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육아] 👶 울산광역시 출산·육아 지원정책 총정리! 🍼✨

2025. 4. 5. 14:01 카테고리 없음

👶 울산광역시 출산·육아 지원정책 총정리! 🍼✨

 

출산은 축복! 육아는 모두의 책임! 💖
울산에서 받을 수 있는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하나도 빠짐없이 깔끔하게 정리해봤어요.
엄마, 아빠들 모두 참고하세요! 📌


1️⃣ 출산지원금 💰

📍 지원대상 및 금액

  • 중구
    • 👶 첫째아: 70만 원
    • 👶 둘째아 이상: 100만 원
  • 남구/동구/북구
    • 👶 첫째아: 60만 원
    • 👶 둘째아 이상: 100만 원
  • 울주군
    • 👶 첫째아: 70만 원
    • 👶 둘째아: 250만 원 (5회 분할 지급)
    • 👶 셋째아 이상: 500만 원 (분할 지급)

📆 신청기간: 출생일 기준 3개월 이내
🧾 신청방법: 관할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 문의처

  • 중구: 052-290-4904
  • 남구: 052-226-6946
  • 동구: 052-209-3915
  • 북구: 052-241-7675
  • 울주군: 052-204-1029

2️⃣ 장애인가정 출산지원금 ♿

👨‍👩‍👦 지원대상: 부모 중 한 명 이상이 장애인
💵 지원금액

  • 심한 장애: 100만 원
  • 심하지 않은 장애: 70만 원
    📆 신청기한 동일 (출생일 기준 3개월 이내)

3️⃣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

🍼 지원내용:
전문 건강관리사가 산모의 회복과 신생아 돌봄을 도와줘요

🎯 지원대상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 일부 예외 가정도 지원 가능

📆 신청시기: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 후 30일까지
🏥 신청처: 관할 보건소 방문


4️⃣ 산후조리비 지원 🧖‍♀️

💵 지원금액: 출생아 1인당 50만 원
📍 지원대상: 울산에 주민등록 1개월 이상
🖥️ 신청방법: 정부24 또는 동주민센터
🔗 정부24 바로가기


5️⃣ 첫만남이용권 🎁

👶 지원금액: 출생아 1인당 200만 원 바우처
💳 사용방법: 국민행복카드로 지정 용도 사용 가능
📆 신청기한: 출생 후 60일 이내
🌐 복지로 바로가기


6️⃣ 부모급여 💸

👨‍👩‍👧 지원대상: 만 0~1세 가정
💵 지원금액


7️⃣ 가정양육수당 🏡

🧒 대상: 어린이집, 유치원 이용 안 하는 24개월~86개월 아이
💵 금액: 월 10만 원
🌐 복지로 가정양육수당 안내


8️⃣ 아동수당 🎈

👧 대상: 만 8세 미만 아동
💰 금액: 월 10만 원
📍 신청: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 아동수당 신청 바로가기


9️⃣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

👶 대상

  • 미숙아: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시
  • 선천성이상아: 2년 이내 수술 필요시
    💵 지원: 치료 목적 의료비 일부
    📆 기한: 분만일로부터 6개월 이내
    🏥 신청처: 보건소

🔗 참고사이트 모음 💻


울산광역시에서 출산 및 육아하시는 모든 분들께 꼭 도움 되시길 바라요! 🙌 그럼 다음에 더 좋은 포스팅으로 만나요~좋은 하루 되세요. 

 

반응형

[출산&육아]👶 서울특별시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총정리 🌸

2025. 4. 3. 12:15 카테고리 없음

👶 서울특별시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총정리 🌸

 

서울시에 거주하는 예비맘, 육아맘을 위한 따뜻한 지원 소식!
출산 전후로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혜택과 신청 방법을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


1. 🚗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지원대상: 신청일 기준 서울시에 6개월 이상 주민등록이 된 임산부
  • 지원자격: 임신 3개월(12주 차) 이후부터 출산 후 3개월 이내
  • 지원금액: 70만 원
  • 지원시기: 신청 후 승인되면 지급
  • 유의사항: 출산 후 12개월까지 사용 가능 (대중교통, 주유비 등)
  • 신청방법: 서울맘케어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2. 🏥 산후조리경비 지원

  • 지원대상: 서울시 거주 & 서울시 출생신고 산모
  • 지원자격: 출산 후 60일 이내 신청
  • 지원금액:
    • 단태아: 100만 원
    • 쌍둥이: 200만 원
    • 세쌍둥이 이상: 300만 원
  • 지원시기: 신청 후 승인되면 지급
  • 유의사항: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사용 가능
  • 신청방법: 서울맘케어 홈페이지 또는 동주민센터

3. 📚 엄마 북(Book)돋움 사업

  • 지원대상: 서울시에 거주하는 임산부
  • 지원자격: 임신 확인 후 신청 가능
  • 지원내용: 임신·출산·육아 도서 3권 + 안내책자
  • 지원시기: 신청 후 택배 발송
  • 유의사항: 임신 기간 중 1회 한정 지원
  • 신청방법: 서울맘케어 홈페이지

4. 💼 1인 자영업자 등 임산부 출산급여 지원

  • 지원대상: 2024년 4월 22일 이후 출산한 1인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 등
  • 지원자격:
    1.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수혜자
    2. 서울시 거주 및 서울시 출생신고
    3. 출산일로부터 1년 이내 신청
  • 지원금액: 90만 원 (정부 지원 포함 총 240만 원)
  • 지원시기: 신청 후 지급
  • 유의사항: 다태아·유산 등은 조건별 차등 지원
  • 신청방법: 몽땅정보 만능키 홈페이지

5. 💰 출산장려금 (구별 상이)

  • 지원대상: 서울시 각 자치구에 주민등록된 출산 가정
  • 지원자격: 구청별 기준 상이 (예: 거주기간 등)
  • 지원금액:
    예) 중구 – 첫째 100만 원, 둘째 200만 원, 셋째 300만 원
  • 지원시기: 출산 후 일정 기간 내 신청
  • 유의사항: 구별 조건·절차 다르므로 꼭 해당 구청 확인
  • 신청방법: 각 구청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방문

🔗 출처 링크 모음


💡 출산은 축복이자 시작이에요. 서울시의 다양한 혜택을 꼼꼼히 챙기고, 행복한 육아 여정 시작해보세요! 😊🍼💕 그럼 다음에 더 좋은 포스팅으로 만나요~

 

 

반응형

[출산&육아] 🎉 세종특별자치시 출산 및 육아 지원정책 안내 🎉

2025. 4. 1. 12:57 카테고리 없음

 

🎉 세종특별자치시 출산 및 육아 지원정책 안내 🎉


예비 부모님들과 육아를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한 소중한 정보! 세종시에서 누릴 수 있는 다양한 혜택들을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


🍼 출산축하금 지원

지원대상
👨‍👩‍👧 신생아의 출생일 기준, 출산 전 3개월 이상 또는 출산 후 3개월 이상 세종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부모

지원금액
💰 출생아 1인당 120만 원 (여민전으로 지급)

지원시기
📅 출생신고 후 6개월 이내

신청방법
📝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 여민전 앱 가입 필수


👶 부모급여 지원

지원대상
👶 만 0세 ~ 1세 영아

지원금액
🍼 만 0세: 월 70만 원 (2024년부터 100만 원으로 확대 예정)
🍼 만 1세: 월 35만 원 (2024년부터 50만 원으로 확대 예정)

지원시기
📅 매월 지급

신청방법
💻 복지로, 정부24 또는 주민센터 방문


👨‍🍼 아이 돌보는 아빠 장려금

지원대상
👨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세종시 거주 남성 근로자

지원금액
💸 월 30만 원 × 최대 6개월 (총 180만 원, 여민전으로 지급)

지원시기
📅 육아휴직 1개월 경과 후부터 종료 전까지 신청

신청방법
📝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첫만남이용권

지원대상
👶 출생신고를 마친 모든 신생아

지원금액
🎉 1인당 200만 원 바우처
🎉 둘째아 이상은 300만 원으로 확대 (2024년 이후 출생자 기준)

지원시기
📅 출생 후 일정기간 내 신청

신청방법
💻 복지로, 정부24 또는 보건소·주민센터 방문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지원대상
🤱 출산 가정 (내국인 및 외국인 등록자 포함)

지원내용
🧑‍⚕️ 건강관리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산모의 건강 회복과 신생아 돌봄 지원

지원시기
📅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 후 30일 이내 신청

신청방법
📝 거주지 보건소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


📚 참고사이트

📌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https://www.sejong.go.kr
📌 복지로 https://www.bokjiro.go.kr
📌 정부24 https://www.gov.kr


세종시에 출산 및 육아하시는 분들께써는 필요한 혜택 꼭 챙기시고, 세종에서의 육아가 더 따뜻하고 든든한 여정이 되시길 응원합니다! 🌈

 

반응형

[출산&육아]👶 부산광역시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총정리 (2025년 기준)

2025. 3. 27. 13:06 카테고리 없음

 

👶 부산광역시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총정리 (2025년 기준)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산광역시에서 제공하는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에 대해 정리해드릴게요 😊
출산을 준비 중이거나, 아이를 키우고 있는 가정이라면 꼭 알아야 할 알짜 정보만 담았습니다!


🎯 지원 대상

부산광역시에 거주 중인 임산부 및 영유아 가정, 그리고 초보 부모님들이 주 대상입니다.
📌 기준은 세대주 기준 주소지가 부산일 경우 대부분 해당됩니다.


💝 주요 지원 내용 및 금액

1. 🍼 첫만남 이용권 (국가 정책)

  • 지원대상: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
  • 지원내용: 출생아 1인당 200만 원 포인트 지급 (국민행복카드로 사용)
  • 사용처: 육아용품, 의료비, 산후조리 등

2. 👶 출산축하금 (부산 자체 지원)

  • 지원대상: 출생일 기준 부모 중 1명이 부산에 주민등록을 둔 가정
  • 지원금액:
    • 첫째: 100만 원
    • 둘째: 200만 원
    • 셋째 이상: 300만 원
  • 지급방식: 현금 또는 지역화폐 (구·군별로 상이)

3.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 지원대상: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또는 둘째 이상 출산 가정
  • 지원내용: 산모·신생아 도우미 파견 (최대 25일)
  • 본인부담금: 소득에 따라 다름 (면제 또는 할인 가능)

4. 🧼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 지원대상: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가정
  • 지원내용: 매월 기저귀 6~7만 원 상당 지원, 조제분유는 조건 충족 시 추가 지원
  • 신청장소: 보건소 또는 복지로

5. 🏠 아이돌봄 서비스

  • 지원대상: 만 12세 이하 아동이 있는 가정
  • 지원내용: 돌봄 서비스 시간제 제공 (정부 지원금 적용)
  • 지원비율: 소득에 따라 최대 85% 지원

📝 지원 방법

  1. 정부24 또는 복지로에서 온라인 신청
  2.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보건소 방문 신청
  3. 일부 서비스는 모바일 앱이나 구청 홈페이지에서도 가능

👉 신청 시 준비서류: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출생증명서 등


🔗 참고 사이트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


👨‍👩‍👧 출산과 육아는 혼자가 아니라 함께 준비해가는 여정입니다.
부산시의 다양한 지원을 통해 더 든든한 육아 시작하시길 응원할게요! 💪💕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
공감💗 + 공유📢도 큰 힘이 됩니다~!


필요하시면 구나 구별 정책도 더 세부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

반응형

[출산&육아] 🎉 대구광역시 출산 및 육아 지원정책 총정리 🍼

2025. 3. 27. 12:47 카테고리 없음

🎉 대구광역시 출산 및 육아 지원정책 총정리 🍼

 

안녕하세요, diaspora입니다~

오늘은 대구광역시에 거주하시는 예비 부모님들과 육아 중이신 부모님들을 위한 출산 및 육아 지원정책을 정리해보았어요. 지원 대상, 지원 금액, 내용, 신청 방법까지 깔끔하게 정리했으니 꼭 참고하시고 알뜰하게 혜택 챙기세요! 😄  

 


👶 1. 출산지원금

✅ 지원대상

  • 대구광역시 거주 가정 중 출생아의 출생신고일 기준 3개월 전부터 신청일까지 계속해서 주민등록이 대구시에 등록된 경우

💰 지원금액

  • 첫째 아이: 100만 원
  • 둘째 아이: 200만 원
  • 셋째 아이 이상: 300만 원
    (일부 구·군마다 상이할 수 있음)

📝 신청방법

  • 출생신고 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또는
  • 정부24 온라인 신청 가능

🧷 2.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 지원대상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 예외적으로 맞벌이·장애인·다자녀 가구도 지원 가능

💰 지원내용

  •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관리를 위한 전문 도우미 파견
  • 서비스 기간: 5~15일간 방문서비스 제공
  • 서비스 비용의 약 90% 지원 (소득에 따라 차등 지원)

📝 신청방법

  • 보건소에 방문 또는
  • 복지로 사이트에서 온라인 신청

🍼 3. 영아수당 & 부모급여

✅ 지원대상

  • 만 0~1세 아동을 둔 보호자

💰 지원금액 (2025년 기준)

  • 만 0세: 월 100만 원 (현금+보육료/바우처 선택 가능)
  • 만 1세: 월 50만 원

📝 신청방법

  • 출생신고 후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또는
  • 복지로, 정부24에서 온라인 신청

🏫 4. 아이돌봄서비스 지원

✅ 지원대상

  • 만 12세 이하 아동을 둔 가정
  • 맞벌이, 한부모, 장애부모 가정 등 우선 지원

💰 지원내용

  • 시간제 or 종일제 아이돌보미 파견
  • 소득 기준에 따라 최대 90% 비용 지원

📝 신청방법


🧸 5. 대구형 영유아 돌봄사업 (행복가정방문사업)

✅ 지원대상

  • 생후 3개월~12개월 영아를 둔 가정
  • 산모의 우울감, 육아 스트레스 등 완화를 위해 전문가가 방문

💰 지원내용

  • 전문 육아상담사 또는 간호사의 주 1~2회 방문 돌봄 서비스
  • 총 12회 무료 제공

📝 신청방법

  • 관할 보건소로 전화 또는 방문 신청

📚 참고사이트 모음


👨‍👩‍👧‍👦 아이를 낳고 키운다는 건 정말 멋진 일입니다.
대구광역시의 다양한 정책을 잘 활용해서, 조금 더 여유롭고 행복한 육아생활이 되시길 바랄게요! 🌈

반응형

[출산&육아] 👶💕 인천광역시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안내 💕👶

2025. 3. 26. 12:16 카테고리 없음

 

안녕하세요, diaspora입니다~

오늘은 인천광역시 출산 및 육아 지원정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한번 출발해볼까요?


👶💕 인천광역시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안내 💕👶

안녕하세요, 소중한 생명을 맞이하신 것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인천광역시는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드리고자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지원 대상, 지원 시기, 지원 금액, 지원 방법, 참고사이트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 드릴게요. 😊


🌟 1억 플러스 아이드림 정책 🌟

지원 대상
👶 인천에서 태어나는 모든 아이

지원 내용
🍼 천사지원금: 1세부터 7세까지 매년 120만 원씩, 총 840만 원 지원
🎈 아이꿈 수당: 8세부터 18세까지 매월 5만 원씩, 총 660만 원 지원
📅 (2032년부터는 매월 15만 원으로 증액 예정)
🚗 임산부 교통비: 임산부에게 50만 원 지원

지원 방법
📍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 또는 온라인 신청 (복지로, 정부24)


🎁 첫만남이용권 🎁

지원 대상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로서 출생신고를 완료한 아동

지원 금액
💳 출생아당 200만 원 (국민행복카드 이용권 형태)

신청 방법
📍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 복지로 또는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지급 시기
⏰ 신청 후 최소 한 달 이내 지급


🍼 출산·육아 지원금 🍼

지원 대상
👪 2021년 출생아로, 부 또는 모가 출생일 및 신청일 현재 인천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고, 출생신고를 인천시로 한 경우

지원 금액
💰 출산육아 지원금 100만 원 및 탄생축하문자 발송

신청 기한
📆 출생신고일로부터 90일 이내

신청 방법
📍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신청
💻 또는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 문의처 📞

미추홀 콜센터: 국번 없이 120 또는 휴대전화 032-120
🏢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군·구 보육담당 부서


🔗 참고사이트 🔗


필요하신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모든 부모님과 아기에게 건강하고 행복한 나날이 가득하길 바랍니다! 🌈💖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

반응형

[출산&육아] 👶🎉 김포시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총정리 🎉👶

2025. 3. 6. 08:28 카테고리 없음

👶🎉 김포시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총정리 🎉👶

안녕하세요, diaspora입니다~

오늘은 김포시에서 지원하는 출산 및 육아 정책을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다들 하나도 놓치지 말고 다 꼼꼼히 확인해서 모든 정책 지원 받으세요!


1. 임신축하금 지원

  • 지원대상: 신청일 이전부터 180일 이상 김포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한 임신부. 외국인 임신부의 경우, 배우자가 대한민국 국적이어야 합니다.
  • 지원금액: 임신 시마다 50만 원 (1회 지원)
  • 신청방법:
    • 주민등록상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 정부24 '맘편한 임신 통합제공서비스'를 통한 온라인 신청 (내국인 임산부만 가능)
  • 신청기한: 지급대상 요건을 충족한 날부터 6개월 이내
  • 🔗 참고 사이트: 김포시 임신축하금 지원

2. 출산축하금 지원

  • 지원대상: 신생아 출생일 기준 180일 이전부터 신청일까지 김포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한 보호자. 대상 자녀는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원이어야 합니다.
  • 지원금액: 둘째 자녀부터 100만 원 지원
  • 신청방법: 주민등록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 신청기한: 지급대상 요건을 충족한 날부터 6개월 이내
  • 🔗 참고 사이트: 김포시 출산축하금 지원

3.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본인부담금 지원

  • 지원대상: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서비스를 이용한 산모 중 신생아 출생일 180일 이전부터 신청일까지 김포시에 주민등록 또는 외국인등록을 두고 계속 거주한 경우
  • 지원내용: 본인부담금의 90% 지원 (단, '연장형' 이용자는 '표준형' 금액 기준으로 지원)
  • 신청기한: 서비스 종료 후 6개월 이내 (소급지원 불가)
  • 🔗 참고 사이트: 김포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4. 유축기 대여 서비스

  • 지원대상: 출산 후 6개월 이내 주민등록상 김포시에 거주하는 산모
  • 지원내용: 유축기 1인 1회 2개월 대여 (필요 시 1개월 연장 가능, 소모품인 흡입기 세트 및 젖병은 개별 준비)
  • 신청방법: 출산 후 전화로 예약 (☎ 031-5186-4159)
  • 🔗 참고 사이트: 김포시 유축기 대여 서비스

5. 영유아 발달 정밀검사비 지원

  • 지원대상: 영유아 건강검진 발달평가 영역에서 '심화평가 권고'를 받은 경우
  • 지원금액:
    • 의료급여수급권자, 차상위계층: 최대 40만 원
    • 건강보험가입자: 최대 20만 원
  • 🔗 참고 사이트: 김포시 영유아 발달 정밀검사비 지원

6. 유아학비 지원 (누리과정)

  • 지원대상: 국공립 및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 (2022년 1월 1일 ~ 2024년 2월 29일 출생)
  • 지원금액:
    • 국공립유치원: 월 10만 원
    • 사립유치원: 월 28만 원
  •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복지로 웹사이트
    • 방문 신청: 읍면동 주민센터
  • 🔗 참고 사이트: 유아학비(누리과정) 지원 신청

💡 유의사항

  • 각 지원금은 신청 기한이 있으므로, 기간 내에 신청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신청 시 필요한 서류를 사전에 확인하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 지원금 지급 이전에 타 지역으로 전출할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김포시의 다양한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을 적극 활용하여 행복한 육아 생활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

그럼 다음에 더 좋은 포스팅으로 만나요!

반응형

[출산&육아] 👶 과천시 출산 및 육아 지원정책 안내 👶

2025. 3. 6. 07:59 카테고리 없음

 

👶 과천시 출산 및 육아 지원정책 안내 👶

안녕하세요, 예비 부모님들과 육아를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과천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출산 및 육아 지원정책을 소개합니다. 😊 아래 내용을 참고하셔서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1. 출산·입양장려금 지원

  • 지원대상: 출산 또는 입양 전 6개월 이상 과천시에 거주하거나, 출산·입양 후 출생일·입양일로부터 6개월 이상 거주한 가정
  • 지원금액:
    • 첫째 아이: 100만 원
    • 둘째 아이: 150만 원 (입양가정의 첫째 포함)
    • 셋째 아이: 300만 원 (2회 분할 지급)
    • 넷째 아이 이상: 500만 원 (4회 분할 지급)
  • 지원시기: 출산 또는 입양 후 1년 이내 신청 가능
  • 신청방법: 거주지 관할 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 문의처: 과천시청 저출생대응TF팀 ☎ 02-3677-2356
  • 자세한 정보 보기: 🔗 과천시 출산장려금 안내

2. 임산부 산전검사 지원

  • 지원대상: 과천시 보건소에 등록된 임산부
  • 지원내용: 기초검사, 기형아 검사, 임신성 당뇨검사 등 지원
  • 지원시기: 임신 중 해당 검사 시 지원
  • 신청방법: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
  • 문의처: 과천시 보건소 모자건강팀 ☎ 02-2150-3843, 3844
  • 자세한 정보 보기: 🔗 과천시 보건소 산전검사 안내

3. 유축기 대여 지원

  • 지원대상: 과천시 보건소에 등록된 수유부
  • 지원내용: 유축기 30일간 무료 대여
  • 지원시기: 출산 후 신청 가능
  • 신청방법: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
  • 문의처: 과천시 보건소 모자건강팀 ☎ 02-2150-3843, 3844
  • 자세한 정보 보기: 🔗 과천시 유축기 대여 서비스

4. 다자녀 사랑카드 발급

  • 지원대상: 과천시에 거주하는 셋째 이상 다자녀 가정
  • 지원내용: 참여 협조 시설(공공, 민간)별 5%~50% 할인 혜택 제공
  • 지원기간: 막내 자녀가 만 18세가 되는 해의 12월 말까지
  • 신청방법: 거주지 관할 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 문의처: 과천시청 저출생대응TF팀 ☎ 02-3677-2356

5. 첫만남이용권

  • 지원대상: 출생신고하여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의 부모
  • 지원금액:
    • 첫째 아이 200만 원
    • 둘째 아이 300만 원
  • 지원기간: 출생한 날로부터 2년 이내 사용 가능
  • 신청방법: 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복지로)
  • 문의처: 과천시청 저출생대응TF팀 ☎ 02-3677-2356

6. 가족돌봄수당

  • 지원대상: 경기도에 거주하는 양육공백 발생 가정
  • 지원내용:
    • 아동 1명당 월 30만 원 지원
    • 아동 2명: 월 45만 원, 아동 3명: 월 60만 원
  • 지원기간: 아동 연령 만 24개월 이상~48개월 미만까지
  •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 (경기민원24)
  • 문의처: 과천시청 저출생대응TF팀 ☎ 02-3677-2356

📌 유의사항

  • 각 지원사업별로 신청 기간과 방법이 다를 수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해당 부서에 문의하시거나 공식 사이트를 참고하세요.
  • 지원금 및 혜택은 예산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참고사이트

과천시 임신·출산·양육지원: 🔗 과천시청 공식 홈페이지
복지로: 🔗 복지로 공식 홈페이지
경기민원24: 🔗 경기민원24 홈페이지


다들 과천시는 출산 및 육아 지원정책을 적극 활용하시어 건강하고 행복한 육아 생활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

그럼 다음에 더 좋은 포스팅으로 만나요~

반응형

[출산&육아] 👶 성남시 육아 및 출산 지원 정책 총정리 👶

2025. 3. 1. 18:28 카테고리 없음

 

안녕하세요, diaspora입니다~

오늘은 성남시의 출산 및 육아에 과한 다양한 정책을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다들 꼼꼼하게 확인하셔서 하나라도 놓치지 말고 다 챙기세요~


1. 산후조리비 지원 🛏️

*지원대상: 성남시에 출생신고를 한 영아의 출생일 기준 6개월 전부터 성남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신청일 현재 거주하는 부 또는 모로,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출산가구.

*지원금액: 가구당 최대 5만 원

*지원내용: 산후조리원 본인부담금 또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본인부담금의 90 지원

*신청기간: 영아 출생일 기준 6개 이내

*유의사항: 실제 지출한 금액 기준으로 심사 후 계좌 지급됩니다. 

참고사이트: 성남시 산후조리비 지원


2. 출산장려금 💰

지원대: 신생아 출생일 기준 부모 중 한 명이 성남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180일 이상 계속 거주하며, 관내에 자녀를 출생신한 가정

지원금액:

  • 첫째아이: 30만 원
  • 둘째아이: 50만 원
  • 셋째아이: 100만 원
  • 넷째아이: 200만 원
  • 다섯째 아이이상: 300만 원

신청기: 출생신고 후 90일 이내

유의사: 2019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부터 첫째, 둘째는 카드형 지역화폐로 지급됩니다. 

참고사이트: 성남시 출산지원 정책


3.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 🧑‍⚕️

지원대상: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출산 가정 (예외적으로 성남시에 주소를 둔 모든 출산 가정도 지원)

지원내용: 출산 후 60일 이내 건강관리사를 파견하여 산모의 산후 회복과 신생아양육 지원

신청기간: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 후 30일 이내

유의사항: 태아 유형, 출산 순위, 서비스 기간 선택 등에 따라 지원 기간이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사이트: 성남시 출산지원 정책


4. 선천성대사이상검사 🧬

지대대상: 해당연도 출생아

지원내용: 대사이상 검사 50종 본인부담금 지원

유의사항: 조기 발견 및 치료를 통해 장애 발생을 예방합니다.

참고사이트: 성남시 출산지원 정책


5. 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

지원대상: 미숙아 선천성이상아

지원내용: 체중에 따라 최대 1,000만 원까지 의료비 지원

유의사항: 적기 치료를 통해 장애 발생을 최소화합니다.

참고사이트: 성남시 출산지원 정책


6. 신생아 난청검사 및 보청기 지원 👂

지원대상 : 출생 후 28일 이내 외래에서 실시하여 건강보험이 적용된 선별검를 받은 신생아

지원내용 : 난청 확진을 위한 검사비용의 본인부담금 지원(7만 원 한도)및 보청기 지원

유의사항 : 청성뇌간반응역치검사(ABR) 또는 청성지속반응검사(ASSR)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참고사이트: 성남시 출산지원 정책


7. 다자녀 아동양육수당 👨‍👩‍👧‍�

지원대상: 신청일 현재 부모와 셋째 이상 자녀가 성남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거주하는 취학 전 아동

지원금액:  아이 취학 전(만 7세)까지 월 10만 원

유의사항: 셋째 이상 자녀에게 지급됩니다. 


그럼 다음에 더 좋은 포스팅으로 만나요~

반응형

[출산&육아] 👶🎉 파주시 출산 및 지원 정책 안내 🎉👶

2025. 2. 26. 22:41 카테고리 없음

 

안녕하세요! 😊

오늘은 파주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이와 부모님을 위한 혜택들을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1. 산후조리비 지원 🛏️💰

지원대상:

  • 파주시에 출생 등록한 경기도 거주 출산가정
  • 외국인의 경우, 부부 모두 외국인이거나 배우자가 대한민국 국적이 아닌 경우, 출산자(모)의 국내 체류자격 비자 종류가 F-5(영주)인 경우 지원 가능

지원내용:

  • 출생아 1인당 50만 원 상당의 카드형 지역화폐 지원
    • 사용처: 산후조리비, 산모도우미 본인부담금, 소형마트 생필품 등 구매 가능

신청기간:

  • 출산일로부터 12개월 이내

신청방법:

  • 출생 주소 등록지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방문 신청 또는 '경기민원24' 온라인 신청
  • 외국인의 경우, 출생아 외국인등록 사실증명서의 첫 거주지 등록 관할 주민센터에서 신청

제출서류:

  • 신청서, 신분증, 주민등록 등·초본, 가족관계증명서, 외국인등록사실증명서

문의처:

  • 파주보건소: ☎ 031-940-5734
  • 운정보건소: ☎ 031-820-7341

자세한 정보 확인하기

 

출산 후 지원

카드 수령 후 카드 사용

clinic.paju.go.kr

 

출산 후 지원 : HOME > 통합건강증진사업 > 모자보건 > 출산 후 지원 > 출산 후 지원

 

파주시 보건소

파주시 보건소 홈페이지입니다. 다양한 건강정보를 제공합니다.

clinic.paju.go.kr

 


2.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지원대상:

  • 소득 무관하게 모든 출산가정 지원

지원내용: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비용 지원
    • 서비스 기간: 첫째아(515일), 둘째아(1020일), 셋째아 이상(1020일), 삼태아 이상 및 중증장애 산모(1525일)
    • 본인부담금: 유형별로 정부지원금 상이 (산모·신생아 제공기관 현황 참조)

신청기간:

  • 분만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 후 60일 이내

신청방법:

  • 산모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군·구(보건소)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복지로

제출서류:

  • 부부 신분증, 산모수첩(출산 후는 출생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등

문의처:

  • 파주보건소: ☎ 031-940-5526
  • 운정보건소: ☎ 031-820-7342
  • 문산보건과: ☎ 031-940-5506

자세한 정보 확인하기


3. 유축기 본체 대여 🍼🔄

지원대상:

  • 유축기 대여를 원하는 파주시 산모

대여방법:

  • 출산 후 전화 예약하여 예약 순서대로 유축기(스펙트라) 대여
  • 유축기 부속품은 무료 지원

대여기간:

  • 1인 1회 2개월

준비사항:

  • 방문 시 신분증 지참 (대리 수령 시 산모 및 대리인 신분증 모두 지참)

지원장소 및 문의처:

  • 파주보건소: ☎ 031-940-5732
  • 운정보건소: ☎ 031-820-7341
  • 문산보건과: ☎ 031-940-5216

자세한 정보 확인하기


4. 출생축하금 🎁🎈

지원대상:

  • 파주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출산가정

지원내용:

  • 첫째아: 10만 원
  • 둘째아: 30만 원
  • 셋째아 이상: 50만 원

신청방법 및 제출서류:

  • 출생신고 시 해당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
  •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등 필요

유의사항:

  • 출생일 기준으로 파주시에 일정 기간 이상 거주한 경우에만 지원 가능하므로, 자세한 사항은 해당 주민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정보 확인하기


아이와 함께하는 행복한 육아 생활을 위해 파주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 혜택을 꼭 확인하시고, 필요한 지원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

참고: 정책 내용은 2025년 2월 기준이며, 자세한 사항은 파주시 공식 홈페이지 및 해당 부서에 꼭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출산&육아] 🎉 남양주시 출산 및 육아 지원정책 총정리 🎉

2025. 2. 25. 17:42 카테고리 없음

 

안녕하세요, diaspora입니다~

오늘은 남양주시에서 시행하는 출산과 육아에 대한 다양한 정책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해당되시는 분들은 꼭 놓치지 말고 다 받아가세요~


1. 출산장려금 지원

  • 지원대상: 👶 영아의 출생일 기준 남양주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신청일 현재 남양주시에 주민등록 및 실제 거주하는 부 또는 모
  • 지원내용: 💰 출생아 1인당 100만 원의 남양주사랑상품권(지역화폐) 지급
  • 유의사항: 🗓️ 영아의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 참고사이트: 남양주시 출산장려지원사업

2.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 지원대상: 🤰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의 산모 및 배우자 등 출산가정
    • 예외지원 대상자: 소득 기준과 관계없이 지원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해당 사이트를 참고하세요.
  • 지원내용: 🏠 전문 교육을 받은 건강관리사가 출산가정을 방문하여 산모의 건강관리 및 신생아 관리를 지원
  • 유의사항: 🗓️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신청 가능
  • 참고사이트: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3. 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

  • 지원대상: 🏡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출산가정 (소득 수준 무관)
  • 지원내용: 💳 출생아 1인당 50만 원의 지역화폐(카드형) 지원
  • 유의사항: 🗓️ 출생일 기준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하며, 다태아의 경우 출생아 수에 따라 50만 원의 배수로 지급됩니다.
  • 참고사이트: 경기도 출산장려금 및 양육비 지원현황

4. 첫만남이용권

  • 지원대상: 👶 출생 신고 후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모든 신생아
  • 지원내용: 💳 출생아 1인당 200만 원의 바우처(국민행복카드) 지급
  • 유의사항: 🗓️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에 신청해야 하며, 사용 기한은 지급일로부터 1년입니다.
  • 참고사이트: 첫만남이용권 안내

5. 부모급여

  • 지원대상: 👶 만 0~1세 아동을 둔 부모
  • 지원내용:
    • 만 0세(0~11개월): 월 70만 원
    • 만 1세(12~23개월): 월 35만 원
  • 유의사항: 🏫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부모급여에서 보육료를 차감한 금액이 지급됩니다.
  • 참고사이트: 부모급여 안내

6. 아동수당

  • 지원대상: 👶 만 8세 미만의 모든 아동
  • 지원내용: 💰 월 10만 원의 아동수당 지급
  • 유의사항: 🗓️ 신청일이 속하는 달부터 매월 25일에 지급되며, 90일 이상 국외 체류 시 지급이 정지됩니다.
  • 참고사이트: 아동수당 안내

7. 가정양육수당

  • 지원대상: 🏠 어린이집, 유치원, 종일제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하는 24개월 이상 86개월 미만의 영유아
  • 지원내용: 💰 월 10만 원의 양육수당 지급
  • 유의사항: 🏫 부모급여 도입에 따라 0~23개월은 부모급여로 지원되며, 24개월부터 가정양육수당이 지원됩니다.
  • 참고사이트: 가정양육수당 안내

8.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국민행복카드)

  • 지원대상: 🤰 임신·출산이 확인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 지원내용: 💳 임신 1회당 100만 원(다태아의 경우 140만 원) 지원
  • 유의사항: 🗓️ 신청일부터 출산일 후 2년까지 사용 가능하며, 2세 미만 아동의 의료비도 포함됩니다.
  • 참고사이트: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안내

모두들 각 지원의 신청 기간과 방법을 꼼꼼히 확인하시어 혜택을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

그럼 다음에 더 좋은 포스팅으로 뵐게요~

반응형

[출산&육아] 안양시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총정리!

2025. 2. 17. 12:54 카테고리 없음

 

안녕하세요~diaspora입니다!

 

 오늘은 안양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각 정책별로 지원 대상, 지급 자격, 지원 금액, 유의사항 등을 상세하게 안내해드릴테니, 다들 놓치지 마시고 모든 지원 정책 다 챙겨가세요!


1. 임신축하금 🎁

*지원 대상: 신청일 이전부터 3개월 이상 안양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한 임신부

*지급 금액: 안양사랑페이(지류형) 10만

*신청 기간: 임신 확인 시부터 출산 전까지 (출산 후 신청 불가)

*신청 방법: 보건소 모자보건실 방문 (만안구: 2층, 동안구: 3층)

필요 서류: 임신부 신분증, 임신확인서, 산모 명의의 통장 

문의처:

  • 만안구 031-8045-3040
  • 동안구031-8045-4827

관련 사이트: 안양시보건소 임신·출산 지원


2. 유축기 대여 🍼

*지원 대상:  안양시에 거주하며 모유수유를 하는 산모

*대여 기간: 2주 (연장 및 재대여 불가)

*신청 방법: 보건소 모자보건실 방문

*필요 서류: 산모 신분증

문의처:

  • 만안구:  031-8045-3040
  • 동안구: 031-8045-4827

관련 사이트: 안양시보건소 임신·출산 지원


3. 첫만남 이용권 🎉

지원 대상 : 출생아로서 출생신고되어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지급 금액:

  • 2023년 출생아: 출생순위 관계없이 200만원
  • 2024년 이후 출생아: 첫째아 200만 원, 둘째아 이상 300만원

사용 기간 : 아동 출생일로부2년

신청 방법 : 관할 행정복지센터에 신청

문의처:

  • 만안구: 031-8045-3104
  • 동안구: 031-8045-4969

관련 사이트: 안양시보건소 임신·출산 지원


4. 출산지원금 💰

지원 대: 출산(입양 포함)일 기준으로 12개월 전부터 신청일까지 안양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계속 거주한 부 또는 모로서, 출생아와 동일 세대에 등록된자

지급 금액:

  • 첫째아: 200만 원 (매년 100만 원씩 2회 분할 지급)
  • 둘째아: 400만 원 (매년 200만 원씩 2회 분할 지급)
  • 셋째아이상: 1,000만 원 (매년 250만 원씩 4회 분할 지급)

신청 기간 : 출생신고일로부터 12개월 이내 

신청 방법 :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 출생신고 시 신청 또는 정부24를 통해 온라인 신청

유의 사항 : 안양시 외 지역으로 이전한 경우 지급이 중단됩니다. 

문의처:

  • 만안구: 031-8045-3104
  • 동안구: 031-8045-4969

관련 사이트: 안양시보건소 임신·출산 지원


5. 산후조리비 지원 🛀

지원 대상: 출생일 및 신청일 기준 영아의 부 또는 모가 안양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출생신고를 안양시에 한 자

지급 금액: 출생아 1인당 안양사랑페이(카드형) 50만 원

신청 기간: 출산일로부터 12개월 이내

신청 방법: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 출생신고 시 신청 또는 경기민원24를 통해 온라인 신청

문의처:

  • 만안구: 031-8045-3104
  • 동안구: 031-8045-4969

관련 사이트: 안양시보건소 임신·출산 지원


6.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지원대상: 안양시에 거주 출산가정

지원내용: 출산가정에 건강관리사를 파견하여 산모의 산후 회복과 신생아 양육 지원

신청방법: 보건소 방문 또는 온라인

 


안양시에 거주하는 예비 엄마, 임산부들은 모든 지원 정책을 꼼꼼히 읽어보시고, 다양한 혜택 누리시길 바랄게요~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

 

반응형

[출산&육아] 🎉 화성시 출산 & 육아 지원정책 총정리! 🎉

2025. 2. 15. 15:27 카테고리 없음

 

👶 화성시에 거주하는 출산 가정이라면 필수 체크!
💰 출산지원금부터 육아 혜택까지 한눈에!


🍼 1. 화성시 출산지원금 💰

💡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출생일 기준 180일 이상 화성시에 거주한 부모
✔ 부모와 출생아가 같은 세대로 주민등록 되어 있어야 함

💰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 👶 첫째: 100만 원
  • 👶👶 둘째: 200만 원
  • 👶👶👶 셋째: 200만 원
  • 👶👶👶👶 넷째 이상: 300만 원 (2회 분할 지급)

📅 신청기간: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지급일: 신청한 다음 달 30일 계좌 입금


🎁 2. 첫만남이용권 (200만 원 지원!) 🎈

💡 누가 받을 수 있을까?
2022년 1월 이후 출생아

💰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200만 원 (첫째 포함 모든 아이)

📍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복지로 또는 정부24
🔹 방문 신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지급방식: 국민행복카드에 포인트 지급

주의! 사용 기한 출생 후 2년 이내!


🤱 3. 산후조리비 지원 (50만 원) 🌸

💡 누가 받을 수 있을까?
부 또는 모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으며, 경기도 내 출생아

💰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출생아 1인당 50만 원 (지역화폐 지급)

📍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경기민원24
🔹 방문 신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4.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 🏡

💡 누가 받을 수 있을까?
화성시 거주 출산가정 (소득 제한 없음!)

🍼 어떤 혜택이 있을까?
✔ 전문 교육을 받은 건강관리사가 가정 방문
산모의 건강 회복 & 신생아 돌봄 지원

📍 신청방법:
🔹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 후 30일 이내 신청
📞 문의: 화성시 보건소


🏥 5.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 💉

💡 누가 받을 수 있을까?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로 진단받은 영유아 (소득 기준 없음!)

💰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미숙아: 체중별로 최고 1,000만 원 지원
선천성 이상아: 최고 500만 원 지원

📍 신청방법:
🔹 진단 후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


👂 6. 선천성 난청검사 및 보청기 지원 🎧

💡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출생 후 28일 이내 난청 검사를 받은 신생아 & 60개월 미만 영유아

🎁 지원내용:
검사비 본인부담금 지원
확진검사비 (7만 원 한도) 지원
보청기 지원 (1명당 2개, 최대 135만 원)

📍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 신청


📌 출산 & 육아 지원 홈페이지 정리 ✅

🔹 복지로: https://www.bokjiro.go.kr
🔹 정부24: https://www.gov.kr
🔹 경기민원24: https://gg24.gg.go.kr
🔹 화성시청 육아지원: 🔗 바로가기


💡 출산 & 육아 걱정? 화성시 지원 혜택으로 해결!

👩‍👧‍👦 화성시에 거주하는 출산 및 육아 가정이라면 화성시에서 지원하는 정책을 놓치지 말고 꼭 챙기세요!
📢 좋아요 & 공유하고 주변에도 알려주세요! 😉💙

반응형

[출산&육아] 🎉 용인시 출산 & 육아 지원 정책 총정리! 🎉

2025. 2. 15. 15:21 카테고리 없음

 

👶 용인시 출산 가정이라면 꼭 알아야 할 혜택들!
📢 놓치면 손해! 지원대상, 지원금액, 신청방법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


🍼 1. 용인시 출산지원금 💰

💡 누가 받을 수 있을까?
✔ 출생(입양)일 기준 180일 이상 용인시에 거주한 부모
✔ 부모와 출생아가 같은 세대로 주민등록 되어 있어야 함

💰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 👶 첫째: 30만 원
  • 👶👶 둘째: 50만 원
  • 👶👶👶 셋째: 100만 원
  • 👶👶👶👶 넷째: 200만 원
  • 👶👶👶👶👶 다섯째 이상: 300만 원

📅 신청기간: 출생(입양)일로부터 1년 이내
📍 신청방법:
🔹 온라인: 정부24 접속 후 신청
🔹 방문 신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지급일: 신청한 다음 달 25일 계좌 입금


🎁 2. 첫만남이용권 (200만 원 지원!) 🎈

💡 누가 받을 수 있을까?
✔ 출생신고 완료 후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모든 아동

💰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200만 원 (첫째 포함 모든 아이)

📍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복지로 또는 정부24
🔹 방문 신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지급방식: 국민행복카드에 포인트 지급

주의! 사용 기한 출생 후 2년 이내!


🤰 3. 임신지원금 (30만 원) 🌸

💡 누가 받을 수 있을까?
✔ 용인시에 180일 이상 거주한 임산부
✔ 임신 20주 이상 되어야 신청 가능

💰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태아 1인당 30만 원 (지역화폐로 지급)

📍 신청방법:
🔹 온라인: 정부24
🔹 방문 신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지급일: 신청한 다음 달 20일

 


🛍 4. 출산용품 지원 🎀

💡 누가 받을 수 있을까?
2020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아이를 출생신고한 가정

🎁 지원 물품:
10만 원 상당의 출산용품 (체온계, 기저귀 가방 등)

📍 신청방법:
🔹 출생신고 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 또는 정부24에서 온라인 신청


💆‍♀️ 5. 산후조리비 (50만 원) 🏡

💡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출생일 및 신청일 기준으로 부모가 경기도에 거주하는 경우

💰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출생아 1인당 50만 원 (지역화폐 지급)

📍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경기민원24
🔹 방문 신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출산 & 육아 지원 홈페이지 정리 ✅

🔹 정부24: https://www.gov.kr
🔹 복지로: https://www.bokjiro.go.kr
🔹 용인시 출산지원 사업: 🔗 바로가기
🔹 용인시 육아종합지원센터: https://www.yicare.or.kr
🔹 용인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https://yongin.familynet.or.kr
🔹 용인시 아동돌봄플랫폼: https://www.yongin.go.kr/idolbom/index.do


💡 출산 & 육아 걱정? 용인시 지원 혜택으로 해결!

👩‍👧‍👦 용인시에서 출산해서 육아하시는 분들은 정부/시 지원 정책을 놓치지 말고 꼭 챙기세요!
📢 좋아요 & 공유하고 주변에도 알려주세요! 😉💙

반응형
반응형

L'Étranger by kangsy85

Search

Category

First scene (1233)
프로필 (19)
삶을 살아내다 (407)
책과 글, 그리고 시 (258)
산업단지 (13)
도시재생 (4)
토목직 7급 수리수문학 (8)
토목직 7급 토질역학 (8)
자료공유 (112)
편집 프로그램 (9)
신앙 (286)
초대장 배포 (55)

Statistics

  • Total :
  • Today :
  • Yesterday :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Trackbacks

Copyright © Nothing, Everything _ Soli Deo Gloria All Rights Reserved | JB All In One Version 0.1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