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 10. 19:40 책과 글, 그리고 시/서평(書評)
"세계관은 신념, 곧 마음의 근본적인 방향이다.
이것은 실재의 기본적인 구조에 관해
우리가 주장하는 이야기나 일련의 전제로 표현할 수 있고,
또 우리가 살고 행동하며 존재하는 기초를 제공한다"
제임스 사이어
세계관은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 또는 관점이다. 신자로서 기본적으로 기독교적 세계관을 가지고 살아가야 한다. 이와 더불어 신자가 일관성 있는 하나의 세계관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오염된 세계관을 살아갈 위험성에 처해있다. 우리가 접하는 세상속의 여러가지고 요소나 대중문화로 인해 우리는 다른 세계관을 의도치않게 받아들여서 살아갈 수 있다. '기독교 신앙을 고백하면서 개인주의자처럼 살아갈 수 있는 것(24쪽)'이다.
세계관을 신중하게 검토하기 위해서는 행동이라는 거울에 우리의 확신을 끊임없이 비춰 봐야 한다. 고백하는 신념과 행동하는 신념 사이에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는 살펴야 한다. 그리스도인들은 흔히 올바른 신조를 인용하고 타당한 교리를 인정하며 그럴듯한 말을 하면서도 그 속에 내포된 원칙대로 살지 않는 경우가 많다
25쪽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세계관을 신중하게 점검할 필요가 있다. 고백하는 신념(곧 지적인 차원으로만 머물러 있는 생각)과 확신하는 신념(곧 우리의 행동으로 나타나는 신념)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지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말과 행동의 불일치하는 지점이 어디인지 확인하고, 말과 행동을 통합하는 것이 「은밀한 세계관」의 목표이기도 하다.
책에서 선정한 여덟가지의 은밀한 세계관은 개인주의, 소비주의, 국가주의, 도덕적 상대주의, 과학적 자연주의, 뉴에이지, 포스트모던 부족주의, 종교가 된 심리 치료이다. 우리 살아가는 문화에 널리 퍼져있는 세계관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내용들을 파악하고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검토해야한다. 이와 더불어 책을 통해 우리가 고백하는 신념과 확신하는 신념이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더 나아가 두 신념간의 간극이 메워져서 하나의 신념으로 통합되기를 간절히 바랄뿐이다.
[좋은 문장]
23쪽
우리는 종종 어떤 일을 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말한다. 사실 이 말은 대부분 진실이 아니다. 우리가 정직하다면, "충분한 시간이 없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
24쪽
이 책의 중요한 전제는 우리가 진정으로 믿는 내용이 우리가 믿는다고 말하는 내용이나 믿고 싶다고 생각하는 것과 항상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독교 신앙을 고백하면서도 개인주의자처럼 살 수 있다. 우리는 이런 모습을 고쳐야 한다. 아마 세계관에 대한 신중한 평가가 그런 수정 과정의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다.
24-25쪽
세계관을 신중하게 검토하기 위해서는 행동이라는 거울에 우리의 확신을 끊임없이 비춰 봐야 한다. 고백하는 신념과 행동하는 신념 사이에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는지 살펴야 한다. 그리스도인들은 흔히 올바른 신조를 인용하고 타당한 교리를 인정하며 그럴듯한 말을 하면서도 그 속에 내포된 원칙대로 살지 않는 경우가 많다. 물론 그리스도인들만 언행이 불일치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 아니다. 극단적인 환경에서는 과학적 자연주의자들도 하나님께 기도할 수 있다. 도덕적 상대주의자들은 보편적 도덕 기준이 정말 존재하는 것처럼 살 수도 있다. 자신이 어떤 세계관을 가지고 있든지 간에, 우리가 믿는다고 말하는 것과 실제로 행동하는 것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삶을 성찰하고 우리의 생각과 행동이 일치하는지 신중하게 살피지 않으면 이것을 불가능하다. 따라서 말과 행동을 통합하는 것은 이 책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28쪽
신앙과 삶을 성공적으로 통합한 사람들은 예외 없이 세 가지를 실천했다. 우선, 그들은 기독교적 삶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멘토와의 관계를 발전시켰다. 둘째, 그들은 기독교적 삶을 사는 데 깊이 헌신된 동료와 정기적으로 만났다. 마지막으로, 그들을 대학을 떠난 후 당면하는 유력한 다른 세계관들의 도전에 충분히 맞설 수 있는 기독교 세계관을 발전시켰다.
30쪽
결국 세계관은 온전하고 다차원적인 실제 인간의 삶에 관한 것이다. 또한 어떻게 삶으로부터 가장 많은 것을 얻을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모든 세계관은 비록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는다 해도 궁극적으로 구원에 관한 것이다.
2 나는 우주의 중심이다: 개인주의
33쪽
개인주의는 하나님이 각 개인의 삶에 관심을 갖고 개입하신다는 기독교 진리를 받아들인다. 하지만 매우 극단적으로 받아들여 더 이상 기독교 진리가 되지 못하게 한다.
37쪽
개인주의자들이 자신의 도덕적 행동에 대해 다른 삶이 의문을 제기할 권리가 없다고 주장할 때, 이것은 흔히 개인적인 책임을 회피하려는 시도로 간주된다. 실제로 그런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개인주의를 적절히 이해한다면, "내가 도덕적 책임을 갖고 있는가"가 아니라, "내게 도덕적 책임을 부여하는 권위는 무엇인가"를 질문해야 한다. 개인주의가 옳다면, 다른 사람이 자신의 도덕적 신념과 기준을 내게 부과하도록 하는 것은 무책임한 일일 것이다. 앞에서 말했듯이, 다른 사람은 나의 목적과 가치관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이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수학법칙으로 시를 판단하는 일과 비슷할 것이다. 따라서 개인주의는 내가 자신에 대한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권위의 원천임을 보여 준다.
41쪽
가장 건전한 개인주의는 우리가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서도 책임을 져야한다는 점을 일깨워 준다. 개인주의는 우리가 자신의 능력을 벗어나는 힘들에 자주 굴복하고, 우리를 보살피고 보호해야 하는 사람들과 조직들이 그 의무를 종종 이행하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어떤 변명도 받아들이지 않는다. 나의 고유한 목적이 내 삶에 의미를 제공한다면, 나는 궁극적으로 그 결과에 책임을 져야 한다.
48쪽
사실 우리는 타고난 사회적 존재이며 심지어 개인주의자들의 자기 이미지도 다른 사람의 인식과 가치관에 의해 결정된다. 내 삶의 의미가 나의 성취에 의해 평가된다면-기존 사회제도 안에서의 성공이든, 사회제도와 맞서서 이룬 성공이든 간에-궁극적으로는 다른 사람이 나의 성공 여부를 결정한다는 결론을 피할 수 없다. 여기에서 벗어나는 유일한 길은 인간의 삶을 초월하는 기준을 삶의 가치를 평가하는 수단으로 고려하는 것이다.
49쪽
개인주의는 우리 문화에 깊이 뿌리내린 세계관이기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의 마음에도 깊이 자리 잡고 있다. 수십 년 전 신앙수련회 때 나는 이것을 가슴 깊이 느꼈다. 신약학자인 강사가 경건회를 인도하면서 히브리서를 인용했다. 그는 히브리서를 25년 동안 연구한 후에야, 한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이 서신의 모든 명령이 개인이 아니라 공동체를 향한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중략> 그는 우리 문화에서 흡수한 개인주의적 태도 때문에 교회 공동체에게 주어진 명령을 개인에게 주어졌다고 추정했던 것이다.
50쪽
우리가 세계관에 대해 물어야 할 우선적인 질문은, "누가 하나님이 되려고 하는가"이다. 개인주의는 우주의 중심에 개인을 놓음으로써 우리를 하나님의 위치에 놓으려고 한다.
51쪽
개인주의적 세계관에서 잘못된 또 다른 중요한 요소가 있다. 내가 우주에서 일차적인 실재라고 주장할 때, 이것은 다른 사람을 내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도구나 나의 중심적 위치를 노리는 경쟁자로 보게 한다. 다른 사람은 다만 효용적 가치만 있거나(그들은 나에게 도움이 될 때에만 가치가 있다), 내 개인적인 사업과 목적의 장애물일 뿐이다. <중략> 따라서 하나님 왕국에 참여하기 위해 양보할 수 없는 한 가지 내용은, 하나님의 일차적인 목적이 내가 아니라 우리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공동체에 대한 이런 이해 때문에 기독교는 개인주의와 충돌한다.
가짜 감정 _ 김용태 (0) | 2021.01.24 |
---|---|
피해의식의 심리학 _ 야야 헤릅스트 (0) | 2021.01.18 |
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_ 허지원 (0) | 2021.01.02 |
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 _ 수 클리볼드 (0) | 2020.12.27 |
팀 켈러의 일과 영성(Faith&Work) _ 팀 켈러 (0) | 2020.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