기계장치부
바람으로부터 회전력을 생산하는 Blade(회전날개), Shaft(회전축)를 포함한 Rotor(회전자), 이를 적정 속도로 변환하는 증속기(Gearbox)와 기동·제동 및 운용 효율성 향상을 위한 Brake, Pitching & Yawing System등의 제어장치부문으로 구성된다.
(2)전기장치부
발전기 및 기타 안정된 전력을 공급토록하는 전력안정화 장치로 구성된다.
(3)제어장치부
풍력발전기가 무인 운전이 가능토록 설정, 운전하는 Control System 및 Yawing & Pitching Controller와 원격지 제어 및 지상에서 시스템 상태 판별을 가능케하는 Monitoring System으로 구성된다.
- Yaw Control : 바람방향을 향하도록 블레이드의 방향조절
- Pitch Control : 날개의 경사각(pitch) 조절로 출력을 능동적 제어
- Stall(失速) Control: 한계풍속 이상이 되었을 때 양력이 회전날개에 작용하지 못하도록 날개 의 공기역학적 형상에 의한 제어
(4) 부품 구성도
2) 풍력발전기 시스템 종류
(1)시스템의 형태에 따라 수직축 풍력발전기(VAWT: vertical axis wind turbine)와 수평축 풍력발전기(HAWT: horizontal axis wind turbine)으로 구분된다.
1) 수직축 풍력발전기 :
- 로터의 형태에 따라 H-형과 다리우스형으로 분류된다.
- 1980년대 후반까지 연구개발이 활성화되었으나 상용화에는 실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수평축 풍력발전기 :
- 회전축이 바람의 방향에 대해 수평인 시스템으로 타워와 로터의위치에 따라 맞바람 형식(upwind type)과 뒷바람 형식(downwindtype)으로 구분된다.
- 수평축 풍력터빈은 또한 기어의 유무에 의해 분류되며, 기어박스에 따라 발전기의 종류가 결정된다.
(2)출력제어방식상 분류로 실속제어방식(stallregulated type)과 피치제어방식(pitch regulated type)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3) 전력사용방식상 분류로 계통연계(grid connected type)와 독립 및 복합운전(stand-aloneand hybrid type)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2) 해상 풍력 발전기
- 대단위 풍력발전단지의 건설은 육지에서는 한계로 인해 해상으로 이동하고 있는 추세이다.
1) 장점
- 수십만 kW 출력이 가능한 대규모발전단지가 운영 가능하다.
- 육상의 부족한 부지문제 및 환경소음을 해결할 수 있고, 육상에서 이송하기 어려운 60m 이상의 대형발전기 날개를 이용할 수 있다.
2) 단점
- 건설비용이 증가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되며 시각적인 측면에서 영향을 줄 있다
- 건설기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린다.
(3) 선진국 해상 풍력 발전기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에서 남쪽으로 150km를 달려 다다르게 되는 발틱 해상에 자리 잡은 이 곳 니스테드(Nysted) 해상 풍력단지(off shore windfarm)는 100% 무공해인 바닷바람으로 전기를 만들어 내다.이 곳에선 14만5000가구가 쓸 수 있는 전기를 생산 한다.
▲ 코펜하겐 남쪽의 발틱 해상에 자리 잡은 니스테드 해상 풍력장치
참고 문서 & 사이트
1. 국내 풍력발전산업의 전망과 경쟁력 분석(출판: 하나 금융그룹)
2. http://supersolar.com/iisub_2_4.html
4. http://www.greenonblog.kr/blog/postview.asp?b_id=lumi00&idx=8909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 에너지. (3) | 2012.11.14 |
---|---|
소수력 발전 (0) | 2012.11.14 |
지열 에너지 (0) | 2012.10.29 |
지구가, 화났다. (0) | 2012.10.27 |
태양 에너지 (0) | 2012.09.18 |
2012. 10. 29. 19:41 자료공유/신재생 에너지
1. 지구의 역사와 구조
1) 지구의 형성과정
약 46억 년 전에 만들어진 원시 지구의 주변에는 수많은 미행성체들이 존재했다. 지구 자체의 중력이 커지면서 지구와 미행성체들이 충돌했다. 충돌로 인해 지구는 점점 커져갔고,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지구 내부에 녹아 있던 무거운 금속인 철이나 니켈 등은 중심부에 모여 핵이 되었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규산염 광물은 맨틀을 이루었다. 이후 지구의 온도가 내려가 표면이 식으면서 지각이 만들어졌다. 원시 지구와 충돌할 때 미행성체에서 배출된 물과 이산화탄소, 메탄 등의 성분은 대기를 형성했다. 시간이 흘러 충돌이 줄어들고 충돌 에너지가 감소하자 원시 지구는 점차 냉각되었고,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하여 큰 비를 내려 지구의 바다를 이루었다.
2) 지구의 내부 구조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대기로 둘러싸인 둥근 고체 안에 우의 그림과 같이 지각과 맨틀, 핵 3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핵은 내핵과 외핵으로 나누어진다.
① 지각 : 지구의 가장 바깥 껍질로 고체인 암석으로 이루 어져 있다. 지구 전체 부피의 약 1% 정도를 차지한다
- 현무암질층: 해양지각은 지구 전체 표면의 2/3를 차지하며 두께는 약 5~10km이다. 평균 밀도는 약 3.3g/cm3이다.
|
|
② 맨틀 : 지구 내부의 82%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두꺼운 층이다.
③ 핵(내핵, 외핵)
-외핵 : S파가 통과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 액체로 이루어졌다고 생각된다. 맨틀과 외핵의 경계면을 구텐베르크면이라고 한다.-내핵 : 지진파의 속도가 빨라지는 것으로 보아 고체라고 생각된다. 외핵과 내핵의 경계면을 레만면이라고 한다. 성분은 약간의 니켈이 있는 철로 이루어져 Fe-Ni층이라고 한다.
2. 지열에너지
1)정의 및 구분
① 땅(토양, 지하수, 지표수 등)이 지구 내부의 마그마 열에 의해 보유하고 있는 어네지이다
② 지열에너지는 온도에 따라 중, 저온(Low to Medium Temperature, 10~90℃) 지열에너지와 고온 (High Temperature, 120℃ 이상) 지열에너지로 구분된다.
2)지열에너지 이용 기술 분류
지열에너지는 최종 생산물의 관점에 따라 직접이용(Direct Use)와 간접이용(Indirect Use) 기술로 구분된다. 열을 생산하면 직적이용이고, 전기를 생상하면 간접이용이다.
(1)지열에너지 직접 이용 (Direct use of geothermal energy)
① 지열원 펌프 시스템
가. 지열에너지 직접이용은 가장 오래된 기술로서 지열 히트펌프(geothermal heat pump), 온천(spa), 건물난방 (space heating), 시설원예 난방(greenhouse heating), 지열 지역난방(geo -thermal district heating) 등이 대표적인 기술이다.나. 땅에서 중 온수(30~150℃)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직접 공급(집단에너지 개념)할 수 있으며, 또한 히트펌프나 냉동기와 같은 에너지 변한기기의 열원으로 활용 된다.다.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을 제외한 나머지 기술들은 중온수가 풍부한 지역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지리적 제약이 있다.
라. 지열 히트 펌프
- 시스템 구성도 상세
- 지열 히트 펌트 특성
① 직접이용 기술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기술로 저온(10~30℃)의 지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지열분야의 대표기술이다.② 저온의 에너지를 활용하지만, 연중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항온성이 우수하며 지리적 제약이 없는 것이 큰 장점이다.③공기열원(air-source) 히트펌프와 구분하기 위해 지열원 히트펌프(ground-source heat pump)로 부르기도 한다.
-냉•난방 시스템 원리
난방 : 히트펌프 내부의 열교환기(증발기)를 지나는 차가운 액냉매는부동액(지중열교환기 내의 순환유체)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증기냉매로 상변화를 하게 된다. 증발과정 후 온도가 강하된 부동액은 지열 열교환기를 순환하면서 다시 온도를 회복하게 된다. 그러한 원리로 지중열원인 히트소스(Heat Source)의 역할을 수행하며, 난방사이클을 구성한다.
냉방 : 난방사이클과는 반대로 히트펌프 내부의 열교환기(응축기)를 지니는 뜨거운 기체 냉매는 부동액(지중열교환 내의 순환유체)으로 열을 방출하고 액체냉매로 상변화를 하게 된다. 응축과정 후 온도가 상승된 부동액은 지중열교환기를 순환하면서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지중온열을 방출하는 히트싱크(Heat Sink)의 역할을 수행하며, 냉방 사이클을 구성한다.
②지열 직접 이용 시스템의 종류
지열시스템의 종류는 대표적으로 지열을 회수하는 파이프(열교환기) 회로구성에 따라 폐회로(Closed Loop)와 개방회로(Open Loop)로 구분된다.
가. 밀폐형 시스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폐회로는 파이프가 폐회로로 구성되어 있는데, 파이프내에는 지열을 회수(열교환)하기 위한 열매가 순환되며, 파이프의 재질은 고밀도폴리에칠렌이 사용된다. 폐회로시스템(밀폐형)은 루프의 형태에 따라 수직, 수평루프시스템으로 구분되는데 수직으로 100~150m, 수평으로는 1.2~1.8m정도 깊이로 묻히게 되며 상대적으로 냉난방부하가 적은 곳에 쓰인다.
ㄱ. 수직형 시스템(vertical loop system) 깊이 100~150m 의 지중에 수직으로 파이프를 매설하여 지열을 얻으며 주로 소규모 냉난방 시스템에 적용되면 우리나라와 같이 면적이 좁은 지역에서는 널리 사용되며 적당한 시스템이다. 수평형 시스템보다는 시공비가 비싸나 루프의 길이가 짧고 냉난방에 효율적이다.
ㄴ. 수평형 시스템(horizontal loop system) 운동장과 같은 큰면적만 확보되면 설치가 간단하여 가장 경제적인 시스템이다.수평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파이프의 손상 등 우려가 있어 뒤채움을 철저히 하여야 하고 효율은 수직형에 비해 떨어지며 소형 시스템에 적용이 용이하다.
ㄷ. 우물형 시스템(pond loop system) 설치가 간단하고 경제적이나 이용 가능한 적정 넓이의 우물이 있어야 한다.
나. 오픈형 시스템(open system) 수원지나 호수 강등에서 공급받는 물을 개방형 회로를 순환하여 열교환하고 장점은 설치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 공간이 작으며 열전달 효과가 좋다. 오픈형 시스템은 풍부한 수자원이 있는 곳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단점으로는 폐쇄형에 비해 유지 보수비가 많이 든다는 것이다.
(2)지열에너지 간접 이용 (indirect use of geothermal energy)
① 땅에서 추출한 고온수나 증기(120~350℃)의 열에너지로 터빈을 구동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지열발전 (geothermal power generation)이다.② 최종 생산물은 전기이며, 화산지대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지리적 제약이 크다③건증기(dry steam), 습증기(wet or flash steam), 바이너리(binary), EGS(enhanced geothermal systems) 발전 등으로 구분된다.
가. 습증기 지열발전 : 플래시증기 지열발전이라고도 한다. 이 지열방식 역시 현재 널리 보급이 된 방식이다. 터빈의 단 수에 따라 1단과 2단 습증기 지열발전으로 분류하며, 최근 에너지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3단 습증기방식도 도입이 되고 있다.
나.바이너리 사이클(2유체 사이클) 지열발전은 지하에서 추출한 저온 지열수(100~120℃)가 비등점이 상대적으로 낮은 2차 유체를 증발시켜 터빈을 구동하고 있다. 2차 유체로는 냉매계열·프로판·펜탄·암모니아 등을 이용하고 있다.
다. EGS(Enhanced Geothermal Systems) 발전은 심부 고온암체에 인공파쇄대를 형성한 후, 이 파쇄대를 통해 물을 주입하여 열을 추출하는 방식을 말한다. 물을 주입하는 수압 파쇄용 시추공, 인공 저류층 그리고 뜨거운 물을 퍼 올리기 위한 생산정 등으로 구성이 되고 있습니다. 화산지대가 아닌 지역에서도 지열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 전 세계적으로 중장기 기술개발 프로젝트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4) 에너지원별 효율 비교 분석
에너지원 |
사용시스템 |
발열량 (단위당) |
1,057평/320,853Kcal/h |
시간당 운영비용 단위 (원) |
1일 10시간 기준 운영비 |
일반용 저압전기 1Kw/h |
지열열펌프 |
2,929 kcal |
2,929 kcal x 109 =320,853k cal |
64.90원x109 = 70,740원 |
70,740원 |
전기히터 |
860 kcal |
860 kcal x 373 =320,853k cal |
64.90원x373 = 242,070원 |
242,070원 | |
보일러등유 1£(901.77원) |
일반보일러 |
4,880 kcal |
4,880 kcal x 66 =320,853k cal |
901.77원x66 = 595,160원 |
595,160원 |
고효율보일러 |
6,778 kcal |
6,778 kcal x 47 =320,853k cal |
901.77원x47 = 423,830원 |
423,830원 | |
LPG 1£(704.86) |
일반 보일러 |
3,447 kcal |
3,447 kcal x 93 =320,853k cal |
704.86원x93 = 655,520원 |
655,520원 |
고효율보일러 |
5,374 kcal |
5,374 kcal x 60 =320,853k cal |
704.86원x60 = 422,910원 |
422,910원 |
-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지열 발전 시스템이 운영비 측면에서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5) 전 세계 지열에너지 사용 현황
(1)직접이용
① 현재 78개 국가에서 지열 직접이용 기술을 활용중이다.
② 2009년 말 기준, 지난 5년 동안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보급용량은 2.3배(연평균 18%), 에너지 이용량은 2.45배(연평균 19.7%) 증가했다.
③ 전체 보급용량(51 GWth) 중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보급용량은 35 GWth로 69.7% 점유한다.
④ 이용량은 215 PJ(60 TWh)로 전체 이용량(438 PJ, 122 TWh) 중 49% 점유한다.
⑤ 전 세계 78개국의 지열에너지 이용 국가 중 43개 국가에서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보급한다.
⑥ 현재 미국, 스웨덴과 독일을 포함한 유럽 그리고 중국 등이 보급시장 주도한다.
⑦ 전 세계 보급용량을 12 kWth급 히트펌프로 환산했을 때, 약 294만대 보급. 2005년(약 130만대)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구 분 |
보급용량, MWth |
이용량, TJ/Year | ||||||
2010 |
2005 |
2000 |
1995 |
2010 |
2005 |
2000 |
1995 | |
지열 히트펌프 |
35,236 |
15,384 |
5,275 |
1,854 |
214,782 |
87,503 |
23,275 |
14,617 |
지역난방 |
5,391 |
4,366 |
3,263 |
2,579 |
62,984 |
55,256 |
42,926 |
38,230 |
온실난방 |
1,544 |
1,404 |
1,246 |
1,085 |
23,264 |
20,661 |
17,864 |
15,742 |
양식업 |
636 |
616 |
605 |
1,097 |
11,521 |
10,976 |
11,733 |
13,493 |
농산물 |
127 |
157 |
74 |
67 |
1,662 |
2,013 |
1,038 |
1,124 |
산업이용 |
533 |
484 |
474 |
544 |
11,746 |
10,868 |
10,220 |
10,120 |
온천 및 수영 |
6,686 |
5,401 |
3,957 |
1,085 |
109,302 |
83,018 |
79,546 |
15,742 |
융설 |
368 |
371 |
114 |
115 |
2,126 |
2,032 |
1,063 |
1,124 |
기타 |
41 |
68 |
137 |
238 |
956 |
1,045 |
3,034 |
2,249 |
합계 |
52,572 |
30,256 |
17,145 |
10,659 |
440,353 |
275,377 |
192,699 |
114,43 |
▲ 활용 방식별 전 세계 지열에너지 직접이용 현황(1995~2010)
(2) 지열 간접이용 기술 활용 현황
① 2009년 말 기준, 전 세계 24개 국가에서 약 10,715 MWe의 용량과 연간 67,246 GWh의 발전량으로 지열발전 플랜트 운전주이다.
② 전체 플랜트 중 88%가 미국(3,093 MWe)·필리핀(1,904 MWe) 인도네시아(1,197 MWe)·멕시코(958 MWe)·이탈리아(843 MWe)·뉴질랜드(628 MWe)·아이슬란드(575 MWe)에 있다.
참고 사이트
2. http://energy.korea.com/ko/archives/48014
3. http://s_catharina.blog.me/30122911976
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23089&mobile&categoryId=3075
5. http://sos119002.blogspot.kr/2012/09/blog-post_3810.html
6. http://blog.naver.com/energyplanet/101399892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 에너지. (3) | 2012.11.14 |
---|---|
소수력 발전 (0) | 2012.11.14 |
풍력 에너지 (0) | 2012.10.29 |
지구가, 화났다. (0) | 2012.10.27 |
태양 에너지 (0) | 2012.09.18 |
2012. 10. 27. 19:49 자료공유/대학원 진학
대학원 진학 관련 글
1. 서울대학교 대학원, 면접가다.
http://kangsy85.tistory.com/65
2. 서울대학교 대학원 결과, 발표나다.
http://kangsy85.tistory.com/66
3. 대학원 진학을 위한 사전 컨택시 유의할 점
http://kangsy85.tistory.com/85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원 합격 지원서 다운로드(유료):
Soli Deo Gloria
서울대학교 2013학년도 전기 대학원에 지원하여, 10월 24일 면접까지 보고 왔다. 이제 결과만 기다리면 된다. 떨린다. 설렌다. 이제부터 대학원 지원과정을 공유하고자 한다. 뭐, 그렇게 유용할 정보는 아니겠지만 대학원 지원자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키보드를 두드린다.
1. 학과가 요구하는 공인영어 성적을 얻으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 지원하려면 먼저 TEPS 또는 TOEFL 성적이 필요하다. 공인영어성적이 없으면 대학원 지원은, 머나먼 꿈이다. 공인영어성적이 없어서 지원조차 하지 못하는 사람을 몇 명 보았다.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전기모집 안내서는 지원자격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제한한다.
TEPS 601점을 넘기기 위한 공부법을 원한다면, '만만치 않았던 TEPS, 601점의 문턱을 넘다http://kangsy85.tistory.com/40 를 참고하기 바란다.
1) 국내․외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2013년 2월(일본대학 졸업자는 3월)까지 취득예정자 포함] 또는 법령에 의하여 학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2) 위 1)에 해당하는 자로서 TEPS 또는 TOEFL [정기시험]에서 모집단위별로 정한 일정점수이상의 성적을 취득한 자
TEPS 점수 |
TOEFL |
대 학 (원) |
IBT | ||
801점 이상 |
103점 이상 |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 영어전공 |
701점 이상 |
94점 이상 |
인문대학(언어학과, 미학과), 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부, 경제학부, 사회학과, 인류학과, 언론정보학과, 심리학과), 법과대학(지식재산전공 제외), 국제대학원 |
664점 이상 |
90점 이상 |
자연과학대학(뇌인지과학과), 경영대학, 법과대학(지식재산전공) |
601점 이상 |
84점 이상 |
인문대학(영어영문학과, 언어학과, 미학과 제외), 사회과학대학[지리학과, 사회복지학과, 협동과정(여성학 전공)], 공과대학(협동과정 도시설계학 전공 제외), 농업생명과학대학(농경제사회학부), 미술대학(협동과정 미술경영 전공), 사범대학[교육학과, 국어교육과, 외국어교육과(독어, 불어전공), 사회교육과, 체육교육과(글로벌스포츠매니지먼트전공), 협동과정(미술교육, 특수교육, 글로벌교육협력전공)], 생활과학대학(소비자학과, 아동가족학과), 의과대학(의학과, 의과학과) |
551점 이상 |
77점 이상 |
자연과학대학(뇌인지과학과 제외), 간호대학, 공과대학(협동과정 도시설계학 전공), 농업생명과학대학(농생명공학부 바이오모듈레이션 전공), 미술대학(협동과정 미술경영 전공 제외), 사범대학[윤리교육과, 수학교육과, 체육교육과(스포츠과학, 인간운동과학 전공), 협동과정(가정교육, 유아교육 전공)], 생활과학대학(식품영양학과, 의류학과), 약학대학, 수의과대학, 의과대학(협동과정), 치의학대학원, 보건대학원(보건학과), 행정대학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
522점 이상 |
72점 이상 |
농업생명과학대학(농경제사회학부, 농생명공학부 바이오모듈레이션전공 제외), 사범대학(과학교육과) |
501점 이상 |
69점 이상 |
음악대학, 사범대학[협동과정(음악교육, 환경교육 전공)], 보건대학원(환경보건학과), 환경대학원 |
2. 교수님과 컨택하라.
공인영어 성적 얻는 것보다 더 중요할 수도 있다. 먼저 공부할 석사과정 분야를 정하고, 그 분야에서 어떤 교수님께 수학하고 싶은지 결정해야 한다. 그런 다음 선택한 교수님이 어떤 논문을 썻는가 확인해야 한다. 해당학교 홈페이지에 가서 교수님를 조회하면 논문 목록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논문을 바탕으로 자신이 공부하고자 하는 방향과 일치하는지 점검하는 것이 좋다. 자신이 공부하고자 하는 방향과 조금 다르다 하더라도 연구해볼 가치가 있고 흥미가 생긴다면 사전 접촉을 시도해 보라! 접촉이 쉽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끈질기게, 집요하게 문을 두드려라.
교수님이 운영하는 블로그가 있다면 방명록에 글을 남겨라.
메일을 보내라.
메일을 보낼 때 본문내용과 함께 자기소개서,
이력서를 첨부해서 보내면 답장올 확률이 커진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수님 건택시 메일 작성요령(유료):
나는 첫 메일에서 자기소개서와 이력서를 첨부해서 보냈는데, 보낸 지 2시간만에 답장을 받았다. 사전접촉한 지원자와 그렇지 않은지원자의 대학원에 붙을 확률차는 크다. 상식선에서 생각하면, 누굴 뽑겠는가? 당연히, 사전에 연락해서 안면이 있는 지원자가 대학원에 합격해서 입학할 확률이 높다. 무턱대고 지원만 해야겠다 생각하지 말고 전략적으로 도전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교수님이 운영하고 계시는 연구실에 있는 석,박사 학생들과 접촉해보면 좋다. 연구실에서 어떤 업무와 프로젝트는 주로 하고 있으며, 월급은 얼마를 받고, 지원은 어떻게 되며, 연구실 분위기는 어떤지 등을 상세하고 물어보는 것이 좋다. 그리고 실제 교수님의 성격(?)에 대해서도 꼬치꼬치 물어봐야 한다.
3. 대학원 지원서 작성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원 합격 지원서 다운로드(유료):
기업 지원서와 형식은 조금 다를 수 있겠지만 해당 질문에 대해 얼마나 정확하게 대답하느냐, 강한 임팩트를 줄 수 있는가 생각해야 한다. 그저 서술식의 지원서는 별로 추천해주고 싶지 않다. 아래는 대학원 지원서 항목이다.
1) 경력(대학생활 또는 직장활동 상황)
2) 지원동기 및 장래계획
3) 성격의 장단점 및 특기
4) 상 벌 사 항
5) 기 타( 특 기 사 항 )
6) 석사․박사 진학시 희망 연구분야 및 연구계획
7) 학부, 대학원 이수 전공과목 중 관심과목
8) 석사․박사 이후의 계획(박사진학,취업,유학 등)
9) 연 구 실 적 목 록(논문, 보고서,연구참여 등) :
Soli Deo Gloria
1. 서울대학교 대학원, 면접가다.
http://kangsy85.tistory.com/65
2. 서울대학교 대학원 결과, 발표나다.
http://kangsy85.tistory.com/66
3. 대학원 진학을 위한 사전 컨택시 유의할 점
http://kangsy85.tistory.com/85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숙사 918동 방 구조 (A) (2) | 2014.03.08 |
---|---|
대학원 진학을 위한 사전 컨택 시 유의할 점 1 (4) | 2013.02.24 |
서울대학교 대학원 결과, 발표나다. (22) | 2012.12.05 |
서울대학교 대학원, 면접가다. (14) | 2012.12.03 |
[대학원 진학] 만만치 않았던 TEPS, 601점의 문턱을 넘다. (11) | 2012.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