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5. 4. 22:27 자료공유/도시 지역 분석
■ 중심지수에 따른 지역 순위
Reference Number |
Settlement |
Population |
Number of Functions |
Centrality Index |
Rank Order |
1 |
Newports |
18,702 |
244 |
2115.3 |
1 |
2 |
Ryde |
17,991 |
236 |
1803.9 |
2 |
3 |
Shanklin |
7,496 |
168 |
1210.6 |
3 |
4 |
Cowes |
7,212 |
165 |
1186.8 |
4 |
5 |
Ventnor |
5,031 |
122 |
952 |
5 |
6 |
Sandown |
5,110 |
127 |
876.5 |
6 |
7 |
Freshwater |
4,070 |
89 |
648 |
7 |
8 |
E.Cowes |
3,986 |
69 |
406.3 |
8 |
9 |
Totland |
2,950 |
44 |
284.6 |
9 |
10 |
Lake |
2,896 |
33 |
232.9 |
10 |
11 |
Bembridge |
3,272 |
40 |
201.4 |
11 |
12 |
Seaview |
2,225 |
31 |
201.2 |
12 |
13 |
Yarmouth |
853 |
24 |
150.5 |
13 |
14 |
Wootton Bridge |
1,423 |
21 |
108 |
14 |
15 |
Carisbrook |
1,872 |
20 |
98.1 |
15 |
16 |
Brading |
1,323 |
20 |
92.8 |
16 |
17 |
St. Helens |
1,201 |
14 |
86.7 |
17 |
18 |
Godshill |
1,067 |
16 |
72.9 |
18 |
19 |
Parkhurst |
611 |
9 |
48.1 |
19 |
20 |
Niton |
1,742 |
12 |
44.9 |
20 |
21 |
Brighstone |
810 |
9 |
35.1 |
21 |
22 |
Arreton |
609 |
8 |
34.1 |
22 |
23 |
Binstead |
1,305 |
9 |
33.9 |
23 |
24 |
Northwood |
1,512 |
10 |
25.5 |
24 |
25 |
Nettlestone |
809 |
7 |
20.1 |
25 |
26 |
Wroxhall |
1,189 |
7 |
18.9 |
26 |
27 |
Havenstreet |
445 |
5 |
18.2 |
27 |
28 |
Chale |
235 |
5 |
16.6 |
28 |
29 |
Newchurch |
534 |
5 |
16.2 |
29 |
30 |
Blackgang |
134 |
3 |
15.9 |
30 |
31 |
Calbourne |
489 |
5 |
14.7 |
31 |
32 |
Shalfleet |
551 |
4 |
13.1 |
32 |
33 |
Whitwell |
581 |
5 |
12.1 |
33 |
34 |
Wellow |
225 |
4 |
11.8 |
34 |
35 |
Shorwell |
538 |
4 |
9.9 |
35 |
36 |
Porchfield |
350 |
4 |
9.9 |
35 |
37 |
Chale Green |
167 |
4 |
9.9 |
35 |
38 |
Apse Heath |
238 |
3 |
9 |
38 |
39 |
Winford |
209 |
2 |
8.5 |
39 |
40 |
St. Lawrence |
279 |
3 |
7.2 |
40 |
41 |
Brook |
218 |
2 |
7.2 |
41 |
42 |
Newbridge |
394 |
3 |
7 |
42 |
43 |
Whippingham |
250 |
3 |
7 |
43 |
44 |
Yaverland |
180 |
2 |
6.6 |
44 |
45 |
Gurnard |
268 |
2 |
4.6 |
45 |
46 |
Rookley |
150 |
2 |
4.6 |
46 |
47 |
Chillerton |
103 |
2 |
4.6 |
47 |
48 |
Whitey Bank |
153 |
2 |
4.4 |
48 |
49 |
Ningwood |
78 |
1 |
2.4 |
49 |
50 |
Mottistone |
80 |
1 |
2.2 |
50 |
51 |
Thorley Street |
75 |
0 |
0 |
51 |
52 |
Blackwater |
69 |
0 |
0 |
52 |
53 |
Gatcombe |
68 |
0 |
0 |
53 |
54 |
Moortown |
62 |
0 |
0 |
54 |
55 |
Newtown |
60 |
0 |
0 |
55 |
1. 지역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semi-logarithmic 그래프를 그려라.
2. Rank-size 그래프는 지역의 계층성(hierarchy)을 잘 뒷받침 해주고 있는가.
Answer) 중심지수(centrality Index)를 바탕으로 정해진 순위와 인구수 간의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추세선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인구수와 순위간의 일정 상관관계
가 있다. 만약 인구가 늘어나서 사람들이 사는 지역 분포도가 커지면, 어떤 한 기업이나 상점
에서 공급할 수 있는 범위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같은 상품을 제공하는 공급처가 입지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래프에서 인구 순위가 30위 안팎의 지역에서는 점들은 추세선을 기준으로 멀리 분
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hristaller이론에 의하면 모든 공급자는 최소한의 적은 수의
중심지로 재화를 공급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그 결과 중심지들은 분산하여 분포된다고 하였
다. 그러나 그래프에서 인구수 30위 지역은 하위 랭크된 지역보다 인구수가 적지만 중심지 수
가 높다. 이는 공급자들이 효율적인 입지선점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즉, 1s1e of Wight의 지
역에서는 적은 수의 중심지에서 보다 넓은 지역에 재화와 서비스를 공급한다는 가설과는 다른
결과를 보인 것이다. christaller의 중심지 계층성에 따른 공간분포는 1s1e of Wight의 지역에서
는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
3. 인구수와 여러 기능의 상점의 관계를 나타낸 Log-Log 그래프에서 기울기 중가율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Answer)
그래프에 나타나는 증가율은 어떤 지역의 인구수가 증가할수록 그 주변의 다양한 업종의 가계들도 함께 증가함을 알려주는 것이다. 인구가 증가하면 일반적인 수요가 늘어날 것이다. 표의 수치를 바탕으로 작성된 아래 그래프를 참조하면, 일상생활에 필요한 여러 물건을 파는 잡화점(general store), 공공주택, 가전제품들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종주 도시에는 기본적인 삶을 충족시켜주는 상점이나 주택 외에 문화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영화관, 여행사, 사진관 등이 생겨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인구수가 종주도시에 비해 현저하게 적은 곳에서는 이러한 종류의 가계들을 거의 없음을 표 1.6을 통해 알 수 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손가락 표시를 눌러주세요.
더 많은 사람과 소통 &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라우리 모델(Lowry Model)을 이용한 인구 추정 (대구광역시 수성구) (0) | 2013.06.01 |
---|---|
[도시 및 지역분석] 도시공간구조 - 중력모델 (1) | 2013.05.15 |
[도시 및 지역 분석] 중심지 이론; 우리나라 도시 인구수와 순위 관계분석 (0) | 2013.05.04 |
[도시 및 지역 분석] 투입산출모형분석 - 산업간 의존관계 파악 (1) | 2013.05.04 |
변이할당법(shift share method)을 이용한 지역 분석 (0) | 2013.04.28 |