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4. 18. 09:00 삶을 살아내다/경제
2022.04.17 - [삶을 살아내다/경제] - [경제] 한은 기준금리 0.25%p인상으로 1.25% →1.5%, 주택담보대출 금리 6% 돌입
[경제] 연준 빅스텝 금리 인상 예고, 올해 연말 2.25~2.5% 예상
미국 연방준비제도(이하 Fed)가 다음달 개최되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한번에 0.5%p 올리는 '빅스텝'을 진행할 것으로 예측된다.
Fed가 기준금리를 큰 폭으로 인상하는 주요한 이유는 물가 상승때문이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3월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8.5% 상승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 8.4%를 상회 하는 것으로 1981년 12월 이후 40년 3개월 만에 최고치다. 이에 따라 Fed 물가 안정을 위한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한 것으로 추측된다.
한국도 우크라 사태로 인한 유가 급등과 물가 상승으로 지난 4월 14일 기준금리 0.25%p를 인상시켰다. 전세계적으로 물가가 상승함에 따라 중앙은행들은 기준금리를 인상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물가가 안정되지 않을 경우 각국의 중앙은행은 긴축 정책으로 금리를 인상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기사]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415_0001835453&cID=15001&pID=15000
한미 금리 역전되나...시장 영향은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미국의 고강도 긴축이 현실화 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한미 내외금리차가 올해 안에 역전될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www.newsis.com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2/03/244164/
美 연준, 기준금리 0.25%p 인상…연내 6차례 추가 금리인상 예고
내년에도 3차례 인상해 강한 긴축 파월 "경기 침체 위험 높지 않아" 대차대조표 축소, 이르면 5월 시작
www.mk.co.kr
[유산세/상속세] 75년만에 상속세 대수술, 개편(안) 발표 (0) | 2025.03.13 |
---|---|
[경제] 한은 기준금리 0.25%p인상으로 1.25% →1.5%, 주택담보대출 금리 6% 돌입 (0) | 2022.04.17 |
[경제/부동산]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격지수 하락세, 매수심리 위축, "하락할 것인가, 상승할 것인가" (0) | 2022.01.20 |
[경제] COFIX 0.14%p 상승, "주담대 금리 6% 목전" (0) | 2022.01.18 |
[경제] 소비자물가지수 개편, "마스크, 전기차 넣고, 연탄, 넥타이, 고등학교 납입금 빼고" (0) | 2021.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